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탈북 학생을 가르치는 초보과학교사의 ‘충돌’경험을 통한 반성적 교수실천

Title
탈북 학생을 가르치는 초보과학교사의 ‘충돌’경험을 통한 반성적 교수실천
Other Titles
Reflective Teaching Practices through Difficult Situation : Focused on a Preliminary Science Teacher
Authors
오유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미연
Abstract
본 연구는 탈북 학생을 지도하는 초보과학교사가 수업상황에서 어떠한 어려움과 문제점을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어떠한 반성적 시도를 하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A 대안학교의 검정고시 준비반 8명 학생을 지도하는 초보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학 수업은 2014학년도 2학기동안 총 21차시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업내용은 모두 녹음 및 녹화 후 전사하였다. 연구자는 6차례 참여 관찰하였고, 교사와 7차례의 심층 면담을 하였다. 수업 전사 자료와 교사의 수업 후 반성일지, 면담 전사 자료를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교사는 학생의 이야기와 참여를 수업에서 의미 있게 이끌어내지 못하였다고 생각하여 실패를 경험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실패 경험을 ‘충돌’이라 표현하였고, ‘충돌’을 수업하면서 겪은 어려움과 문제점으로 설명하였다. 교사는 실패 경험을 통해 본인이 교사로서 가지는 역량과 생각에 대해 반성하고 있었고, 보다 수업에서 학생의 이야기와 참여를 의미 있게 이끌어내기 위한 반성적 시도를 하고자 하였다. 교사는 학생의 이야기를 수업에서 사용하고자 학생들에게 질문과 알고 있는 것을 이야기 해보도록 하였으며, 이후 학생과 함께 학습 개념을 구성해가는 수업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의 시도는 실패 경험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었다. 교사는 이 과정을 통하여 학생이 가지고 있는 이야기가 수업에서 의미 있게 사용된다는 것을 깨닫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이미 학생의 이야기가 수업에서 사용 될 수 있다고 믿고 있었고, 그리하여 학생에게 역할을 주고자 하였다. 교사는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가르치고자 한 개념에 대한 이야기를 갖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었으며, 보다 더 수업에서의 학생의 역할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이처럼 교사는 본인의 실패 경험을 통해 다양한 학습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수업에서 학습 개념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학생이 수업 상황에서 보다 더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양한 학습자를 가르치는 초보교사는 학생의 이야기를 수업에서 듣는 것이 의미 있음을 인지하고, 이야기가 사용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여 보다 학생이 수업의 중심이 되는 수업 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effort when teaching defected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A researcher had observed her class and interviewed during a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preliminary science teacher thought that the connection between students’ participants and experience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learn science. However, she had some difficulty. The reason is that she did not know well, in real class, how to induce the connection between students’ participants and experience. She expressed this difficulty as a “conflict”. She reflected on her competence as a science teacher, but this reflection affected to make her class more meaningfully. Next, she asked her students to tell their own story and questioned to let them know science concepts needed to learn. It was one of methods to overcome her conflict. She was conscious of the value about each story among learners. Finally, she tried to offer opportunities to take part in her class. At first, she failed to make her class as she expected, but her failure was rather one of processes to let students learn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learner-centered class i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even though the students are defected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The defected students may experience lack of opportunity to learn science. Therefore,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should consider this aspect when teaching the defected students, but they need not to be discouraged if they fail to help students attend at the science class. Because their failure will be a process to help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