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3 Download: 0

초등학교 실과 및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중복 내용 분석

Title
초등학교 실과 및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중복 내용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of ‘Consumer Life’Area in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Social Science, and Ethics
Authors
이정윤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난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와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의 ‘소비생활’영역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소비생활’영역의 분석준거를 설정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를 분석하고 ‘소비생활’영역을 중심으로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중복된 내용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가정과 교육에서‘소비생활’ 영역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5개 출판사의 초등학교 5·6학년 「실과」교과서 총 10권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12개 출판사의 중학교 「가정 I·II」교과서 총 24권, 그리고 고등학교 9개 출판사의 「가정」교과서 총 9권의 ‘소비생활’ 영역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한 분석준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영역 내용 중복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사회 I·II」, 「도덕 I·II」, 고등학교 「사회」, 「생활과 윤리」교과서를 동일한 분석준거로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생활’영역을 다룬 가정 교과의 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영역 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소비생활’영역 분석 준거는 ‘실과(기술·가정)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Ⅱ(이춘식 외, 2002)’와 ‘중등 가정과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비판적 관점의 학교소비자교육 연구(문영훈, 2013), 그리고‘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핵심 성취기준 개발연구(교육부, 2013)’를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이춘식 외(2002) 연구에서는 ‘자원관리와 소비생활’ 영역 하위목표에 따른 내용 체계 중에서 「내용 기준」과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그 중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원리와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여 이를 의식주생활관련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적용한다.’부분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소비생활’영역 분석준거 「내용 기준 2」를 구성하였다. 교육부(2013)의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의 교육과정 내용에 따른 성취 기준 중에서 ‘청소년기의 소비 특성 및 소비 환경에 대해 알고 소비생활과 관련한 문제를 평가할 수 있다.’와 ‘자신의 소비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소비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부분을 인용하여 본 연구의 ‘소비생활’영역 분석준거 「내용 기준 1」과 「내용 기준 3」에 해당하는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소비생활’영역 분석준거 구성 요소 중 「내용 요소」와 「상세 내용」에 해당하는 내용 선정은 문영훈(2013)의 연구에서 제시한‘소비자교육관점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위에서 추출한 3가지 「내용 기준」에 포함되는 핵심적인 내용 요소를 선별하여 본 연구에 사용할 ‘소비생활’ 영역 분석준거의 「내용 요소」와 「상세 내용」항목을 추출하였다. 즉, 가장 범주가 넓은 「내용 기준」과 그 안에 포함되는 「내용 요소」, 그리고 각 요소에 따른 교육 내용인「상세 내용」을 순차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발한 ‘소비생활’영역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각 교과별 ‘소비생활’교육 내용 요소의 중복 여부를 분석하였다. 둘쨰, 본 연구자가 개발한 ‘소비생활’영역 분석준거를 중심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을 분석한 결과, 초·중·고 실과(기술·가정) 교과서는 각 학교급별로 동일한 교육과정 내용체제를 바탕으로 단원내용이 구성되기 때문에 출판사에 따른 내용의 차이점이 크지 않고, 교과서들의 단원 흐름과 내용 요소 구성이 유사하였다. 2007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교과서에는 본 연구자의 분석준거「내용 기준1」의 내용 요소‘소비자 역할’에 해당하는 상세요소들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실과 교과서가 다루고 있는 상세 요소로는 ‘의식주생활관리와 소비환경’과 ‘소비생활관리’가 있으며, ‘의식주생활관리와 소비환경’은 ‘의복 관리하기’, ‘안전한 식품 선택하기’에 관련된 내용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소비생활관리’에 대한 내용으로는‘용돈 관리하기’와‘용돈 기입장 작성하기’와 같은 내용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내용 기준2」의 내용 요소 ‘소비자 의사결정’에 관한 내용도 제시되었는데, 상세 요소‘식품 및 의복 구입시 유의점’에 대한 내용은 모든 분석대상 실과 교과서에 포함되었다. 2009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가정 교과서에는 분석대상 교과서를 학교급별로 분류했을 때, 가장 많은 상세 요소들이 제시되었다. 분석준거의 모든 내용요소들에 대한 내용이 교과서 본문과 그림 자료, 보충·심화자료 등에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었으며,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내용 요소 ‘소비자 역할’에 해당하는 상세 요소들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중학교 가정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상세 요소로는 내용 요소 ‘소비자 의사결정’의 상세 요소‘생애주기와 재무 설계’가 있었다. 중학교 가정 교과서는 ‘합리적인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내용과‘소비자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 요소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교과서마다 내용 제시의 순서는 조금씩 달랐지만 ‘지속가능한 의식주 및 소비생활’에 대한 내용도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다. 2009 개정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분석 결과,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내용 기준3」의 내용 요소 ‘소비자운동과 소비자주의’부분의 내용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에서 강조하는 내용은‘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이었으며, 상세 요소가 가장 적은 부분은 내용 요소‘소비자문제의 해결’부분이었다. 이처럼 2007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대상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제시된 중복 내용 요소는 「내용 기준1」의 내용 요소‘소비자 역할’의 상세 요소 4가지로, ‘식생활관리와 소비환경’, ‘의생활관리와 소비환경’, ‘주생활관리와 소비환경’, ‘소비생활관리’이다. 셋째,‘소비생활’영역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도덕, 사회, 생활과 윤리) 교과서 내용의 중복 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학교 교과서는 도덕 교과서보다 사회 교과서에 ‘소비생활’영역에 대한 내용이 더 많이 제시되었으며 중학교 가정, 도덕, 사회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제시된 중복 내용 요소는 ‘소비자 의사결정’, ‘소비자 정보’와‘소비의 경제적 영향’, ‘식생활과 지속가능성’,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또한, ‘소비생활’영역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와 사회 교과서, 생활과 윤리 교과서를 분석준거에 따라 내용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소비생활’영역 교육내용의 비중은 가정, 생활과 윤리, 사회 교과서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중복 내용 요소는 ‘식생활관리와 소비환경’, ‘소비욕구’, ‘소비의 경제적 영향’, ‘소비문화의 변화요인과 특징’,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도덕과 사회 교과서가 보조 자료를 중심으로 ‘식생활과 지속가능성’에 대해 간단하게 제시하는 것에 비해 가정 교과서는 의식주생활 전반에 대한 지속가능한 소비를 모두 포함하여 폭넓게 다루었으며, ‘소비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세 교과서 모두 환경 친화적 소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동일하지만, 도덕과 사회 교과서가 제시한‘소비의 경제적 영향’이 원리중심적인 개념 설명인 반면, 가정 교과서는 ‘개인과 가족 나아가 사회, 환경까지 고려하는 소비’라는 주제를 통해‘착한 소비’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닌다. 또한, ‘소비와 지속가능성’에서도 생활과 윤리 교과서와 사회 교과서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개념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소비를 다룬 반면, 가정 교과서는 ‘지속 가능한 소비 생활 문화의 실천’이라는 주제를 별도로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해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가정 교과서의 ‘소비생활’영역은 학습자인 청소년 소비자가 실제 일상생활에서 교과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소비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강점을 지니며 교과 특성상 의식주생활을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생활’영역을 다루고 있으므로, ‘소비생활’영역 교육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정과 교육에서의 ‘소비생활’영역 교육은 교육 내용의 학년별 연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단원 내용 구성을 통해 중복 내용 요소를 줄이고, 청소년들이 실제 소비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청소년들이 미래 사회의 합리적인 성인 소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소비생활’영역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were to examine the contents of ‘Consumer Life’ area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to analyze the 2007 revised elementary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e 2009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by setting up the criteria of analysis for ‘Consumer Life’ area, for the ultimate purpose of providing data for effective education of ‘Consumer Life’area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duplic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textbook with focus on the ‘Consumer Life’ area.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sumer Life’ area of te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 published by five publishers ba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wenty-four 2009 revised 「Home Economics I·II」textbooks for middle school by twelve publishers, and nine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high school by nine publishers with the criteria of analysis that was set through several preceding researches. The 2009 revised 「Social science I·II」and 「Ethics I·II」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Social science」 and 「Life & Ethics」 textbooks for high school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e same criteria as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to understand the duplicated elements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on ‘Consumer Life’ area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nsumer Life’ area in textbooks for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were set.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Objectives and Contents of School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 Home Economics II’ (Lee et al. 2002), ‘Toward a Critical Approach To The Study on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Schools: An Analysis of Secondary Home Economics Textbooks’ (Moon, 2013), and ‘Development of key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 ·Home Economic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ulum the criteria of analysis for the ‘Consumer Life’ Area were develop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by Lee et al. (2002), ‘content standards ’ and ‘content elements’ for the sub-objective of ‘resource management and consumption life’ area were extracted. Among these,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s and decision making process to apply it to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was the basis to compose the criteria of analysis for ‘Consumer Life’ area, 「content standard 2」. In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search (2013), ‘Being able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environment and to evaluate the issues that are related to ‘Consumer life’ and ‘Being able to practice healthy consumption life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consumer life’ from the criteria of achievements for the chapter ‘The Consumer Life of Adolescence’ in the 2009 revised secondary Home Economics textbook were cited to form the「content standard 1」and 「content standard 3」of ‘Consumer Life’ area of this research. The 「content elements」 and 「detail contents」of the criteria to analyze the ‘Consumer Life’ area in this research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criteria of analysis in the perspective of consumer education’ from Moon(2013). After selecting the core content elements relevant to three content standards of this research, of the criteria of analyzing ‘Consumer Life’ area were extracted from Moon’s research to be used by this author. That is, 「content standard」, which covers the broadest area, its inclusive「content elements」 that consists of 「detail contents」 were developed successively. The criteria of analysis for ‘Consumer Life’ area that was developed in this way were used as the basis to analyze the duplicated content elements of ‘Consumer Life’ education in each subject. Secondly, analyzing the ‘Consumer Life’ area in the 2007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 and the 2009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on the criteria of analysis for ‘Consumer Life’ area developed for this study showed that because the contents of chapter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mposed according to the same curriculum between different levels of school, the difference of contents between publishers was not significant, and the context and content elements of chapters were alike. In the 2007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 there was the most number of detail elements relevant to the content element ‘consumer role’ of the criteria of analysis 「content standard 1」,which was developed by this author. The 「detail contents」 covered in the textbook included ‘The management of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and consumption environment’ and ‘consumption life management’. Contents on ‘The management of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and consumption life management’ were found in ‘clothing management’ and ‘choosing safe food’, and contents on ‘consumption life management’ were found in ‘pocket money management’ and ‘keeping a record of pocket money’. The textbooks also included contents related to 「content elements」 ‘consumer decision making’ of 「content standard 2」 , and the 「detail contents」 ‘consideration for purchasing food and clothing’ was included in all examined textbooks. When the textbooks were classified by the level of school, the 2009 revised home economic textbook for middle school showed the most number of 「detail contents」. Contents that were related to all 「detail contents」 in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represented in various forms of text, pictures and supplement and advanced materials. Like the elementary Home Economics textbooks, the detail contents for the content element ‘consumer role’ were stated most frequently. The detail content that was not commonly found in secondary Home Economics textbooks was the detail element ‘life cycle and financial design’ of content element ‘consumer decision making’. They focused on the 「content elements」 on ‘ra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of purchasing’ and ‘consumer problems and solutions’, and although the order to state the contents slightly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book, the content about ‘sustainable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and consumption life’ was commonly included. Th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for high school showed that the content element ‘consumer movement and consumerism’ of 「content standard 3」 was found the most, with emphasis on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On the other hand, the「detail contents」 of 「content elements」 ‘solution of consumer problem’ was contained the least. In this way, the analysis of the 2007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s and 2009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indicated that the duplicated contents in all examined textbooks were four 「detail contents」 of 「content elements」 ‘consumer role’ in the「content standard 1」: ‘Food life management and consumption environment’, ‘clothing life management and consumption environment’, ‘housing life management and consumption life’, and ‘consumption life management’. Thirdly,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in the 2009 revised textbook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Ethics, Social Science, and Life & Ethics) for middle and high school revealed that in middle school textbooks, Social Science textbooks contained more contents about ‘Consumer life’ than Ethics textbooks did. The duplicated content elements in Home Economics, Ethics,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ere ‘consumer decision making’, ‘consumer information’, and ‘economic impact of consumption’, ‘food life and sustainability ‘, and ‘consumption and sustainabi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f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Social Science, and Life & Ethic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Home economics textbook had the most proportion of ‘Consumer Life’ area, followed by Life & Ethics and Social Science. The 「content elements」 ‘food life management and consumption environment’, ‘desire of consumption’, ‘economic impact of consumption’, ‘changing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 culture’, and ‘consumption and sustainability’ were commonly found in all three textbooks. While Ethics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explained ‘food life and sustainability’ in simple manner using supplement materials, Home Economics textbooks comprehensively covered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In regards to ‘economic impact of consumption’, all three textbooks common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consumption. However, the Ethics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explained the concept of ‘economic impact of consumption’ with focus on principles whereas Home Economics textbooks suggested more detailed and practical methods for ‘good consumption’ under the topic of ‘consumption that considers individuals, family, society and environment’, thus being more effective. Moreover, in terms of ‘consumption and sustainability’, the Home Economics text book also highlighted various methods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in everyday life by creating the exclusive topic of ‘practicing the culture of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in contrast to the Life & Ethics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which conceptually covered sustainable consumption to emphasiz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way, the ‘Consumer life’ area of Home Economics textbooks is thought to play a central role in teaching the ‘Consumer Life’ area because of its strength that it contains detailed educating contents about consumption life for adolescent consumers to apply it to everyday life and that it broadly covers the area of ‘Consumer life’, including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for the future teaching of ‘Consumer Life’ area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o reduce the duplicated contents through systematic composition of chapters that considers the connectivity between different grades, and to help the adolescents to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ey may encounter in real consumption life and to grow up to be rational adult consum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