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59 Download: 0

고등학생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itle
고등학생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main causes influencing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of high schoolers
Authors
박미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perceived differences in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to show main causes influencing on i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ggesting its prevention and a direction to resolve the maladjustments. This study ha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study was expected to analyze the perceived differences in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through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cale of area, affiliation of schools, school type, and coeducation school or not, and it was also anticipated to find and show the main causes influencing on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as analyzing three different variable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To design a research model for the study, it set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for its dependent variable, and set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variables for its independent variables. Sub factors of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ar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iendship, concentration in class, and compliance with the school rules, which factors were designed from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and results of variable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4,610 of 10th grade in high school students whose data were researched by KED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carried out in 2008. The data of the research were analyzed through variable analysis, cross analysis proc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male students more higher score of maladjustment than female students, and who live in rural area, and occupational school students have experienced more school life maladjustment than students in other areas. Second, main causes influencing on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can be explained with three variable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First, In case of individual variable, it explains that male students have more trouble with school life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main cause on the maladjustment was entrance exam pressure. However, when self-efficacy, self-directedn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ffort, and endurance are rising to high level,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is going lower. Second, In case of family variable, the study could not find any negative variable which is related to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However, if there was high level of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decreases. Third, In case of school life variable, it shows tha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iendship, concentration in class, and compliance with the school rules affects on lowering the level of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Whereas, the school violence and the drastic disciplinary punishment have negative effect on the maladjustment. As a consequences, the causes of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can not be accounted by one specific factor. In other words, students, family, teachers and schools need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focus to resolve the maladjustment. Moreover, the government or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develop proper policies and programs with the constant management. Based on the study, three kinds of policy can be proposed. First, it needs a policy considered students' personal factors like as gender, grade and school type. Also, a counseling program is required. The program need to have a purpose to decrease negative emotion coming from entrance exam pressure and to share their personal issue in school. Second, A program for parents is demanded. Through the program, parents can expected to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how to nurture them, and how to give them compliment and encouragement. The program surely can protect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Last but not least, school should develop their own educational program making a relationship between school members improved. Through the program, the whole school need to understand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as not only a particular student's issue, but also all school members'. So, the program should run with all the school members;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ion is important factor of the program.;학교 교육은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학교 교육의 과정과 결과는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학생들은 좋은 학교에 입학하여 더 좋은 교육을 받기 위해 입시 위주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학교 교육의 결과가 인생의 성패로 인식되는 사회에서 학생들은 획일적인 교육을 받으며 과도한 경쟁을 하며 살아간다. 그러다보니 많은 학생들은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불안한 청소년기를 보내게 되고, 그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학교를 벗어나기도 한다. 학교에 부적응하는 학생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정상적인 교육 운영을 위해 이러한 학생들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개인의 욕구불만, 갈등, 불안, 무기력, 입시스트레스 등과 같은 학생 개인의 심리적·정서적 문제가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개인의 문제, 심리적·정서적 특성들은 학생들이 생활하는 환경에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생기는 결과이다. 가정의 낮은 경제적 수준, 부모의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양육태도, 부모의 일관되지 못한 양육태도 등과 같은 가정에서의 문제가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나 친구와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 학습부진, 학교폭력, 따돌림 등은 학교 부적응과 관련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알고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의 인식 차이가 어떠한지 분석하고,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생성별, 지역규모, 학교계열, 학교설립구분, 공학여부인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 부적응의 인식 차이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둘째,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생활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이 학교 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학교부적응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생활요인 등 3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 결과와 요인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학교부적응의 하위 구성요인은 수업 부적응, 학교규칙 부적응,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 친구와의 부정적 관계로서 4개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수는 개인요인에서 7개, 가정요인 4개, 학교생활요인 7개 등 총 18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에서 4차년도(2008년)에 조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61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요인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학교 부적응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 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지역(도서산간)의 학생들과 전문계고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부적응의 하위 요인을 살펴보면, 특수지역(도서산간)의 학생들과 전문계고 학생들, 남녀공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수업 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계고 학생들보다 전문계고 학생들의 학교규칙 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사와의 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지역(도서산간)의 학생들과 전문계고 학생들의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읍면지역의 학생들과 전문계고 학생들, 남녀공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친구와의 부정적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으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 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입시부담감이 학교 부적응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자기주도학습역량, 노력과 끈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 부적응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정요인에서는 학업 부적응을 높이는 위험요인을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에 학부모의 학업적 지원, 학부모의 정서적 지원이 높아질수록 학업 부적응을 줄여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요인 중에서 교내 폭력, 징계 처분 경험이 많은 학생은 학교 부적응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사학생관계, 친구관계가 좋아질수록, 수업집중도가 높아질수록, 학교규칙을 잘 준수할수록 학교생활 관련 부적응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개인요인에서 성별, 학년별, 학교급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상황과 환경에 맞는 맞춤형 정책 필요하며, 자신감 및 학교생활의 적극성 등 개인의 심리적 요소를 강화시키는 한편 입시와 학업 스트레스에서 오는 부정적 정서를 줄이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요인으로는 자녀의 학교 부적응 ‘예방차원’의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식, 양육태도, 칭찬 및 격려의 표현 방법 등의 부모 교육을 실시하고 훈련하는 프로그램 요구가 필요하며, 자녀의 학교 부적응 문제를 겪고 있는 가정에 대한 해결 방안 마련과 문제 발생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 상담센터나 지자체 등에서 행·재정·물적·인적 자원을 지원함으로써 유기적으로 연계된 학교 부적응 해결 방안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생활요인으로는 학교 구성원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실시하여야 한다. 학교 부적응을 학생 당사자의 문제로만 여기고 학생에게 교화 중심의 교육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교 부적응 문제를 둘러싼 모든 구성원인 교사와 학생 모두 참여하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는 학생 위주의 교육이나 프로그램이이 제시되고 있는데 교사와 함께하는 유대감 증진을 위한 체험 활동 및 상담 프로그램 등 제공되어야 하며 교사교육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도적 측면의 보완 필요성으로서 예전에는 학교 부적응 문제에 대해 징계 위주의 대처를 했으나 이에 대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학업중단숙려제와 Wee 센터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더 나은 성과를 위해 학교생활에서 오는 다양한 스트레스, 경쟁적인 입시 부담감, 폭력, 관계에서 오는 불안 등의 해소를 위한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이 단위 학교와 학급 차원에서도 실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교 부적응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제도를 보다 많은 국민들에게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홍보 노력도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가 2008년도 자료이므로 다소 오래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상황이나 환경을 설명하고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 데이터의 주어진 문항으로 변수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변수에 다양한 요인이 포함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 방법으로 중다회귀분석만 실시하였으나 독립변수인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생활요인을 활용하여 위계적선형모형, 구조방정식 등 보다 심층적인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