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0 Download: 0

한국 고등학생의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에 대한 고정관념 연구

Title
한국 고등학생의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에 대한 고정관념 연구
Other Titles
Étude sur les stéréotypes des lycéens coréens sur la France, les Français et le français
Authors
지선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한업
Abstract
현대 사회는 전례 없는 교통수단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원화’가 진행되어 왔고 그 속도는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그렇지만 ‘다원화’를 ‘풍요로움’이라는 기회가 아닌 ‘위협’이라는 갈등으로 인식함에 따라 세계 곳곳은 다양한 인종 문제를 겪고 있다. 다원화의 물결에서 예외일 수 없는 한국에도 많은 수의 외국인이 유입되었고, 그에 따른 문제들이 발생함에 따라 다양한 정부 부서에서 대책이 마련되어 왔다. 교육부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범교과 주제로 ‘다문화교육’을 설정하고, 교육적 목표로서 ‘다원적 가치’의 이해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질성과 다양성을 위협이 아닌 풍요로움으로 수용하기 위한 노력은 외국어교육에도 반영되고 있다. 외국어교육의 목표는 언어능력의 습득 외에, 지식으로서의 문화 습득과 더불어 다중 언어·문화적인 가치를 수용하는 태도의 양성으로 확장되었다. 이처럼 외국어교육은 의사소통적 목표(objectif communicatif)뿐만 아니라 교육적 목적(objectif formatif)까지 강조하며,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여 다원적 사회에서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고등학교 프랑스어교육은 이러한 능력을 얼마나 키워주고 있는 것일까? 본 연구는 Abdallah-Pretceille의 주장에 따라 타인의 문화에 대한 수용의 시작점을 고정관념을 자각하고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에 대해 어떤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프랑스어 수업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의 고정관념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고등학생이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조사하기 위하여 제2외국어를 배운 경험이 없는 고등학생 69명을 대상으로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 하면 떠오르는 단어 혹은 문장을 3가지씩 적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빈도에 따라 정리하여, 고등학생의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에 대한 고정관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프랑스어 수업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에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에 대한 고정관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제2외국어로 프랑스어를 배운 학생 98명과 그렇지 않은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는 리커트 5척도 형식이고, 문항 내용은 1차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여, 프랑스 관련 문항 8개, 프랑스인 관련 문항 17개, 프랑스어 관련 문항 9개로 구성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프랑스, 프랑스인, 프랑스어에 대한 고정관념은 긍정적인 관점이 우세했다. 프랑스에 대해서는 에펠탑과 파리 같이 구체적인 상(像)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프랑스인은 외모와 성격 면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프랑스어에 대해서는 관심과 호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프랑스어에 대해서는 호감만큼이나 배우기에는 어려울 것이라는 두려움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과 더불어, 목표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외국어 학습에 무조건적으로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바 있으므로, 프랑스어 수업은 학생들이 프랑스 문화에 대해 균형 잡힌 관점을 기를 수 있도록 프랑스 문화의 다각적인 양상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고등학교에서 프랑스어를 배운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의 프랑스, 프랑스인에 대한 고정관념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프랑스어에 대한 고정관념에만 차이가 있었다. 성별이나 외국체류경험의 차이에 따라서는 프랑스와 프랑스인에 대한 고정관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 달리, 프랑스어 학습 경험에 따라서는 프랑스어에 대한 고정관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고등학교 프랑스어 수업이 언어에 대한 인식에는 지식과 정의적인 면에서 모두 영향을 끼쳤으나, 문화에 대한 인식에는 지식과 태도 면에서 아무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즉, 프랑스어교육이 태도 영역에 대한 교육 목표는 성취하지 못한 것이며, 프랑스어수업이 언어 교수·학습에 치중되어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프랑스어교육을 통해 다른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적인 태도를 양성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웹 기반의 상호적 문화 교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은 한국과 프랑스 간의 물리적 거리를 극복하여 양국 학생들 간의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고, 다른 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양성하는 데에 현실적으로 적합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Avec un développement sans précédent des moyens de transport et des technologies de la communication, la société moderne devient de plus en plus "pluraliste". La vitesse de cette mutation ne cesse de s'accélerer. Néanmoins, les gens sont en train de vivre de divers conflits éthniques partout dans le monde car "le pluralisme" est perçu comme "une menace" au lieu d'"une richesse". La Corée du sud voit aussi un grand nombre d'étrangers entrer dans le pays. Au fil des problèmes produits en conséquence, ses ministères proposent leurs mesures. En tenant compte de ce mouvement, le ministère de l'éducation a mis en place "l'éducation multiculturelle" en qualité d'un sujet transversal pour tous les programmes scolaires et poursuit l'objectif éducatif, "la valeur pluraliste". Les efforts déployés pour accepter l'hétérogénéité et la diversité comme une richesse se trouvent dans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aussi. En plus de l'acquisition de compétences en langues étrangères, les objectifs de ce dernier s'étend sur celle de la culture en tant que les connaissances ainsi que sur l'apprentissage des attitudes accueillant des valeurs pluri-culturelle·linguistique. De ce fait, cet enseignement met l'accent non seulement sur l'objectif communicatif, mais aussi sur l'objectif formatif. Il cherche également à améliorer la capacité des apprenants de bien vivre en relation harmonieuse avec l'autre dans la société actuelle. S'il en est ainsi, à quel point l'enseignement du français au lycée correspond-il à ses objectifs? En supposant que reconnaître les stéréotypes soit un point de départ pour accepter les autres cultures, dans cette étude, deux problématiques se sont posées : i) Quels sont les stéréotypes des lycéens sur la France, les Français et le français? ii) Est-ce qu'il se trouve la différence au niveau de ces stéréotypes entre les apprenants du français et les non-apprenants? Pour y répondre, nous avons effectué une enquête auprès de lycéens. D'abord, à propos de la première problématique, nous avons demandé à 69 lycéens (non-apprenants) d'écrire 3 mots ou phrases en association avec la France, les Français et le français. En fonction de la fréqence de leurs réponses, nous les avons examinés. Ensuite, quant à la deuxième, nous avons passé un questionnaire à 2 groupes de lycéens (98 apprenants et 105 non-apprenants). L'outil est composé en 3 échelles de Likert comprenant 5 degrés. Chaque échelle a été construite après la pré-enquête (8, 17 et 9 items respectivement pour celles de la France, des Français ainsi que du français). Dans la partie d'analyse, nous avons recouru aux méthodes statistiques de T-test de l'échantillon indépendant et d'analyse de régression multiple. Après ces étapes, nous sommes arrivés aux résultats suviants : Premièrement, des stéréotypes positifs sont plus importants. Nos participants ont tendance à percevoir la France comme une image concrète telle que la tour Eiffel et Paris. Ils considérent l'apparence des Français et leurs caractères comme positifs. Ils sont intéressés par la langue française, cependant ils appréhendent de la difficulté pour l'apprendre. Dans le but permettre aux apprenants d’acquérir une vision équilibrée, il nous semble nécessaire de présenter des aspects divers de la réalité de la France. Deuxièmement, nous constatons qu'il n'y a pas de différence entre les apprenants et les non-apprenants concernant les stéréotypes sur la France et les Français sauf ceux sur le français. En effet, d'après nos méthodes statistiques, nous n'avons obtenu une différence significative entre les deux groupes que dans ceux sur le français alors que nous en avons dans ceux sur la France et sur les Français selon le sexe, l'expérience à l'étranger. Ces résultats signfieraient que l'apprentissage du français influence la perception de la langue sur les aspects affectif et du savoir mais qu'il n'apporte aucun effet par rapport à celle de la culture sur ceux de l'attitude et du savoir. En d'autres termes, il n'atteint pas l'objectif éducatif dans le domaine de l'attitude et se focalise trop sur l’enseignement-apprentissage de la langue. À partir de ces résultats, nous proposons les échanges interculturels sur internet. Cela serait la solution la plus réaliste et la plus efficace afin qu'à travers la classe du français les apprenants puissent rétrécir la distance culturelle entre coréenne et française, et finalement, améliorer leur capacité de recevoir la valeur pluralis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