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6 Download: 0

공감 대화 능력 향상 방안 연구

Title
공감 대화 능력 향상 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with measures to improve sympathy conversation skills : focused on sympathy conversation analysis of teenager's novel <유진과 유진>
Authors
양수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고는 일상 대화가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직접 대면으로 진행되는 직접성, 현재성에서 서로 간에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마찰과 오해가 발생하는 것에 문제 의식을 갖고 이에 대한 해결로 공감 대화를 설정하며 그 교육 방법을 연구하였다. 국어 교육에서 교육 대상인 ‘청소년(중․고등학생)’에게 공감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인 ‘공감 대화’를 또래의 이야기로 간접 체험과 내면화가 자연스러운 교육 제재인 ‘청소년 소설’ 분석을 통하여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와 서적, 교육과정 등을 통해 공감 대화의 개념 및 특징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감적 경청’, ‘나-전달법’,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질문’, ‘자기노출’, ‘유머’, ‘기억적 공감’라는 공감 대화 방법을 각각의 특징과 장점, 효과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기억적 공감’대화는 본고의 분석 제재(연구 대상)로 소설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소설’ 대화의 특징들을 고려하여 구안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살펴 본 공감 대화의 방법들을 청소년 소설 『유진과 유진』에 적용하여 소설의 등장인물의 관계, 사건의 흐름 등의 복합적 연관 속에서 공감 대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인공을 중심으로 주변인물들이 소설의 사건 흐름에 따라 서로 관계의 친밀도에 차이를 보이며 공감 대화의 빈도와 내용의 깊이가 다르게 나타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소설 내용 전개에서 갈등에서 해소에 이르는 데 공감 대화의 다양한 양상과 중요성, 바람직한 공감 대화를 위한 태도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고찰과 Ⅲ장에서 소설 분석을 통한 이론 적용을 토대로 본고의 핵심 부분으로 청소년들의 공감 대화 능력 향상을 위한 공감 대화 교육 모형을 인간 관계 측면, 사건의 흐름 측면, 소설 감상을 통한 내면화와 대화 태도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교육 대상인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주로 접하는 인간 관계가 부모-자녀, 친구-친구 관계인 것을 고려하여, 인간 관계 측면에서 서로 간에 친밀감을 높이는 공감 대화 지도 방법으로 부모-자녀 관계에서는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대화, 자녀의 책임감을 키워주는 부모의 솔직한 대화, 자녀의 비전을 키워주는 부모의 약점 ․ 실수를 통한 깨달음 표출 대화, 부모와 자녀 모두 만족을 얻는 대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친구-친구 관계에서는 서로에게 집중하며 신뢰의 마음을 나누는 대화, 나의 진심을 알리며 상호이해를 높이는 대화, 같은 눈높이로 공감을 나누는 대화, 기분 좋은 우정과 존중을 나누는 대화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사건의 흐름 측면에서 소설의 대화의 특징을 반영하는 거시적 ․ 통시적 안목으로 메타메시지(meta-message)를 고려하는 공감 대화 지도를 제시하여 부모-자녀 관계에서는 부모와 자녀 사이 경험의 공유를 확장하는 정서적 조언의 대화를 친구-친구 관계에서는 경험과 감정의 공유를 통해 서로가 성장하는 대화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설 감상을 통한 내면화와 대화 태도 측면에서 상대방의 대화 방법 존중하기를 제시하며 상대방의 언어 이해를 통해 인간관계의 친밀함이 높아지며, 상호 공감력이 강화되며, 자신의 대화 방법을 점검 ․ 개선하게 되는 장점 및 가치를 설명하였다. 본고는 그동안의 공감 대화에 대한 선행 연구가 ‘일상에서의 대화’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져 온 것과 다르게 ‘소설에서의 대화’에 초점을 두고 인물 관계, 사건의 흐름과 대화의 복합적인 연관을 고려하여 거시적 ․ 통시적 안목으로 공감 대화가 이루어져야함을 논의하였다. 단편적 ․ 공시적 안목으로 현재만 생각하므로 대화에서 마찰과 오해가 일어나기 쉽다. 본고의 소설에서의 대화 분석을 통한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지금, 현재의 대화이지만, 상대방과의 인간관계와 대화를 둘러싼 이면적인 것들을 종합적이고 전체적으로 생각할 줄 아는 이해와 배려가 바탕이 되는 공감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미래의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이 건강한 마음을 가진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따뜻한 정을 나누는 공감 대화 교육이 더욱 활성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This article regards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 as a problem that occur due to not smooth interactions in immediacy and nowness when a speaker and listener faces each other directly. Also, it suggests sympathy conversation as a solution to this, and it studies right educational methods for it.‘Sympathy conversation’is a education content that improves sympathizing skills of teenager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the education targets in Korean education. It is suggested as an educational model through analyzing “teenagers’novels” that are about other teenagers’stories that make indirect experience and internalization common. In chapter II, the concept and features of sympathizing communication were discussed through the references such as the current preceding studies, books, education plans; based on this, sympathizing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sympathizing listening’,‘I-delivery method’‘questions based on understanding’, ‘self-exposure’, ‘humor’, ‘memorizing sympathy’ are discussed with their features, benefits, and effects. ‘Memorizing sympathy’ communication especially is the analysis subject (study subject) in this article and considering that it uses novels, it is made after the ‘novel’ communication features are considered. In chapter III and II, the methods of sympathizing method look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re they applied to teenagers’ novel “유진과 유진”; the features of sympathizing communication in complex relation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events’ flow are analyzed in detail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round the main character changes through the events’ flow and how the frequency and depths of the contents of sympathizing communication change are assessed in details. The various aspects and importance of sympathizing communication from conflicts to resolution in the story’s development, and the attitude for ideal sympathizing communication are discussed in details. Chapter IV is the main part of this article, and it suggests sympathizing conversation education model to achieve sympathizing conversation ability within teenagers as internalization that can be achieved from human relationship aspect, event’s flow aspect, and reading novel. It also suggests it as a conversation attitude aspec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from chapter II and theoretic application after novel analysis from chapter III. Considering that the teenagers, who are the education subject, have parents-children and friend-friend relationship as their major relationship, sympathy conversation education methods are proposed to improve each one’s intimacy within their relationship. For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the examples of the proposed methods are conversation that helps children solve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honest conversation that helps children develop responsibilities, conversation that brings enlightenment in children’s visions through parents’ weakness and mistakes, and conversation that bring both parents and children’s satisfaction. For friend-friend relationship, the examples of the methods are conversation that share trusts by focusing on each other, conversation that improves mutual understanding by informing each one’s truthful mind, conversation that shares sympathy within same level, and conversation share delightful friendship and respect. Afterwards, the sympathy conversation direction is proposed conversing the meta-message through a macroscopic and diachronic perspective that reflects conversations’ features in novels in the event’s flow aspect.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conversation with emotional advice that expands shared experienc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suggested. In friend-friend relationship, conversation that lets each one grow by sharing experience and emotions is suggested. At last, the benefits and values of respecting conversation method in internalization and conversation attitude aspect is proposed; it improves intimacy within relationship by understanding each one’s language, and it develops mutual sympathy, and it also makes each reflect their own conversation ways and improve them. Unlike the previous studies about sympathy conversation which are focused on ‘casual conversation’, this article discusses that sympathy conversation needs to be achieved in macroscop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by focusing on ‘conversation’ in novels and considering the events’ flow and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s. When only present is considered in fragmentary and synchronisch perspectives,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 often happen. The value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in novel from this article is sympathizing skills that are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gards, considering the hidden aspects in relationships and conversations, despite of current conversations. Sympathy conversation education that shares warm affection will hopefully be improved to help teenagers improve as members of society who are going to lead this society in future with healthy mi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