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李王職雅樂部 五線樂譜」에 나타난 남창과 여창歌曲의 대금선율 비교연구

Title
「李王職雅樂部 五線樂譜」에 나타난 남창과 여창歌曲의 대금선율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Male and Female Daegum Melodies in 「Five-lined Music Note of Leewangjik-ahakbu」
Authors
김희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본 논문은 이왕직아악부시대에 오선악보로 역보된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를 영인하여 발간된 『韓國音樂學資料叢書 四十二』과 『韓國音樂學資料叢書 四十三』을 바탕으로 그 중 남창과 여창가곡보의 대금선율을 비교하여 남창과 여창 대금선율에서 나타나는 <동일선율>, <유사선율>, <부분상이선율> 그리고 <상이선율>을 살펴본 논문이다. 연구범위는 남창가곡과 여창가곡에서 곡명(曲名) 동일한 우조 이수대엽, 우조 중거, 우조 평거, 우조 두거, 우조 우락, 반엽, 계면조 이수대엽, 계면조 중거, 계면조 평거, 계면조 두거, 계면조 평롱, 계면조 계락, 계면조 편수대엽 그리고 계면조 태평가까지 서술하겠고, 연구 대상의 곡의 수는 모두 14곡이다. 위 14곡의 남창과 여창에 나타난 대금선율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동일선율>은 가곡의 대금선율에서 약 70%의 출현빈도를 보여주어 여창대금선율은 곡명이 같은 남창대금선율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동일선율>이 많이 나타난 곡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우조는 반엽, 중거, 이수대엽, 우락, 평거, 두거 순이며, 계면조는 태평가, 계락, 편수대엽, 이수대엽, 평거, 반엽, 중거, 평롱, 두거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로 보아 남창선율을 근거로 여창의 곡이 파생되는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계속되리라 추측할 수 있겠다. 둘째, <유사선율>의 특징은 남창의 선율이 진행할 때, 여창선율의 앞부분에 변화를 준 후 종지음을 동일하게 두어 그 다음에 나타나는 선율이 동일하게 진행하도록 이끄는 역할을 하는 것과 여창선율의 뒷부분에 변화를 주어 그 다음에 나타나는 선율이 변화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여창선율의 뒷부분에 변화를 주는 경우는 우조보다는 계면조에서 많이 나타났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남창의 선율이 여창에서 축소 및 확대되어 나타나고, 남창이 어떤 음을 지속할 때, 여창선율의 시작부분에 선율의 변화를 주는 점이다. <유사선율>이 많이 나타난 곡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우조는 평거와 두거가 동일한 비율, 이수대엽과 중거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우락, 반엽 순이었다. 계면조는 두거, 편수대엽, 반엽, 중거와 평롱, 이수대엽, 평거, 계락, 태평가 순이었다. 셋째, <부분상이선율>의 특징은 남창과 여창의 대금선율의 형태는 다르지만, 선율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유사한 것, 남창의 대금선율이 한 음으로 지속할 때 여창대금선율에 변화를 주는 것 그리고 한마디 안에서 한음을 동일하게 진행하고 나머지 음들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우조에서는 시작음을 동일하게 진행하고 뒷부분에 변화를 주는 것과 종지음을 동일하게 진행하고 앞부분에 변화를 주는 두 가지의 경우가 나타났고, 계면조에서는 가운데 음을 동일하게 진행가고 앞부분과 뒷부분의 변화를 동시에 주는 경우가 추가되어 우조보다 다양한 선율의 변형이 이루어졌다. 즉, <부분상이선율>은 남창대금선율을 기준으로 한 여창대금선율이 부분적인 변형을 통해 선율을 변화시켜 여창대금선율의 독특함을 보여주는 선율형이다. <부분상이선율>이 많이 나타난 곡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우조의 경우는 평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이수대엽, 중거, 두거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우락 순이었다. 계면조의 경우는 두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중거와 평롱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평거, 태평가, 계락, 이수대엽, 반엽 순이었다. 편수대엽에서는 <부분상이선율>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상이선율>의 특징은 남창과는 다른 여창의 독자적인 선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남창선율이 요성을 할 때나 어떠한 음을 지속하거나 어떠한 선율을 연주할 때, 여창선율이 남창선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창선율의 흐름에 맞게 독자적으로 선율을 진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상이선율>이 많이 나타난 곡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우조의 경우 두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평거, 이수대엽 순이었으며, 그 다름으로 중거와 우락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다. 계면조의 경우는 두거, 평롱, 중거, 평거, 이수대엽, 계락, 편수대엽, 태평가 순이다. 즉, 우조 두거와 계면조 두거의 여창대금선율은 남창대금선율과는 다른 독자적인 선율이 많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다섯째, 위에 나타난 <유사선율>과 <부분상이선율>,<상이선율>을 변형선율이라고 봤을 때, 이러한 변형선율들은 여창가곡 중 3장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3장에서 변형선율이 가장 많이 나타난 곡은 총 7곡으로 이는 우조 이수대엽, 우조 중거, 우조 평거, 우조 우락, 계면조 이수대엽, 계면조 중거, 계면조 평거이었고, 1장에서 변형선율이 가장 많이 나타난 곡 총 1곡으로 태평가이었다. 중여음(中餘音)에서 변형선율이 가장 많이 나타난 곡 총 2곡으로 우조 두거와 편수대엽이었으며, 4장에서 변형선율이 가장 많이 나타난 곡은 총 1곡으로 계면조 두거였다. 대여음(大餘音)에서 변형선율이 가장 많이 나타난 곡은 총 2곡으로 평롱과 계락이었고, 중여음과 5장이 동일한 비율로 가장 많이 나타난 곡은 총 1곡으로 반엽이었다.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에 나타난 남창과 여창의 대금선율을 비교해본 결과 여창대금선율은 남창대금선율과의 동일한 선율을 통해 여창의 대금선율이 남창대금선율에서 파생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유사선율, 부분상이선율, 상이선율과 같은 변형선율을 통해 남창과는 다른 독자적인 선율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선율의 변형은 우조보다 계면조에서 많이 이루어졌고, 변형된 형태 또한 다양했다. 본 연구는 가곡의 남창과 여창의 대금선율을 비교한 것이며, 차후 대금선율과 남․여창 사설과의 관계, 가곡반주선율 분석 등의 연구가 추가된다면, 남창과 여창가곡의 특징적인 면을 보다 더 자세히 알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가곡에 관한 다양한 연구성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thesis is a comparative study on , , , and in male and female Daegum songs, particularly compared with melodies of male and female songs based on 『韓國音樂學資料叢書 四十二』과 『韓國音樂學資料叢書 四十三』, published on a photo- printed music note in the age of 「five-lined music note of Leewangjik-ahakbu」. This study covers Woojo Yeesoodaeyup, Woojo Joonguh, Woojo Pyunguh, Woojo Dooguh, Woojo Woorahk, Banyup, Gaemeonjo Yeesoodaeyup, Gaemeonjo Joonguh, Gaemeonjo Pyunguh, Gaemeonjo Dooguh, Gaemeonjo Pyungrong, Gaemeonjo Gaerahk, Gaemeonjo Pyunsoodaeyup, and Gaemeonjo Taepyungah as selected from those songs with which both male and female songs share same song names, and the total number of the songs studied is fourteen. After scrutinizing melodies in fourteen male and female Daegum songs, this thesis concludes followed. First, has 70% of the frequency rate in Daegum melody of a Gagok which leads to a fact that melodies of female songs is produced from same song-named male Daegum melodies. The songs with listed according to the order most-frequently used are as followed: Woojo was shown in Banyup, Joonguh, Yeesoodaeyup , Woorahk, Pyunguh, Dooguh in this order. Gaemeonjo was presented in Taepyungah, Gaerahk, Pyunsoodaeyup , Yeesoodaeyup, Pyunguh, Banyup, Joonguh, Pyungrong, Dooguh in this order. According to this fact, the trend female songs being derived from male songs will be likely to continue in the future.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is that, as the melody of a male song proceeds, it plays a role of changing earlier part of a female song’s melodies and then putting the same end sound so that later melodies leads the same melody and another role of changing later part of a female song’s melody so as to help the following melodies change. The latter case was shown more in Gaemeonjo than in Woojo. Another prominent point is that the melody of a male song is scaled up or down in that of a female song and the beginning of a female song’s melody contains melody variations while male songs keep producing the same sound. The songs with listed according to the order most-frequently used are as followed: Woojo was shown in Yeesoodaeyup, Joonguh with the same proportion, and next Yeesoodaeyup and Joonguh also with the same proportion. And last Woorahk, Banyup. Gaemeonjo was presented in Dooguh, Pyunsoodaeyup, Banyup, Joonguh and Pyungrong, Yeesoodaeyup, Pyunguh, Gaerahk, Taepyungah in that order. Third, the characteristic of is that melodies share similar overall atmosphere although the structures of melodies differ, and a female song’s melody contains melody variations while male songs keep producing the same sound, and one sound within one bar is proceeded in same manner while other sounds contain variations. Woojo has two kinds: it starts with the same sound and then change in the later par or it contains the same end sound but has the melody change in earlier part. Gaemeonjo has more change in melody structures as middle sound goes on while earlier and later parts simultaneously contain change. In short, is a melody that presents the uniqueness of female Daegum songs as it changes the melody through partial variation based on the melody of a female song based on that of a male song. The songs with listed according to the order most-frequently used are as followed: Woojo was shown in Pyunguh the most, followed by Yeesoodaeyup, Joonguh, Dooguh with the same proportion, and lastly Woorahk. Gaemeonjo was presented in Dooguh the most, followed by Joonguh and Pyungrong with the same proportion, and lastly Pyungghu, Taepyungah, Gaerahk, Yeesoodaeyup, Banyup in that order. Pyunsoodaeyup did not contain . Fourth, the characteristic of is that female songs have their own unique melody. This means that a female song’s melodies proceed independently not affected by those of a male song when they are played with vibrated sound of a male song or with continuing sound or melody. The songs with listed according to the order most-frequently used are as followed: Woojo was shown in Dooguh the most, followed by Pyunguh, Yeesoodaeyup , and lastly Joonguh and Woorahk with the same proportion. Gaemeonjo was presented in Dooguh, Pyungrong, Joonguh, Pyunguh, Yeesoodaeyup, Gaerahk, Pyunsoodaeyup, Taepyungah in this order. In other words, melodies of female songs in Woojo Dooguh and Gaemeonj Dooguh had shown their own unique melody many times. Fifth, modified melodies are shown most frequently in Chapter three of female songs, assumed that modified melodies include , , and as shown above. The seven songs in Chapter three(參章) with the most frequently modified melodies are Woojo Yeesoodaeyup, Woojo Joonguh, Woojo Pyunguh, Woojo Woorahk, Gaemeonjo Yeesoodaeyup, Gaemeonjo Joongu, Gaemeonjo Pyunguh while only one song in Chapter one(初章) as such is Taepyungah. The two in Chapter Joongyuheum(中餘音) with the most frequently modified melodies are Woojo Dooguh and Pyunsoodaeyup while only one song in Chapter four(四章) as such is Gaemeonjo Dooguh. The two songs in Chapter Daeyuheum(大餘音) with the most frequently modified melodies are Pyungrong and Gaerahk while the one song with Joongyuheum(中餘音) and Chapter five(五章) with the same proportion is Banyup. The comparison study on male and female Daegum melodies in five-lined music note of Leewangjik-ahakbu concludes that Daegum melodies in female songs were definitely affected by those in male songs through same line of melodies, and modified melodies such as similar melodies, semi-similar melodies, dissimilar melodies were presented in a unique manner, compared to male songs. Modified melodies in this kind were produced in Gaemeonjo, with a variety of modified structures. Comparing the Daegum melodies of male and female songs in Gagok,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more in enlightening relevant research if more research i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um melodies and ‘male and female songs’ as well as analysis on instrumental melodies of Gagok as it can deliberate certain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so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