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한지영-
dc.creator한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4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of South Korea, Australia and Canada that are related to media literacy, to find the features applicable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curriculum, and to propose a reorganization plan for the media literacy curriculum. From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ustralia that pursues the integration of media literacy in the other area like our country and Canada that sets aside the area called 'media studied' were selected among the countries that are assessed to systematically reflect media literacy education to ow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Australia's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in 2014 and no analysis was made yet. Also, the Canadia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7 is being applied and its rich related contents are available with independently set media area, but there is no domestic study that focuses only on 'media literacy'. Prior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own language curriculum, in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Ⅱ, the expanded concept of literacy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communication, features of literacy emerging in the 21st century,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cy education through new educational needs and own language education needs from these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media literacy' was reconceptualized in own language education perspective, and stage of learning to deal with media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s and details were set; and from these a compliance analysis of the curriculum was set. In Chapter Ⅲ, Korean curriculums and secondary school national language curriculums of Australia and Canada were analyzed in two aspects. Firstly, from each part that comprises the educational process, media literacy related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their features were analyzed. Secondly, based on the steps and contents of media literacy learning set from ChapterⅡ, grade-level details were classified and the salient features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language curriculums of the three countries, improvement plan of Korean language course and reconfiguration plan of media literacy curriculum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plan of Korean language course from the comparative research with native language curriculums of Austria and Canada, the setting of 'view' and 'production' areas, concept extension of Text,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items and description of the course including specific examples for everyday life-centered Korean education were suggested. When reconfiguring the media literacy curriculum, media screen configuration and other diverse media components need to be included and the learning should be allowed to find learning contents themselves from activities comparing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xt media. In addition, the scope of media curriculum covered in Korean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by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dia industry such as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omotion of the media. Understanding the media text and expression strategy should be emphasized as an educational content. Through the above measures, securing the propor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course curriculum, placing it as educational content rather than means, and systematic integration with other area can be orien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iteracy necessary for the learners living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society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Media literacy education.;본 연구는 최근에 개정된 한국, 호주,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매체문식성과 관련된 부분을 비교․분석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을 찾아 매체문식성 교육 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자국어 교육과정에 매체문식성 교육이 체계적으로 반영됐다는 평가를 받는 국가들 중, 우리나라와 같이 다른 영역 안에서 매체문식성의 통합을 지향하는 호주와 ‘매체 학습’이라는 영역이 따로 설정된 캐나다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은 2014년에 개정되어 아직 분석이 이루어진 바 없다. 또한 캐나다는 2007년에 개정된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데 매체 영역이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관련 내용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매체’에만 초점을 둔 국내 연구가 없었다. 국내외 자국어 교육과정의 비교․분석에 앞서 Ⅱ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의사소통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확대된 문식성의 개념과 21세기에 새롭게 등장한 문식성의 특징, 이로 인한 새로운 교육적 요구와 국어교육적 필요성을 통해 문식성 교육의 의의를 살핀다. 또한 ‘매체문식성’을 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재개념화하고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 매체문식성 학습의 단계 및 세부 내용을 설정하여 교육과정 분석의 준거를 설정했다. Ⅲ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국어과 교육과정과 호주와 캐나다의 중등학교 자국어 교육과정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각 항목에서 매체문식성 관련 내용을 살펴 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둘째로 Ⅱ장에서 설정한 매체문식성 학습의 단계 및 내용을 기준으로 학년별 세부 내용을 분류하고 두드러진 특징을 살폈다. 세 나라의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비교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과 매체문식성 교육 내용의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과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한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으로는 ‘보기’와 ‘제작’ 영역의 설정, 매체를 통한 ‘텍스트(Text)’의 개념 확장,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항목의 개선, 생활 중심의 국어 교육을 위해 구체적인 예시를 포함한 교육과정의 서술을 제안하였다. 매체문식성 교육 내용을 재구성 할 때는 매체 화면 구성 요소 등 다양한 매체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고, 학습자가 매체텍스트의 종류 및 특성을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스스로 학습 내용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매체의 제작, 유통, 홍보 등 매체 산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함으로써 국어 교육에서 다루는 매체 교육 내용의 범위를 확장해야 하며, 매체 텍스트의 이해 및 표현 전략을 교육 내용으로서 강조해야 한다. 위와 같은 방안을 통해 국어과 교육과정 안에서 매체문식성 교육의 비중 확보, 수단이 아닌 교육 내용으로서의 입지 세우기, 다른 영역과의 체계적인 통합을 지향할 수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문식성 교육을 통해 21세기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에게 필요한 문식성을 길러주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의 대상 및 방법 7 Ⅱ. 이론적 배경 10 A.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의의 10 1. 문식성 개념의 확대 10 2. 새로운 문식성(New Literacy)의 국어교육적 필요성 12 B. 국어과 교육과 매체문식성(Media-literacy) 14 1. 매체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14 2.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매체문식성 학습 내용 설정 16 Ⅲ. 국내외 중등학교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21 A.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21 1. 교육과정 구성 및 교과 설정 21 2. 매체문식성 교육과정 구성 분석 21 3. 과정별 매체문식성 교육 내용 분석 29 B. 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31 1.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31 가. 교육과정 구성 및 교과 설정 31 나. 매체문식성 교육과정 구성 분석 32 다. 과정별 매체문식성 교육 내용 분석 47 2.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50 가. 교육과정 구성 및 교과 설정 50 나. 매체문식성 교육과정 구성 분석 51 다. 과정별 매체문식성 교육 내용 분석 61 C. 국내외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결과 비교 69 1. 매체문식성 교육과정 구성 비교 69 2. 과정별 매체문식성 교육 내용 비교 82 Ⅳ. 매체문식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102 A.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102 1. 보기와 제작하기 영역 설정 102 2. 매체를 통한 텍스트(text)의 개념 확장 104 3. 매체문식성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106 4. 생활과 밀접한 예시 서술 107 B. 매체문식성 교육 내용 재구성 방안 109 1. 매체 화면 구성 요소에 대한 내용 포함 109 2. 매체텍스트 비교 활동을 통한 학습자 중심 구성 111 3. 제작, 홍보, 유통을 포함한 매체 산업에 대한 이해 113 4. 매체 자료의 이해 및 제작을 위한 전략 학습 115 Ⅴ. 결론 118 참고문헌 121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66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등학교 국어과의 매체문식성(media-literacy) 교육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국어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media literacy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korean language courses : From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Han, Ji Young-
dc.format.pagev, 127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