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설득 담화 교육 방안 연구

Title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설득 담화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 of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이성적 설득과 감성적 설득이 조화를 이룬 효과적인 설득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문학에서 주로 연구되었던 스토리텔링을 설득 담화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이 가지고 있는 감성적인 부분과 더불어 스토리텔링 안의 이야기 논리 등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설득 담화 교육의 방법을 논하고자 한다. 최근 스토리텔링이 각 분야에서 각광받기 시작하였고, 국어교육 내에서도 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스토리텔링을 구체적으로 국어교육 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설득 담화 교육에서는 이성적인 측면만을 강조하여 교육해왔고, 감성적인 측면의 설득은 배제되어 왔다. 최근 국어교육 내에서도 감성적 설득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는 있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점에서 문제의식을 발견하여 스토리텔링을 설득 담화 교육에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설득 담화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화법 영역에서, 설득 담화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재개념화 하여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설득의 개념을 검토하고, 설득의 전략들을 검토하였다. 설득 담화 교육의 비판적 검토를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1) 설득 전략의 단순 나열, 2) 설득하는 공적 말하기 부족, 3) 일상적 설득 대화 부족이라는 현재 설득 담화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서사에서 사용되고 있던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특성을 검토하여, 설득 담화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개념을 정의하였다. Ⅲ장에서는 실제적인 설득 담화를 분석하였다. 광고, 연설, 대화를 어떤 전략들이 사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나아가 확장된 스토리텔링의 개념을 적용하여 설득 담화를 분석하였을 때, 어떤 점을 새롭게 볼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폈다. Ⅳ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설득 담화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앞서, 지금까지 검토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설득 화법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설득 화법 교육의 지향점은 1) 설득 전략의 유형화 및 설득 단계에 따른 조직 방안 구체화, 2) 설득하는 공적 말하기 추가, 3) 일상적 대화 추가 등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과 설득 화법이 어떤 점에서 연계될 수 있는지 살피고 1) 설득 화법 단계에 따라, 2)화법 유형에 따라 실제적으로 설득 담화 교육 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화법 유형에 따라서는 광고, 연설, 대화에 따라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설득 담화를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서사에서 주목을 받았던 스토리텔링을 설득 담화 교육에 활용하여 효과적인 설득 방안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스토리텔링이 설득 담화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method of effective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which balances the rational and emotional persuasion utilizing story-telling. So this examines in persuasive discourse how we can use story-telling that is usually studied in literature. It discusses the plan of effective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making use of the emotional part and the story logic story-telling has. Recently story-telling starts to take the center stage in various fields. There has been the expectation that story-telling can be used diversely in Korean education too. However, how to use it concretely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n education. Also, the rational part has been mostly emphasized in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but the emotional part has not. Lately the necessity of emotional persuasion constantly comes up for Korean education. Yet, the specific plan has not been arranged. This problem made this study seek the effective method using story-telling for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the detailed education plan by reconceptualizing story-telling speech section, which allows teachers to use story-telling in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In the second chapter, the existing concept of persuasion and persuasion strategies are reviewed. The curriculum text books are examined for the critical review of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Through this, the problems of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have been deducted as followed, 1) a mere listing of persuasive strategies, 2) the lack of persuasive public speech, 3) the shortage of usual persuasive conversation. Also, the concept of persuasion is enlargedly defined by reviewing the definition and characters of story-telling in the existing narration, which makes story-telling used in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In the third chapter, persuasive discourse analysis has done practically. It is analyzed that what kinds of strategies are employed in advertisements, speeches and the conversation. By extension, newly found points are focused examining persuasive discourse with the extended story-telling concept. In the fourth chapter, it is explored that the definite plan for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Prior to this,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 so far, this study suggests what persuasive speech education consists of. Pointing spots of persuasive speech education are as followed, 1) categorizing persuasion strategies and giving a shape to the organizing plan according to the persuasive level, 2) the additional persuasive public speech, 3) the supplement of usual conversation. Based on this, it is examined in which point story-telling and persuasive speech are connected. Also, this thesis proposes the specific strategies which can be used in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practically, according to 1) the level of persuasive speech and 2) the speech type. The speech type consists of advertisements, speeches, and the conversation. This study is relevant in the point of seeking the effective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method by applying story-telling, which originally received attention in narrative, to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assibility, story-telling is actively used in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is extended through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