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성별에 따른 의사소통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Title
성별에 따른 의사소통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to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sexes :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Authors
유정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숙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과 자기수용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자기수용이라는 변인을 설정하고 이들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확인해보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도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요소들을 탐색하고 직업 만족도 향상을 위한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개발 시에 사용할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8일까지 LG전자를 중심으로 삼성, 현대, 기아 등 국내 대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여 이들 변수간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경로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과정과 실증분석을 통하여 규명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 간에 의사소통 양식 중 공감, 직면, 공격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구성원 간의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구성원 간의 직면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 구성원 간의 공격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양식 중 공감, 직면, 공격과 자기수용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감만이 자기수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구성원 간의 성별에 따라 의사소통 양식 중 공감, 직면, 공격이 직업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경로분석 결과 남자, 여자 모두 공감과 직면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 검증 결과 남녀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경로분석 결과 여성의 경우 공격이 직업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공감, 직면, 공격, 자기수용, 직무만족에 대하여 인과적 모형을 설정하고 그 관계를 검증하였다.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의사소통과 직무만족, 자기수용과 적응과 같이 관계를 단선적으로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공감, 직면, 공격, 자기수용, 직무만족에 대하여 모형을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에 따라 자기수용이 공감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경로모형을 확인하고 관계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수용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수용 변인이 환경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혔으나 직장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 밝힌 자기수용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추후에 EAP 프로그램 계발에 있어 자기수용 및 직무만족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대기업 조직구성원 직무만족도를 상담 관점으로 접근하여 조직 구성원간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담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실제를 조직구성원과 그들의 관계에 대입 모델화하여 직업만족도의 개념을 도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관점에서의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아직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미지의 영역에서 새로운 개념과 이론적 관점들을 관계 규명하였다는 점과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시도에 의의를 가지고 있다.;This study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self-acceptance. Based on theoretical analyses and previous studies, communication and self-acceptance a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i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Mediated effects between variables are empirically tested. It is furthermore explored that whether effects vary depending on sexes.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factor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re observed and empirical data that can be used in EAP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re to be provide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below. A survey is carried out aimed at employees in large businesses including LG, Samsung, Hyundai, Kia, for the period 1st April to 28th April in 2015. With survey data collected, a frequency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are conducted through an SPSS/AMOS 22.0 program. A path analysis and a sobel test are also carried out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below. The first is that sympathy, confrontation and attack between members in business have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Higher level of sympathy between members is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job satisfaction. Higher level of confrontation between members is also linked with the positive job satisfaction. Higher level of attack between members i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Second of all, from the observ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ympathy, confrontation, attack and self-acceptance, only sympath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elf-accept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athy and job satisfaction, self-acceptance shows significance on the mediated effect. Finally, it is examined that how sympathy, confrontation and attack would have an impact on job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ex of members.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the higher level of sympathy and confrontation in both men and women is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 t-test, two different sexes do not demonstr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however, there is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of attack in the case of me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of all, throughout the study, a causal model is found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sympathy, confrontation, attack, self-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previous studies have had a ceiling in the unilinear views of the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or self-acceptance and adaptation. This study, however, accesse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ympathy, confrontation, attack, self-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model setting that test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model identifies its structure and direction with the fact that self-accepta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athy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only aimed at students to identify the fact that self-accepta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nvironmental adaptation, but not aimed at employees in organizations.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significance between self-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would be very valuable findings of this study when developing an EAP program to study self-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Last but not leas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in big businesses on job satisfaction in a counseling approach. Moreover, the study replaces concepts and practices in counseling with membe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businesses. The substitution is structured and finally draws a new concept of job satisfaction. Lastly, this study has its substantial meaning in terms that new concepts and theoretical views are established in new areas that not many studies are yet to be explo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