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신다원-
dc.creator신다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2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291-
dc.description.abstract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이들 정서의 부정적인 측면과 관련된 것들이 많았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수치심이나 죄책감이 도덕정 정서로서 역할행동을 하도록 하는 순기능적 측면이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비록 최근 들어 수치심과 죄책감을 분리하여 죄책감의 긍정적 측면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수치심 및 죄책감이 언제 적응적이고 언제 부적응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함에 따라 수치심과 죄책감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다르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설명력 있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반추적 반응양식은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기분에 대한 반응양식이며, 반복적이고, 순환적이고 부정적이며 긴 연쇄를 이루는 의식적인 사고와 행동패턴으로 내부초점적 반응이다. 반성적 반응양식은 긍정적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으로서‘부정적 감정에 직면하여 우울의 원인과 우울한 기분을 야기하는 기저의 사고과정을 능동적으로 검토하는 사고와 행동’이라고 정의된다. 반추적 반응양식과 반성적 반응양식은 부정적인 정서를 인식하고 현재의 정서와 사고, 부정적인 원인에 주의의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지니나 이 후의 사고과정에서는 질적인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우울과 관련성이 높은 수치심/죄책감경향성 이후의 적응을 예측하는데 반추적 반응양식과 반성적 반응양식이 하나의 과정적 변인이 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반성적 반응양식, 반추적 반응양식,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남녀 청소년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치심경향성과 학교생활적응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 간 상호관련성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죄책감경향성과 반성적 반응양식은 학교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반추적 반응양식은 학교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주요 변인들에 대한 남녀 집단 간 차이검증에서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반추적 반응양식에서 남녀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세 변수들 모두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평균 점수가 높았다. 셋째, 각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치심경향성은 학교생활부적응을 예측했으며, 죄책감경향성은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했다. 이는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며, 죄책감경향성이 더 적응적이라는 기존의 연구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높은 수치심경향성은 반추적 반응양식과 반성적 반응양식을 더 많이 하도록 하며, 죄책감경향성은 반추적 반응양식을 덜 하게 하고 반성적 반응양식을 더 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심경향성이 반추적 반응양식 외에도 반성적 반응양식을 정적으로 예측한 것은 반성적 반응양식을 통해 수치심경향성의 부정적 기능이 완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넷째,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반성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수치심경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와 죄책감경향성에서 학교생활정은 간 관계에서 반성적 반응양식의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죄책감경향성은 반성적 반응양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이 증가했고, 수치심경향성은 반성적 반응양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부적응이 감소되었다. 특히 수치심경향성의 경우, 반성적 반응양식이 학교생활부적응에 억제효과를 갖는 결과는 반성적 반응양식을 통해 수치심경향성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섯째, 각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에서 성차를 확인한 결과, 죄책감경향성에서 반성적 반응양식으로 가는 경로, 반추적 반응양식에서 학교생활적응으로 가는 경로, 반성적 반응양식에서 학교생활적응으로 가는경로, 수치심경향성에서 학교생활로 가는 경로에서 경로계수의 성차가 있었다. 특히 수치심경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남자청소년이 여자청소년 보다 유의미하게 컸다. 그러나 남자 청소년은 반성적 반응양식이 수치심경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며, 수치심 경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켰다. 여자청소년 보다 남자청소년에게 수치심경향성이 적응에 더 위험요인이라고 한다면, 남자 청소년 집단에서의 반성적 반응양식의 긍정적 역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죄책감경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통해 죄책감경향성의 긍정적 기능을 밝힘으로써 죄책감경향성과 수치심경향성의 이질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반성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를 통해 죄책감경향성의 긍정적 기능을 더 증가시킬 수 있고, 수치심경향성이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밝힌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즉 이 두 정서 이후의 적응을 도모하는데 반응양식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연구들이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반응양식에서의 평균점수 비교나 상관관계를 통해서만 성차를 밝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 간 인과관계에서의 성차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The precedent researches about the guilt and shame are generally studied via the negative aspect of emotion. Such researches overlook that the guilt and shame play positively functional role as moral emotions. Although the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ositive aspect of the guilt separated from the shame, There would not be enough researches about the conditions of adaptability for either guilt or shame. Thus, we need thorough research about how the accountable factors can function through the process involved with the shame and guilt. Ruminative response style is the response style toward the negative emotion such as the depression. It is the internal focused response that is repetitive, circulative, and negative behavior pattern and conscious thinking in the form of chain reaction. Reflective response style is the positive internal focused response style confronting ‘negative emotion’in order to positively consider the causes of depression and the thinking process of basis causing the depressed emotion. Both ruminative and reflective response style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recognize the negative emotion and focus on the negative effect, emotion, and thought. However, they show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the thinking process afterwards. Thus, they can be one of factors in the process that predicts the adaptation afterwards the guilt and shame proneness highly related with depression.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structural correlation among the adolescent shame and guilt proneness, ruminative and reflective response style,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reveal the gender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 male and femal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value for all factors except shame-proneness and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guilt-proneness and reflective response style seeme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seeme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Second,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related with the major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in shame-proneness, guilt-proneness,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The average score for female adolescent group was higher for all three factors. Third, the results of structure equation analysis for each factors showed that the shame-proneness predicts the school maladjustment, and that the guilt-proneness predicts the school adjustment. They supported the precedent studies that both shame and guilt proneness have different aspect, and that the guilt-proneness is more prone to adaptability. Also,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high value of the shame-proneness is more likely to cause both ruminative and reflective response style; on the other hand, guilt-proneness is less likely to cause the ruminative response style and more likely to cause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 shame-proneness qualitatively predict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besides the ruminative response style, it would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negative function of shame-proneness can be relieved through the reflective responses style. Fourth,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in the relationship with shame-proneness, guilt-proneness,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that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was indirectly eff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proneness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one between guilt-pronen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guilt-proneness increased the value of school adjustment by mediating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moreover, shame-proneness decreased school maladjustment by mediating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Especially, the result of suppressive effect on the school maladjustment in the case of shame-proneness would be full of suggestions about the fact that the shame-proneness can reduce the negative effect on school life by mediating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f path coefficient in pathways from guilt-proneness to reflective response style, from ruminative response style to school adjustment, from reflective response style to school adjustment, and from shame-proneness to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the negativ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by the shame-proneness came up more highly significant in male adolescent than female adolescent. However, reflective response style ha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proneness and school adjustment; moreover, shame-proneness decreased the negativ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for male adolescent. The positive role of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would be full of suggestions if the shame-proneness is more risk element for male adolescent than female adolesc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shame and guilt-proneness by revealing the positive function of guilt-proneness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guilt-proneness and school adjustment. Moreover, it would be significant to reveal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response style can increase the positive function of guilt-proneness. Also, it would be significant to reveal that the shame-proneness can decrease the negative effect on the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study provides significant basis to utilize the response style afterwards these two emotion: shame and guilt-proneness. Finally, most studies have revealed the gender difference through the correlation or the comparison of average scores in shame-proneness, guilt-proneness, and response style; however, this study significantly revealed gender difference via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A.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 6 1. 자의식정서로서 수치심과 죄책감 6 2. 수치심/죄책감과 수치심경향성/죄책감경향성 7 3.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이질성 8 B. 학교생활적응 11 1.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11 2.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과 학교생활적응 13 C. 반응양식 14 1. Nolen-Hoeksema의 반응양식 14 2. 긍정적인 내부초점적 반응양식 15 3.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과 반응양식 17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9 A. 연구 대상 19 B. 연구 도구 및 분석 절차 20 1. 자의식적정서 척도 20 2. 반응양식 척도 21 3. 학교생활적응 척도 21 C. 연구절차 22 D. 통계처리 23 Ⅳ. 연구 결과 24 A. 주요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24 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게치 24 2. 주요변인들의 상관분석 25 3. 주요변인들의 남자 청소년 집단과 여자 청소년 집단 간 차이검증 26 4. 주요변인들의 남자 청소년 집단과 여자 청소년 집단 별 상관분석 26 B.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내부초점적 반응양식,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관계 28 1. 구조모형의 검증 및 적합도 분석 28 2. 구조모형의 분석 29 3. 반성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검증 30 C. 남자청소년, 여자청소년 집단 간 비교 32 1. 남자 청소년,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의 가설 모형의 동등성 검증 32 2. 남자 청소년, 여자 청소년 집단의 경로 차이 비교 34 Ⅴ. 결론 및 제언 38 A. 결과 요약 및 논의 38 1. 주요변인들의 상관분석 38 2. 주요변인들의 남자청소년 집단과 여자청소년 집단 간 차이검증 39 3.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내부초점적 반응양식, 학교생활적응 간 구조적 관계 40 4.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41 5. 남자청소년 집단과 여자청소년 집단 간 비교 42 B. 연구의 의의 43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4 참고문헌 46 부록 54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24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남녀 청소년의 수치심경향성 및 죄책감경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proneness/guilt-proneness, school adjustment : mediating effect of ruminative response style and reflective response style-
dc.creator.othernameShin, Da won-
dc.format.pagexi, 68 p.-
dc.contributor.examiner이혜원-
dc.contributor.examiner노경란-
dc.contributor.examiner방희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