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또래애착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또래애착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asic Needs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age attachment
Authors
정희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The research surveye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among youth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n which self-determination and inherent motivation greatly affects human behaviors. Accordingly, a total of 508 students (female and male) in a middle school (grade 1, 2, 3) in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for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on the measure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 as well as demographics statistics. SPSS 22.0 was used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rform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n collected data. Also,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 were performed. In addition, Sobel Test was performed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study o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among youth showed that there exist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peer attachment. That is, the higher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lower the children’s peer attachment stability. Moreo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s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t implies that, the higher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lower the children’s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It implies that peer attachment stability increases wh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satisfie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suggest that, wh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is high, children experiences frustration in fulfill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eer attachment stability decreases. Second, in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needs, competence needs and relationship needs in a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autonomy need, competence need and relationship need have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result implies that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impact peer attachment of youth not directly but through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lso, satisfac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needs could be obtained not only from parents but also from teachers and counselors. Therefore, a counselor must pay attention to satisfy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youth during the counseling of youth who suffer from problems in peer relationship.;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에 자기결정과 내재적 동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 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을 바탕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만족, 청소년의 또래애착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남녀 508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척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 청소년의 또래애착척도,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분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청소년의 또래애착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또래애착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자녀의 또래애착 안정성은 낮아지는 것을 뜻한다. 또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기본 심리적 욕구 역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은 낮아지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또래애착 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기본 심리적 욕구가 만족될수록 또래애착 안정성은 높아지는 것을 뜻한다. 변인 간의 관계를 통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은 좌절되고, 자녀의 또래애착 안정성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또래애착 관계에서 자율성욕구, 유능성욕구, 관계성욕구 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자율성 욕구, 유능성 욕구, 관계성 욕구의 만족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또래애착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기본심리적 욕구를 통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성·유능성·관계성 욕구의 만족은 부모뿐만 아니라 교사나 상담자 등 주변사람을 통해 만족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또래관계로 힘들어하는 청소년을 상담하는 장면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기본심리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