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27 Download: 0

한국음악 활성화를 위한 홍보·마케팅 전략 연구

Title
한국음악 활성화를 위한 홍보·마케팅 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y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Focusing on the National Gugak Center
Authors
최문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음악예술경영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희
Abstract
한국음악은 우리 민족의 특성을 반영한 통합적, 총체적 예술의 형태를 지닌 우리 고유의 음악 장르이다. 그러나 과거 일제 강점기 시대의 문화탄압과 뒤이은 급격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추락한 한국음악의 위상은 광복 이후 민족문화 부흥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이 부재했던 까닭에 여전히 대중들에게 비주류의 예술로 인식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음악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고취시키고 나아가 한국음악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우리나라 최고의 한국음악 전문기관인 국립국악원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여 한국음악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 한국음악 홍보·마케팅 전략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한국음악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립국악원이 수행해야 할 홍보·마케팅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큰 호응을 유발할 수 있는 파급력을 지닌 단원들의 공연을 홍보 전면에 내세워 중점적으로 기획하고, 그에 따른 신규 고객망을 구축하여 충성고객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만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문화예술산업의 주요 수요자 이면서 높은 몰입도를 나타내는 20-30대 여성을 타겟으로 유입시켜야 하며 공연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더라도 상호간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친목형 행사를 기획함으로써 국립국악원으로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활성화 사업을 공연분야로 한정하기 보다는 교육 및 체험 사업과 외국인 유치 사업 등을 강화하여 국립국악원이 가지는 전통 계승적 특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가격이 하향 평준화되어 있는 국립국악원의 티켓 가격을 상향 조정하여 그 가치를 높여야 한다. 유료 회원제를 새로 운영함으로써 납부된 후원금은 모금하여 국립국악원 자체 사업 지원금으로 활용하고 가입자들에게는 VIP좌석 제공 및 사전예매를 가능케 하는 등의 특화된 혜택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 집결지인 서초동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인근에 위치한 예술의전당과 연계한 사업을 기획하여 순수 예술을 선호하는 타겟이 국립국악원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비교적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창작국악’을 주제로 프로젝트 성격의 실내악 공연을 기획함으로써 신규 진입자의 수준에 맞는 공연 또한 제공해야 한다. 넷째, 공연 관람 목적이 아니더라도 또 다른 목적성을 가지고 국립국악원에 방문할 수 있도록 계절적 특성을 살린 부대행사를 기획하고, 국민의 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은 공연 야외 무대, 식음료사업 지원 등외 시설을 추가 배치함으로써‘복합문화공간’으로서 자리매김 해야 한다. 다섯째, 홍보팀의 직제를 국립국악원 원장 혹은 기획운영단장 직속의 독립적 형태로 재조직하여, 기관 홍보처의 입장에서 모든 사업에 대한 기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전문 인력의 추가 채용을 통해 기관홍보, 공연홍보, 그 외 사업 등의 세부 홍보 파트를 구분해 전문성과 그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여섯째, 보다 체계적으로 홍보·마케팅 매체를 활용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협의 된 업무 매뉴얼을 제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한국음악 활성화를 위해 국립국악원이 수행해야할 미래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자 역시 한국음악 전공자로서 내부 종사자의 입장에서 문제를 제기, 해결책을 제시했기 때문에 외부에서 바라보는 한국음악산업의 문제점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했을 수 있다. 또한 전통을 계승하고 보존해야하는 국립국악원의 주요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타 기관과는 명확히 차별화된 전통기반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것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으나 현재 부재하고 있는 것들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단기적으로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는 일반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 논문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는 장기적 전략을 제시할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이제 한국음악은 다소 협소한 산업의 크기라 할지라도 폐쇄적인 대응에서 벗어나 유능한 홍보·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 한국음악계를 벗어나 기발하고 창의적 창작 및 기획 능력을 가지고 있는 외부인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하며, 대중의 관점에서 제언하는 냉정한 평가를 두려워해서는 안 되는 시점임을 명심해야 한다. 앞으로 한국음악이 더 많은 국민과 세계인에게 최고의 문화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 믿고, 그 과정에서 본 연구가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Korean traditional music is a unique genre which contains the form of integrated and collective ar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However, the fallen stat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ue to the repress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and the following rapid industrialization has affected on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until just recently. In regards to the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ich has the greatest effect on cultivating musical expertise and nurturing cultural experience and preference, the importance of value in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is relatively underestimated as compared to that of Western music. Moreover, the image of old-style conventional music exposed by the broadcast media has been used for a comical element or has been more frequently used as being trite. This makes the public perceiv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relatively being despised or old-fashioned image. Based on this trend, the researcher attempted to suggest the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traditional music’in order to instill a positiv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to the public and bring about a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dustry by analyzing ‘National Gugak Center’, the best specialized orga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in Korea. In this study, the‘public’ was defined as ‘groups of unspecified individuals, or all the people in a country’ and ‘popularization’ was referred to, as stated previously, the phenomenon that makes a favorable impression to ‘all the people’and spread it widely. In addition, this study constructed the theoretical concept through literature, previous studies, related articles, and inside data across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overall Korean traditional music industry. As a result of analysis, all of the institution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operated the programs including hands-on experience, education, and performance for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but had a highly passive tendency. Thu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problem from the survey data conducted by National Gugak Center on how visitors and people perceive ‘Korean traditional music’and accordingly determined the strategic direction for promotion and marke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y by designing the available model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uggested strategy for promotion and marketing was classified into marketing strategy through 4P analysis, space redevelopment introduced by the concept of complex cultural facility, organizing system, and structure complementing strategy and presented actual implementation stages using Matrix method.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problems of the promotion and marketing and the proposed solutions, pres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expressing the need for further study and efforts to establish the promotion and market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feasible strategies with improvements based on research and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great benefit to the strategic and aggressive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National Gugak Center and every institution relevant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s well.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