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장희수-
dc.creator장희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1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15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드라마 속 담화 분석을 활용해 바람직한 화법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성인들이 주인공인 직장 드라마를 분석하여, 성인의 바람직한 화법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근본적으로 청소년기 화법 교육의 방향성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먼저,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로 인해 복잡한 형태의 화법이 존재하는 ‘직장’이라는 사회적 공간을 통해 보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화법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화법의 실태 분석은 실제 직장 내 화법 분석이 아닌, 현실을 투영하는 드라마라는 텍스트를 통해 바람직한 화법과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직장 내 화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담화의 배경이 되는 ‘직장 내 화법에 대한 연구’와, 텍스트인 ‘드라마 속 화법’에 대한 선행 연구 그리고 연구를 통해 지향하는 목표인 ‘바람직한 화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텍스트인 미생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분석부터 사회문화적인 분석까지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직장 내 화법은 ‘관계 층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분석해야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인 드라마의 경우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극적인 요소를 제외하여 분석한다면 유효한 제재라는 판단을 갖게 하였고, 바람직한 화법에서 ‘공감’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파악하였다. Ⅲ장에서는 드라마 ‘미생’을 담화에서 중요한 층위인 ‘관계적인 측면’과 메시지를 나누는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 그리고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분석’을 통해 담화 속 화법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앞에서의 분석을 토대로 직장 내 화법 개선 방향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먼저 담화를 나누는 참여자가 역할과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통해 담화의 기본적인 구성을 한 후 담화를 나누는 현실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감 메시지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공감 메시지는 비폭력대화와 현재 국어과교육과정에서 언급하는 메시지 구성에 크게 3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언어적 메시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언어적 메시지를 통해 강화시킬 수 있음을 전제로 비언어적 메시지를 통한 의미의 강화를 마지막 단계로 두었다. 본고는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드라마를 활용한 화법 분석은 드라마 자체가 갖는 극적인 요소로 한계를 갖고 있지만, 당시의 사회문화를 반영하고 있고 대중의 공감을 얻는 정도에 따라 실제의 화법을 반영하고 있는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둘째, 현재 화법의 목표를 ‘상호작용성’에 두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으므로 이런 점을 바탕으로 청소년기부터 일반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실용적 교육 위주로 화법 교육을 한다면 성인 화자의 담화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잘못된 담화 예시는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화법의 궁극적 목적이 ‘바람직한 화법의 일상화’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내용 전달 위주의 화법 교육이 아닌 관계지향적 차원의 현실에 적합한 화법 교육의 방향으로 재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생’이라는 드라마 속 담화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화법 향상을 위해서는 화법의 가장 기본 층위인 관계에서 출발한 이해에서 비롯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관계를 명확히 인식한 상태에서 개인적 또는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메시지를 선택하여 발화하여야 올바른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는 극적인 요소가 많은 드라마라는 매체를 활용했기에 보다 실제적인 차원의 텍스트가 필요하며, 또한 현실적인 사례를 통한 청소년 학습자를 위한 구조화된 화법의 향상 방안이 담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향후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는 있는 점에 따라 직무 수행에 필요한 실용적 화법 구사 방안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has intended to search for the desirable speech scheme by utilizing the analysis of the conversations in soup operas. The objective was to propose the desirable speech scheme of the adults with the job soup operas where adults are the main characters as the objects, which fundamentally was to propose the directional nature of the speech education of the adolescents. The focuses to be discussed with this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tends to survey the actual status of the speech from practical point of view through the social space, the 'work place' where complex shapes of speeches exist due to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Second, the study shall survey the difference with the desirable speeches through the texts, the soap operas which reflect reality and propose the direction for the desirable speech based on this. The chapter II reviewed the study about inside-the-work place speeches which become the backgroun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tudy, precedent studies about the text, 'speeches in the drama' and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desirable speeches, the objective pursued through the studies and surveyed the objective data analysis about the text, Misaeng and the socio-cultural analysis. The chapter III has surveyed the relational phase, the important layer in the conversation of Misaeng, the drama and the lingual and non-lingual messages which divide the messages and the actual status of the speeches inside the conversations through analysi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The chapter IV has proposed the directions of the desirable speeches by the step based on the analysis from previous chapters. First of all, this chapter has made the basic composition of the conversation through the precise perception about relationships, understood the situations and composed the message. The message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non-violent conversations and the composition of the messages mention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s paper has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e procedures above. First, although the speech analysis utilizing the soap operas which have been applied in this study have limited dramatic elements possessed by the soap operas themselves, it can be a good example which reflects the social culture at that time and is reflecting the actual speeche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it is obtaining the sympathy of the public. Second, since the trend which puts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peeches on the interactions is being fortified, if the speech edu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practical education through various examples which can be generalized from the adolescents based on this trend, the numerous wrong conversation examples occurring in adult speakers' conversation can disappear. Lastly, that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speech is the generalization of the desirable spee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not the content conveyance centered speech education but the direction of the speech education of the relation-oriented phase of reality should be reestablished. To synthesize the result of the study so far, it can be known that for the improvement of desirable speech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versation inside the soap opera, Misaeng, the understanding should come from the most basic layer of the speech, relationship. The correct communication can be proceeded when the effective message is selected and igni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and socio-cultural situation while perceiving the relationship precisely. However, the study so far has utilized the medium, soap opera which has many dramatic factors, thus following studies will be needed which contain improvement schemes of the structured speeches for the adolescent learners through practical phase of examp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3 Ⅱ. 선행 연구 및 ‘미생’개관 7 A. 선행 연구 검토 7 1. 직장 내 화법에 대한 선행 연구 7 2. 협력적 대화에 대한 선행 연구 9 3. 드라마 화법에 대한 선행 연구 11 B. ‘미생’의 개관 13 1. 줄거리 13 2. 등장인물 소개 14 3. 미생의 사회 문화적 배경 17 Ⅲ. 드라마 ‘미생’의 담화 분석 21 A. 화자와 청자의 관계 21 B. 언어적 메시지 27 C. 비언어적 메시지 45 D. 사회 문화적 상황 50 Ⅳ. 직장 내 화법 개선 방안 55 A. 담화 속 역할과 관계 인식 56 B. 사회문화적 상황 이해 60 C. 공감 메시지 선택 62 D. 비언어적 메시지를 통한 의미 강화 67 Ⅴ. 결론 및 논의 72 참고문헌 74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75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직장 내 화법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드라마 ‘미생’의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is study has intended to search for the desirable speech scheme by utilizing the analysis of the conversations in drama ‘Misaeng’-
dc.creator.othernameJang, Hee Soo-
dc.format.pagevi, 81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