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2 Download: 0

황의종 작곡 12현 가야금 2중주곡 <슬기둥> 분석 연구

Title
황의종 작곡 12현 가야금 2중주곡 <슬기둥> 분석 연구
Authors
김희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은 작곡가 황의종의 12현 가야금을 위한 2중주곡 <슬기둥>을 분석 연구한 것이다. 가야금 개량 작업을 통해 1990년대 25현 가야금이 만들어진 이후 25현 가야금을 위한 작품 창작에 비해 전통 가야금을 위한 창작은 현저히 줄어들었다. <슬기둥>은 전통 가야금인 산조 가야금을 위한 2중주곡으로 본 곡의 분석 연구를 통해 가야금을 위한 창작곡이 25현 가야금을 위한 작품 위주로 편향되는 현상에 대해 문제성을 느끼고 전통 가야금을 위한 창작곡의 가치를 제조명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본 곡을 악장별로 선율, 리듬, 연주법으로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연구함으로서 감상과 연주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슬기둥>은 제1가야금․제2가야금과 장구 세 악기 구성의 작품으로, 제1가야금과 제2가야금이 주선율 역할을, 장구가 반주부 역할을 하는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악기 조현법은 전통 산조 가야금의 조현법과 동일하다. 본 곡은 3악장 구성으로 각 악장마다 제1악장은 슬기둥, 제2악장은 연튀김, 제3악장은 집는 주법으로 연주하는 리듬형을 모티브로 지닌다. 슬기둥․연튀김․집는 주법은 모두 선행되는 음들이 특정음을 꾸며주는 리듬처리가 특징적인 주법으로 선율에 역동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슬기둥>은 작곡가 황의종이 일반적으로 작품에서 보이는 서정적인 선율의 흐름과 특정 주법을 통한 역동적 리듬 표현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이다. 제1악장은 도입선율에 해당하는 제1마디~제8마디는 템포 ♩= 44 늦은 중모리로 진행하며, 제9마디~제40마디는 템포♩= 50로 조금 빨라진다. 슬기둥 주법의 리듬형은 제1악장의 모티브로 선율이 진행될수록 출연 빈도가 줄어들어 점차 사라지며 중모리 장단의 담백한 선율로 진행한다. 제2악장은 제1마디~제72마디에 걸쳐 템포♩= 60 중모리 장단으로 제1악장보다 조금 빨라지며, 소나타 형식인 A-B-A‘의 3부분으로 나뉜다. A는 제2악장의 모티브는 연튀김 주법의 리듬형으로 구성된 선율로 시작하며, 제1악장의 선율과 같이 가야금 산조 중모리 장단의 계면조 선율 진행이 특징적이다. B는 16분음표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리듬형이 특징적인 역동적 선율로 구성되어 있고, 가야금 산조 휘모리에 나타나는 선율과 유사하다. 이 선율은 같은 리듬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곡의 통일감을 유지하는 ‘오스티나토’적 진행이 나타난다. A‘는 A와 유사하게 연튀김 주법의 선율로 구성되어 악장을 종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악장은 제1마디~제130마디에 걸쳐 템포♩= 130으로 빠르게 진행하다 제131마디~제142마디는 템포♩= 44 늦은 중모리로 느려졌으며, 음악적 특징에 따라 A-B-C-D의 4부분으로 나뉜다. A는 제3악장의 모티브인 집는 주법으로 연주하는 리듬형이 지속적으로 출연하는 선율로 시작한다. 집는 주법 리듬형의 박은 2분음표→4분음표→8분음표로 점차 리듬 단위가 짧아지며 분위기가 고조된다. B는 두 성부 중 한 성부는 집는 주법 리듬형이 반복적으로 출연하는 선율진행을 하고 나머지 한 성부는 이 리듬형이 출연하지 않는 선율 진행으로 반주 역할을 하며 2분음표→4분음표→8분음표의 리듬 단위로 서서히 빨라진다. C는 집는 주법 리듬형의 모티브가 사라지고 한 성부는 제2악장 B의 선율과 같이 16분음표로 구성된 리듬형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선율을, 다른 한 성부는 다양한 리듬 단위가 혼재된 선율 진행을 하며 곡의 클라이막스를 이룬다. D는 급격히 느려지면서 제1악장의 슬기둥과 제2악장의 연튀김 주법이 출연하며 곡을 마무리한다. 제1가야금과 제2가야금의 선율은 각 성부가 독립적인 역할의 동등한 선율 진행을 하며, 예외적으로 제3악장 B에서 반주부와 주선율부가 구분된다.; This paper is study about duet for Eui-Jong Hwang’s Korean zither with twelve str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one to enjoy and play musical instruments by studying this song’s each movement’s musical characteristic by analyzing melody, rhythm, and technique. is played with three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the first gayageum, the second gayageum, and the janggu-double headed drum- with a narrow waist in the middle. The first and the second gayageum play the main melody, and the janggu plays the accompaniment of this music. The musical tuning system of this song has the same tuning system as the traditional Sanjo - free-style solo - gayageum’s tuning system. This music is composed of three different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is Seul-gi-dueng, the second movement is yuen-tui-gim(consecutive-twang), and the third movement is gip-gi (grasp). Each movement has the motive along with three different rhythm and technique of playing the music. Seul-gi-dueng, yuen-tui-gim , and gip-gi have special rhythmical technique that each preceding note modifies specific notes in order to assign dynamics to each melody. According to lyrical melody and special rhythmical technique that Eui-jong Hwang showed in his other works of music, is in perfect harmony with dynamic rhythmic expression. The introductory melody - the 1st to the 8th bar - in the first movement is played with slow Jungmori rhythm with ♩= 44, and the 9th to the 40th bar has a little faster rhythm with ♩= 50 tempo. As Seul-gi-dueng technique of the rhythm in the introductory part is the motive of the first movement, the frequency of appearance decreases as the melody goes on. The melody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ayageum has independent role of melodic progression, so one part is not belonging to the part’s accompaniment. Therefore, by building together, the melody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ayageum is similar to Gye-myun-jo melody in Jungmori rhythm of gayageum Sanjo. Instead of showing perpendicular scheme of harmony chord, this melody in two parts exhibit special feature of ‘Heterophony’ by showing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two independent tune. The second movement - the 1st to the72nd bar - is played with Jungmori rhythm with ♩= 60 tempo, so the second movement is faster than the first one. The second movement is divided in to three different parts, A-B-A' ,' in sonata form due to each part’s musical technique. Being a motive of these second movement, A in the second movement starts with yuen-tui-gim (consecutive-twang), which has the distinctive rhythmic melody. Similar to the melody in the first movement, the main melody in part A has unique Gye-myun-jo melody in Jungmori characteristic in gayameum Sanjo. Furthermore, as the appearance of chord between the 20th and the 28th bar, it is idiosyncratic to create rich sound effect by showing repetitive scale sequence. B is organized with dynamic melody by using consecutive and repetitive uses of semiquaver. The melody that is played with repetitive semiquaver consecutive twang is similar to that of Whimori in gayageum Sanjo. Additionally, this type of melody that has dynamic and repetitive rhytm enhances unity of the sounds in this music, so it is called, ‘ostinato’ progression. In the introductory melody in part A', yuen-tui-gim appeared again, and the music is concluded similar to the melody of part A. The melody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ayageum in this movement are in equal relationship, so, this movement continues on with heterophony progression. Also, each part repeats scale sequence progression by imitating one part to the other. The 1st to the 130th bar in the third movement proceed quickly in tempo, ♩= 130 tempo, between the 131st and the 142nd bar, which is ♩= 44, gets slower with Jungmori rhythm. The third movement is divided in to four different parts, A-B-C-D due to each part’s musical characteristics. A starts with the technique of pointing by appearing consecutive combination of ornaments and main note. The unit of rhythm in combined rhythm of ornaments and main notegets shorter - from a half note → a quarter note → a quaver. B is composed of two different parts. One part proceeds with appearance of repetitive combination of ornaments and main note. The other proceeds with accompaniment role by not showing any combination of ornaments and main note. Also, as both parts use scale sequence of special unit of rhythm by using a half note → a quarter note → quaver, the characteristic of the music gradually raises tensions. In part C, the rhythmic combination of ornaments and main note disappears. One part repeats rhythm that is consisted with semiquaver, the other part proceeds with combination of various different units of rhythm, and the conclusion is climax part. The melody that is consisted with semiquaver is dynamic and similar to the Whimori melody in gayageum Sanjo in part B of the second movement. D gets gradually slower, by showing both Seul-gi-dueng in the first movement and consecutive twang in the second movement. Therefore, D concludes the music by reminding the first and the second movement of the song. The melody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ayageum in this movement plays scale sequence by taking individualistic role in each part A, C and D. However, in part B, as accompaniment part and the main melody part are distinctively separated, i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movement that have special aspects of one part is restricted to the 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