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포장용기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포장용기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Packing Container Design Lessons Applying the SCAMPER Technique on Creative Expression : Based on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공희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주요 특징은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그에 따라 지식이 계속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현재의 지식이나 기술은 얼마 지나지 않아 쓸모없게 되어 버릴 수도 있고, 새로운 기술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 가운데 창의성은 현대인이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소양 중 하나가 되었다.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는 전과는 다른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이 중요하게 된 것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인류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이유로 창의성 교육은 현대,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로 대두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글로벌한 창의 인재’를 교육이 추구해야할 인간상으로 명시하며 이를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개정 교육과정 미술에서도 중학교 교육목표를‘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초능력과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른다.’라고 명시하였고, 전체 미술과목의 목표를‘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라고 명시하며, 창의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창의성은 막연한 상태에서 갑자기 떠오르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교육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중등 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미술 수업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를 위하여 창의성과 창의적 표현력 및 다양한 창의성 사고기법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다양한 창의성 사고기법 중에서 스캠퍼기법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주어진 질문에 따라 답을 하며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학습자가 다양한 관점에서 발상하며 창의적이고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쉽게 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고안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 후, 2009개정 미술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와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총 7차시의 디자인 수업을 설계하였고, 수업의 제재로는 포장용기디자인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한 A중학교 3학년 2개 반 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여 두 집단 간의 창의적 표현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수업이 실시된 실험집단은 활동지 및 실기 결과물 평가에서 전통적인 디자인 수업이 실시된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적 표현력이 높게 측정되었고, 이에 따라 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기법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창의적 표현력 차이를 비교·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의 결과물을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에 따라 평가하고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평균 3.96, 통제집단 평균 2.96으로 실험집단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주제표현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이 평균 3.99, 통제집단이 평균 2.91으로 실험집단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이 평균 4.01, 통제집단이 평균 3.03으로 실험집단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형요소와 원리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평균 3.85, 통제집단이 평균 2.97로 실험집단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만족도 및 자기 평가 결과,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업 만족도 문항인 학습 목표와 주제 이해, 수업자료의 도움, 활동지의 효과, 선생님 발문의 효과, 포장디자인의 이해, 아이디어스케치의 효과, 수업 흥미도는 각각 실험집단 평균 4.33점, 4.40점, 4.37점, 4.40점, 4.27점, 4.27점, 4.50점, 통제집단 평균 3.17점, 3.17점, 3.10점, 3.17점, 3.20점, 3.20점, 3.23점으로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전통적인 디자인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자기 평가 문항인 자기주도성, 작품의 창의성, 참여도, 결과물 만족도에서는 각각 실험집단 평균 4.33점, 4.33점, 4.33점, 4.33점, 통제집단 평균 3.20점, 3.10점, 3.27점, 3.10점으로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의 자기평가가 전통적인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의 자기평가보다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포장용기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창의적 표현력 향상 및 수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스킬만을 중시하는 결과물 위주의 수업이 아닌 스캠퍼기법을 적용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디자인 수업은 학생들에게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것은 물론, 수업 만족도 및 자기평가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설계가 요구되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창의성 사고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21st century information-oriented age are that the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our knowledge, too, constantly changes accordingly. Thus, our current knowledge or skills can soon be treated worthless, requiring us to acquire new techniques to replace them. In this periodic situation, creativity has become one of the mandatory attainments for modern people. To make our lives more flourished, we need genuine ideas which differs from the previous ones, and consequently, the ability to generate these new ideas has become significant. Creative ideas provide mankind with pleasure and aid us manage joyous lives. For these reasons, creativity education has come to the force as the keyword for present and future society. In fact,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9 specified that our education should pursue 'a global talent who possesses both creativity and excellent character' and should apply this pursuit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2011). Additionally, the revised educational art curriculum in 2009 stated that the middle school's educational objective is to 'Raise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based on their basic capacity required for education and lif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educational art curriculum in 2009 also affirmed the whole art subject's objective as 'expressing one's feelings and thoughts creatively and raising one's communication skill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2011). Creativity does not emerge from a blank state, but rather from organized education. However, it is our sad reality that middle school education does not compose of methodical curriculum. Therefore, we need a well formulated teaching-learning program in art classes for the students' creativity enhancement.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perform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the conception of creativity and creative expression and various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for the layout of designing program for an enhancement in creative expressing. Among the various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SCAMPER technique uses checklists, developing ideas according to the assigned questions. This method originates ideas from numerous perspectives and facilitates a simple formation of specific ideas. Hence, this research will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MPER technique-applied design lessons on the enhancement in students' creative expressing process. First, after a thorough theoretical observa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vised educational art curriculum in 2009 and its system of contents and textbooks.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researcher established 7 SCAMPER technique-applied designing classes and selected packing and container designing for the main topic of the class. From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Eunpyeong, 60 students from 2 classes of third grade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research. 30 of those students were assigned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t 30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After completing an equivalence check, the researcher utilized a SCAMPER technique-applied teaching-learning program on two groups which had their homogeneity verified to certify wheth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creative expression between two groups. Following was the main outcome of this research. First, in an activity paper and a final evaluation for a verification of creativity enhancement, SCAMPER technique-applied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applied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ubstantial difference in creative expression, revealing the positive effects of SCAMPER technique. To compare and contrast the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creatively express between the two groups, I evaluated the results based on the creative expression-evaluation tool 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statistical average with an average of 3,96, while the control group had a statistical average of 2.96. When I scrutinized the subordinate domains of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n average of 3.96 and the control group had an average of 2.91, again, demonstrating a significant contrast between the two. In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experimental group had an average of 4.01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an 3.03; conclusive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and more meaningful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 Even in modeling element and principl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n average of 3.85 while the control group had a 2.97. Second,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and self evaluation, there was an immens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alculated means of class objectives and understanding of the topic, the assistance of teaching material, the effects of activity paper, the effects of instructor's questions, understanding of packing design, effects of idea sketch, and level of interest of the class were shown as 4.33, 4.40, 4.37, 4.40, 4.27, 4.27, 4.50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7, 3.17, 3.10, 3.17, 3.20, 3.20, 3.23 by the control group. All in all, the SCAMPER technique-applied designing classes had a great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method-applied designing classes. The items of self evaluation: self initiative, creativity of work, level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output were shown as 4.33, 4.33, 4.33, 4.33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3.20, 3.10, 3.27, 3.10 by the control group, displaying th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These results prove the fact that designing class which utilizes the SCAMPER techniqu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lass attitude and product overall. In a nutshell, SCAMPER technique-applied packing designing classes had positive effects on 3rd grade middle schoolers' enhancement in creative expression and their classe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for an organized and step-by-step designing class, rather than performing the traditional method which focuses only on the results, not only enhanced the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but also inspired an easier and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lesson matter. For the students' enhancement in creative expression, a well systemized Design teaching-learning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educational field is highly required and class research involving various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like the one mentioned should be achie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