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최미선-
dc.creator최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0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027-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한국 개량가야금의 대표적 형태로 정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25현가야금에 관한 연구로 악기의 개량과정에 관계된 역사적 측면, 현재 사용되는 교재와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측면, 연주기법의 체계화와 실제 활용을 제시한 연주기법적 측면에서 고찰, 연구한 논문이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25현가야금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연변과 북한에서 사용되는 개량가야금도 함께 비교, 논의 되어 이 세 지역에서 사용되는 개량가야금에 관한 통합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중국연변과 북한에서 사용되는 개량가야금은 한국 25현가야금의 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이 세 지역에서 나타난 개량가야금의 변천과정을 상세하게 비교하여 논의 하였으며, 각각의 개량과정에서 나타난 특징들과 현재 각 지역의 대표적인 개량가야금을 통해 나타나는 음악적 측면에서의 장점과 단점이 서술되었다. 또한 25현가야금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현장에 관한 연구와 한국과 중국연변에서 사용되는 개량가야금 교재들을 비교분석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현재 한국에서 25현가야금을 교육하는데 필요한 교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이 논문의 중점적 부분인 25현가야금의 연주법에 관해서는 연주에 필수적인 기본 연주기법들을 중심으로 정리, 서술하였다. 현재 가야금 연주자들은 작곡자들에 의해 창작되는 다양한 25현가야금 작품들을 접하고 있지만, 대부분 음의 진행을 위주로 주법적으로 어렵고 정리가 되지 않은 연주를 하고 있다. 체계적으로 정리된 연주법의 부재는 25현가야금 음악의 발전을 저해하는 부정적 요소로 작용될 것이기에 보다 쉽고 합리적이며 편리한 연주법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25현가야금 연주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연주기법들은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연주법의 구체적 활용의 예로는 북한의 가야금 독주곡 도라지」, 이건용 작곡의 25현가야금을 위한 변주곡「한오백년」, 정동희 작곡의 25현가야금 협주곡 「찬기파랑가」, 일본의 작곡가 미키 미노루의 고토 협주곡을 백대웅이 25현가야금 협주곡으로 편곡한 「소나무」등 네 곡을 선택하여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한국의 25현가야금을 중심으로 한 개량가야금에 관한 역사적, 교육적, 연주 기법적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국연변, 북한의 개량가야금의 개량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점은 이들이 각각의 사회적 배경에 근거한 서로 다른 악기개량의 배경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 서구적인 음악문화가 우위를 점령하고 있는 사회 속에서 변화된 한국인들의 음악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5음 음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변화된 연주공간에 어울리는 소리의 울림을 확보하기 위해 악기의 개량이 이루어 졌다. 즉, 악기개량을 요구하는 많은 요소들 중 음악적인 측면에서의 요구가 가장 큰 이유였다. 한편 중국연변의 가야금 개량은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중국이라는 국가에서 다양한 음악문화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한 수단 이었다. 또한 북한의 가야금 개량은 북한의《주체음악》의 발전방침에 따른 조직적인 개혁아래 창작 된 새로운 음악을 연주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악기개량이었다. 비록 각 지역에서 가야금의 개량이 서로 다른 배경으로 인해 이루어졌지만, 거시적 측면에서 볼 때 가야금을 보다 더 다양한 연주기능을 가진 악기로 발전시켜 대중의 사랑을 받는 국악기로 만들기 위한 목적은 동일하다. 둘째, 한국 25현가야금 교육현황과 교재사용 현황을 조사해본 결과 한국에서는 25현가야금 교육과 관련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아직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관한 교육체계를 성립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또한 한국 25현가야금은 학교 수업과 같은 전문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이 부족하다. 기본 연주법 훈련을 위한 별도의 연습곡집이 적고, 수준 별 연습내용과 연습곡의 구분이 없으며, 연주 작품 또한 수준별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다. 25현가야금 연습곡집과 작품집 등 교재의 편집과 출판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음악작품도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학생들의 실제 수준에 맞게 연주 하도록 지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25현가야금의 기본연주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출현하거나 여러 가지 주법이 서로 혼합되어 출현하며, 실제연주 시에는 수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가야금 연주자들의 연주수준의 끊임없는 향상과, 작곡자들의 다양한 작품창작을 기반으로 하여 25현가야금 연주법은 지금도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다양한 연주법이 출현할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다양하고 화려한 연주일지라도 그 기초는 가장 기본적인 연주법에 있으므로 연주자들은 평소 꾸준히 기본기능을 정확하게 훈련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장기간에 걸친 훈련의 결과를 기대하여야 한다. 넷째, 대표적인 악곡을 선택하여 제시된 25현가야금 연주법의 실제 활용의 예는 다섯 가지의 사항들을 근간으로 하여 제시되었다. 첫째, 작곡자의 의도와 작품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하였다. 둘째, 음악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전제로 작곡자의 기보와 다른 연주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오른손 연주의 비중을 늘리고 왼손의 경우는 이어뜯기의 사용을 늘렸다. 넷째, 양손교체의 빈도를 최소화 하여 연주의 안정적 진행을 시도하였다. 다섯째, 음악의 흐름에 맞는 가장 편리한 연주법을 제시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였다. 25현가야금은 현재 한국의 가야금 연주자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의 악기로 자리 잡았다. 연주자들은 현재까지의 성과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국악기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하며,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주체계를 개발하여 한국의 음악문화를 풍성히 하는데 더욱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25-string gayageum—the representative instrument among the many modified gayageums developed in South Korea—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modificat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regarding its teaching materials and curriculum;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ique, concerning a systematization of primary techniques and proposing its practical application. I also compare the Korean 25-string gayageum with modified gayageums in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China, and in North Korea to provide an integrated study of modified gayageums. Since the gayageums modified in China and North Korea direc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South Korean 25-string gayageum, I comparatively examine the process of instrument modification in those two countries. Furthermore, I explor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instrument in relation to their respective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and discuss the musical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modified gayageum.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includes research in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actual instruction is taking place on the 25-string gayageum,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for the instrument, based o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used in South Korea and Yanbian. Playing techniques for the 25-string gayageum are the central area of the dissertation; I categorize and delineate them, focusing on primary playing techniques. Although gayageum performers encounter various styles of music from contemporary composers, most perform concerned only with the melody lines, without a systematic playing technique and not knowing proper and convenient ways of playing the instrument. Because the absence of systematic techniques will disadvantage the development of the 25-string gayageum, the study and advancement of convenient, logical, and simple playing techniques is necessary. As part of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various playing techniques essential to the 25-string gayageum, I select and present four piece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ose techniques: “Doragi,” a solo gayageum piece from North Korea; “Hanobaegnyeon,” a set of variations for the 25-sting gayageum, composed by YI Geon-yong from South Korea; “Changiparangga,” a concerto for the 25-string gayageum and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composed by JEONG Dong-hi from South Korea; and “Sonamu,” a concerto for 25-string gayageum and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arranged by BAEK Dae-ung, originally composed by Japanese composer MIKI Minoru for ko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ur-fold. First,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modified gayageums in South Korea, Yanbian, China, and North Korea reflect each country’s distinct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In South Korea, where Western music has prevailed in the society, the musical preference of South Koreans has also changed. Because of this,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has focused on meeting Koreans’ changed music taste, resulting in overcoming the musical limitations presented by pentatonic scales, and producing modified instruments with an amplified, sonorous sound suitable for modern performing stages and spaces. In other words, for South Koreans, among many elements that demanded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it was musical necessity that was the primary reason for change. In the case of Yanbian, China, modification of the gayageum was almost compulsory, as the people there live in a multi-racial/cultural society in which various music cultures compete with each other. The North Korean modification of the gayageum was carried out to properly play the newly-created music produced under the systematic reformation aligned with the development plan for “Juche music.” Although gayageum modification has been undertaken in different countries for different socio-political reasons, from a broad perspective, their underlying motivations share the modification of the gayageum to make it an instrument with various performing functions, so that it became a beloved national instrument. Second, as I researched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for the 25-string gayageum and examined teaching materials in South Korea, I found that there is almost no systematized and practical education system for the instrument. Establishment of such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In addition,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be used for professional training courses are not only insufficient, but also low in quality. There is almost no specialized gradus for the 25-string gayageum, classified according to student level, and no criteria for musical pieces properly organized based on student skill. Publishing teaching materials, such as gradus for the gayageum and collections of music for the 25-string gayageum, are of critical necessity, and music pieces should be categorized based on their technical difficulty and taught according to students’ performing ability. Third, the primary techniques on the instrument ar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providing possibilities for creating countless combinations of playing techniques in actual performance. Playing techniques on the 25-string gayageum are continually being developed, and various additional skills will appear as performers’ abilities continually progress and composers producing various creative pieces. However, it is important for performers to focus on cultivating the primary playing techniques that are the foundation of advanced skills, because mastery of advanced playing skills is achieved through everyday practice and is the result of long-term training. Fourth, the four representative pieces demon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25-string gayageum playing techniques are us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inciples: 1) the examples are select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omposers’ intentions and following analysis of each piece; 2) I suggest different playing techniques from the originals when the flow of music is thereby made more natural; 3) the importance of right-hand playing is stressed, while for the left hand, I intentionally emphasize the continuous-plucking technique; 4) I minimize shifting the hands in order to provide stability in performance; 5) foremost importance is placed on suggesting the most convenient playing techniques suitable for the musical flow. The 25-string gayageum is today an indispensable instrument for Korean gayageum performers. Players should not be satisfied with the results they have achieved with the instrument thus far; rather, they should endeavor to develop logical and systematic playing techniques, to make it a thoroughly “Korean national instrument” with a Korean identity. By their efforts, they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abundant music culture in South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C. 선행연구 검토 6 Ⅱ. 개량가야금의 변천과정 12 A. 한국의 가야금 개량 12 B. 중국연변의 가야금 개량 24 C. 북한의 가야금 개량 31 D. 소결 40 Ⅲ. 개량가야금 교육과정과 교재 사용현황 분석 44 A. 개량가야금의 교육과정 분석 44 B. 개량가야금 교재 사용현황 분석 50 C. 소결 66 Ⅳ. 25현가야금 연주법 69 A. 오른손 연주법 69 B. 왼손 연주법 102 C. 양손연주법 117 D. 25현가야금 연주자세와 연주호흡 135 E. 소결 140 Ⅴ. 25현가야금 작품을 통한 연주법 활용 143 A. 25현가야금 독주곡 「도라지」 연주법 분석 143 B. 25현가야금 변주곡 「한오백년」 연주법 분석 157 C. 25현가야금 협주곡 「찬기파랑가」 연주법 분석 167 D. 25현가야금 협주곡 「소나무」 연주법 분석 186 E. 소결 196 Ⅵ. 결론 199 참고문헌 203 부록악보 209 ABSTRACT 2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561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25현가야금 연주법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laying Techniques of the 25-String Gayageum (A Modified 25-String Zither) of South Korea-
dc.creator.othernameCui, Mei Xian-
dc.format.pagexiv, 298 p.-
dc.contributor.examiner문재숙-
dc.contributor.examiner윤명원-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곽은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