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한국어 교재의 젠더 분석

Title
한국어 교재의 젠더 분석
Other Titles
Gender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 focusing on the korean language couresbooks for foreign workers
Authors
전지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현재 한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중, 외국인 근로자는 125만 6천명이다. 이 중에서 남성 취업자는 56만 8천명이고 여성 취업자는 28만 4천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에서 남성은 2만 4천 명이었으며 여성은 2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활동 상태를 보 면 육아 및 가사가 39.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통계청, 2014). 따라서 여성의 경우 육아 및 가사로 인해 일을 할 능력이 있음에도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이들이 아이를 키우고 경제 활동을 시작한다고 하면 여성의 고용률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렇기에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 차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교재를 젠더적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 많은 교과목에서는 성 차별적 요소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 교육에서는 이화연(2009)에서는 해당 단원에서 제시하는 중심 표현과 문법을 남성과 여성 중 누가 더 많이 발화하는지, 대화문에서 남성과 여성 중 누가 먼저 등장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부분이 남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성 고정관념이 영어 교과서에 반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 교육에서 노태희 외 2인(2004)에서는 성별에 따라 학생들의 점수에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여학생과 남학생의 과학을 접하는 태도에 따른 차이라고 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과학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남성의 경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학에 대한 성 고정관념이 반영되었다고 이야기하였다. 또한 6차 교육과정에서 나온 교과서보다 7차 교육과정에서 나온 교과서에서는 여성의 등장 비율을 높여 여학생과 남학생이 성 고정관념으로 인하여 과학에 대해 다르게 접하지 않게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기준을 세웠으며 본 연구에서 살펴본 내용은 집필진 구성과 대화문, 그리고 사진, 삽화, 사진과 직장 상사를 다시 세부 항목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진 문서나 내용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을 통하여 양적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등장인물이 남성이었으며 여성이 등장하더라도 외국인 근로자로서 등장한 경우는 찾아 보지 못했다. 집필진이 여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이 집필한 교재도 남성 중심으로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집필진의 구성이 다수일 경우 남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보조 연구원 또한 남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 대화문에서도 남성 발화자가 더 많이 등장하였으며 그러한 경우 배경이 공장이거나 공장 관련 대화를 나누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이 등장한 경우에는 가게나 식당에서 일하는 아주머니인 경우가 많았으며 다른 경우에는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인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 성 역할 고정관념을 가장 잘 볼 수 있었던 곳은 그림, 삽화, 사진이었다. 여성의 경우 가사 및 육아와 관련된 그림에 국한되어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도 무거운 것을 드는 그림에서 나타났다. 여성이 무거운 것을 들거나 공장에서 일을 하는 장면은 나타나지 않았다. 직장 상사에서도 마찬가지로 직장 상사로 등장한 인물은 전부 남성이었다. 직장 상사로 등장한 남성의 경우 권위적이거나 보수적인 성향을 지녔으며 혹은 자상하고 배려심이 깊은 인물로 묘사되기로 하였다. 이러한 점은 여성보다 남성의 경제 활동이 더 길다는 것에 근거를 두고 여성보단 남성이 더 적합하다는 판단을 근거로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를 젠더 분석하면서 많은 교재를 보지 못한 점과 외국인 근로자와 비슷한 상황을 갖고 있는 비즈니스 목적 한국어 교재를 함께 보지 못한 점이 가장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무엇보다 앞으로 한국어 교재를 개발할 때 성 차별적 요소가 반영되지 않도록 기여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So far, studies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many gender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s were not found. Once again, I examin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tudy. In the study, the document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quantative research through systematic and specifix criteria. Generally, it was confirmed thay male oriented materials are produced in many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