View : 10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강현지-
dc.creator강현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52-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09 개정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요약하기 성취기준을 살펴보고, 그것이 2013 개정 국어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그 양상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교실 수업 상황에서 가장 일반적인 자료로 교과서를 이용하고 활용하기 때문에, 교과서가 차지하는 위치는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Ⅲ장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상에서 요약하기의 성취기준이 변화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고,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요약하기 관련 성취기준과 이를 바탕으로 개정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 14종을 대상으로 요약하기 단원을 단원 구성 체제와 단원 통합 영역,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활동을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교수·학습 방법은 다시 결과 중심과 과정 중심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수·학습 활동은 텍스트 중심과 독자 중심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요약하기의 과정을 절차적으로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실제 요약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요약하기는 학습자가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연습하고 활동해 보는 과정을 통해 숙달되기 때문에, 본문에 제시된 내용을 이해하는 활동보다는 이를 활용한 요약 활동을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요약의 과정에서 학습자는 텍스트를 이해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그것을 자신의 목적과 의도에 맞게 적절하게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교수·학습의 방법은 과정 중심이 되어야 하며, 교수·학습의 활동은 텍스트와 독자를 모두 고려한 것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실제 학습자들이 어떻게 요약을 하고 있는지 그 절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대상자들을 통해 설명하는 글, 주장하는 글, 이야기 글을 요약하도록 하고 요약과정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요약 활동을 확인해 본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말로 재구성하는 활동과 목적에 맞게 요약하는 활동을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요약하기 단원의 성취 기준이 ‘목적에 따른 요약’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는 이를 소홀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요약은 텍스트 중심 요약이 대부분이었으나, 텍스트 중심 요약을 독자의 목적을 고려한 요약하기로 확산하여 독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게 효과적인 것을 선택하고 요약할 내용과 형식을 결정하여 조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과서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요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만을 교과서 단원 내용으로 제시하였고, 그 전략이나 방법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만을 담고 있었다.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은 교과서 내용 개발의 기준이나 지침이 되어야 할 뿐 교과서 내용의 전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 다양한 글을 자신의 목적과 상황에 맞게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만을 요약할 수 있도록 교과서는 더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어떤 종류의 글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achievement standards on the summary section of the 2009 revised versio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ourse of Study, and to affirm how it is treated in the 2013 Revised Korean Textbook. As Text books are main Class materials used in class, regardless of the importance of the Text Books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Text books has been inattentive. In Part III, I will examine the changes on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summary section,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n, through 14 different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d been revised based on 2009 revised version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I analyzed and explored the results on the summary sections with the following themes: Organization of the Unit and Integrated Uni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ve examined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into Result Oriented and Process centered and examined on Teaching, Learning activity to Text Centered and Reader Oriented.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summarize the process of summary in procedure to have the learner work on the actual summary. You will be proficient in summarizing through independent practice not unilateral acceptance, so it should be effective to study through summary activity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body content. Also, in the process of summarizing, based on understanding the text, the learner should be able to utilize them through his purpose and intention. Therefore, I have confirmed that Teaching, Learning method should be focused on processing and Teaching Learning activity should consider both text and the reader. In Part IV, in order to identify the process of how the learners are working on their summary I reviewed the Chun-Jae(Young Mok Park etc) Text Books, how they summarize Article that describes, Article that claims and Story Writing. As a result reviewing the student’s summary, I figured they had difficulty in activities that required restructuring in their own words and summarizing based on their purpose, and despite the fact that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in 2009 revised curriculum is ‘Summary based on the Purpose’, the content itself wasn’t much focused in the text book. So far the summary was mainly focused on Text oriented, but expending the Text Oriented Summary to the readers' purpose, you need to assure that the reader chooses the effective method and choose the right contents and formality and be able to construct it. In order to do that, we need to suggest various activities in the Text Book for the learner to summarize based on their purpose. Most of the Textbook only suggests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for the course of study in the content of the unit, and also the purpose or method only suggests the process of the educatio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course of the study should only be the guideline for developing the content of the Text Book not the contents itself.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teaching and study method to understand and summarize necessary information after understanding various writings within your purpose and situation, and you should also be able to construct various study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writ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2 C. 선행연구 검토 3 Ⅱ. 요약하기 교육의 이론적 검토 6 A. 요약하기에 대한 연구사 검토 6 1. 요약하기의 개념 7 2. 요약하기의 전략 9 B. 국어과 교육과정상에서의 요약하기 성취기준 변화 양상 10 1. 1~4차 교육과정 10 2. 5~7차 교육과정 12 3. 2007 이후 교육과정 14 Ⅲ.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요약하기 단원의 내용 비교 분석 결과 17 A. 분석대상 및 기준 17 1. 분석대상 17 2. 분석기준 19 B. 교과서 분석의 실제 19 1. 단원 구성 체제 20 가. 단원명 20 나. 단원의 길잡이 22 다. 소단원 25 라. 학습활동 25 마. 단원의 마무리 30 2. 단원 통합 영역 32 가. 읽기 단원으로 구성 33 나. 읽기와 쓰기의 통합 34 다. 읽기와 듣기말하기의 통합 35 라. 읽기와 문법의 통합 35 마. 읽기와 문학의 통합 36 3. 교수학습 방법 분석 37 가. 결과 중심 교수학습 방법 37 나. 과정 중심 교수학습 방법 42 다. 교과서별 교수학습 방법 검토 결과 52 4. 교수학습 활동 분석 53 가.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활동 55 나. 독자 중심 교수학습 활동 57 다. 교과서별 교수학습 방법 검토 결과 60 C. 분석 결과 및 논의 61 Ⅳ. 중학생 학습자의 요약하기 실태 조사 64 A. 연구대상 64 B. 연구도구 64 C. 연구결과 65 D. 문제점 및 개선방향 81 Ⅴ. 결론 및 제언 84 A. 결론 84 B. 제언 87 참고문헌 88 부록 91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48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요약하기 단원 비교 분석 및 개선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n the Summary Section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2009 Revised Version-
dc.creator.othernameKang, Hyun Ji-
dc.format.pageviii, 96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