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의 관계

Title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Dance majors'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Authors
조윤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의 차이와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각 집단의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업무용수, 무용경력자, 무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 총 630부의 설문자료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 된 40명의 자료를 제외한 590부(직업무용수 198명, 무용경력자 188명, 무용전공 학생 204명)를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의 차이와 관계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에서 숙련자인 직업무용수가 긍정적인 주의집중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주의집중유형은 비숙련자인 무용전공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간 숙련자인 무용경력자는 긍정적인 주의집중유형에서 직업무용수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부정적인 주의집중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숙련자는 긍정적인 주의집중유형과 부정적인 주의집중유형에서 주의집중을 저해하는 정보나 부적절한 주의형태를 효율적으로 차단 할 수 있으며, 중간 숙련자는 부분적인 형태로 부정적인 주의집중형태에서만 부적절한 주의형태의 효율적 차단이 이루어진다고 해석 할 수 있으며,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은 차이가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무대불안에서 정서적 불안은 직업무용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용경력자와 무용전공학생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불안이 높게 나타난 무용경력자와 무용전공학생은 직업무용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대공연의 경험과 빈도가 낮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신체적 불안에서는 무용전공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청소년기에는 아직 자신의 신체에 대한 확실한 지각이 성립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신체적 무대불안이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인지적 불안에서는 직업무용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직업무용수는 프로무용단에 소속 되어 있는 무용수로서, 자신의 수행력이 공연 성패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연 후 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염려가 인지적 불안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 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숙련도별 무대불안은 차이가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셋째,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 간의 하위요인들은 상관관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주의집중유형과 정서적 불안,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주의집중유형과 정서적 불안,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 사이에 명확한 인과 관계가 있다고 정의 할 수 는 없지만, 숙련도와 상관없이 긍정적인 주의집중유형은 무대불안을 낮추는 요인이고, 부정적인 주의집중유형은 무대불안을 높이는 요인으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주의집중유형 중 협소한비효과적 주의집중유형은 무대불안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협소한비효과적 주의집중유형은 지나치게 주의를 좁히고 긴장하는 주의집중유형으로 과도한 긴장을 나타내는 협소한비효과적 주의집중유형은 무대불안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직업무용수는 긍정적인 주의집중유형과 인지적 불안 간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직업무용수가 무대불안에서 인지적 불안이 가장 높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를 미뤄 보았을 때, 주의집중을 저해하는 정보나 부적절한 주의형태를 효율적으로 차단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주의집중형태가 인지적 불안에서는 긍정적인 주의형태로 나타나지 못한다는 결과를 예상 할 수 있다. 이에 직업무용수의 인지적 불안은 부정적인 염려가 매우 높다는 결과를 예상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은 그 차이가 각각 명확하게 나타났다.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은 정적상관과 부적상관이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그러나 숙련도에 따라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는 본 연구 결과에서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없다고 사료된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의 차이와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전공자의 숙련도별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요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무용수들이 무대에서 겪는 다양한 상황 변화에 빠르게 대처 할 수 있도록 그 경우의 수를 예상하여 이에 따른 대처 방안을 생각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주의집중유형과 무대불안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시도될 것이라고 기대한다.;This study aims at examining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by skill for dance majors, identifying correctly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of each group. For these research aims, 6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professional dancers, experienced dancers and students majoring in dance. Excepting 40 questionnaires of insincere response or partial omission in research contents,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for 590 copies(198 professionals, 188 experienced, 204 majors) using a SPSS 18.0 program. Based on such analyses, research findings on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by skill for dance major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concentrative ability type by skill, professional dancers of the skilled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dance-majoring students of the unskilled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As for experienced dancers of the intermediate skill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professional dancers in the posi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ga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It may be analyzed that the skilled can cut off attention- blocking information or an inadequate concentrative ability n type efficiently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s but the intermediate skilled can cut off an inadequate concentrative ability type efficiently in a partial manner only in the nega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In the end, it is assum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concentrative ability types by skill. Secondly, as for stage-anxiety of dance majors by skill, professional dancers showed the lowest emotional anxiety, hav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experienced and dance majoring students. It may be interpreted because experienced dancers and dance majoring students having higher emotional anxiety have less experience and frequency in stage performance relatively with professional dancers. As for the physical anxiety, dance majors showed the highest so revealed that their physical stage anxiety is higher since certain perception on their own body isn't established yet in adolescence. Also, professional dancers showed the highest cognitive anxiety. It may be analyzed that their negative concern for evaluation after performance functions as an element increasing cognitive anxiety since their achievement influences much on success or failure of a performance as a dancer under a professional dance troupe, showing difference in stage-anxiety by skill. Thirdly, though sub-factors of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by skill showed a different correlation, in general, posi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anxiety, and nega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anxiety. Such findings are insufficient for defining that there is a clear causal relation between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However, it may be interpreted that posi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is a factor to decrease stage-anxiety and nega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is a factor to increase it regardless of skill. However, in nega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s, particularly narrow ineffec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had no correlation with stage-anxiety. Narrow ineffec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is a type excessively narrowing surrounds and showing too much tension. Besides, professional dancers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cognitive anxiety. Judging from the research finding that professional dancers had the highest cognitive anxiety, it is expected that positive concentrative ability type to cut off attention-blocking information or inadequate concentrative ability type efficiently may not appear as a positive in the cognitive anxiety. So, it is also expected that negative concern is very high in the cognitive anxiety of professional dancers. In this study,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by skill showed a definite difference respectively. Sub-factors of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by skill showed a different correlation, showing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by skill.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clearly what relation there is between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in this research. Therefore, through examining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by skill for dance majors, research on their related factors is expected to have meaningful significanc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dancers with basic data in order for them to deal with rapidly various situational changes on the stage as a kind of measures through expectation of diverse situational cases. Also,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ve ability type and stage-anxiety from a range of various ang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