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남녀 대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주의조절의 조절효과

Title
남녀 대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주의조절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kills,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Mediator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the Moderator Effect of Attentional Control
Authors
허은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social skills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or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oder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dating relationship i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350 college students, 184 males, 166 females) were drawn from grades 1st-4th from 3 universities in Seoul and Daeje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2.0 and AMOS 7.0. For the purpose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Korea-Social Skills Rating System(K-SSRS), Korea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K-MSI),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ACQ).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nd negative correlations among social skills, dating relationship, social anxiety and attention control. Second, the mediator effect of social skills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analyzed. The mediator effects of social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otal group and male group except female group. Third, the moderator effect of attention control between social anxiety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emale group not in total group and male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ale student's social skills influence on social anxiety and social anxiety influences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in female group, even though they have high social anxiety, thanks to the moderator effect of attention control, they experience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대학생 시기는 Erikson(1959)이 부모로부터 독립된 정체감을 확립하고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발달적 과업이라고 제안한 시기이며,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에 대한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적응 및 이후 단계에서 배우자 선택과 배우자와의 결혼생활 유지 및 갈등해결 등을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김희경, 심혜숙, 이동훈, 2012). 대학과정은 사회에 나갈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도기적 단계로 이 시기의 발달과제 성공 여부는 성인기 적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므로(신혜린, 이기학, 2008) 이 시기에 획득해야하는 친밀감, 특히 중요한 타인이 되는 이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원만하지 못한 이성관계는 대학생들의 정서적 심리적 문제와 직접 관련이 될 만큼 큰 갈등요인이 되기도 한다(전은경, 김기중, 2011). 본 연구에서는 이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사회적 기술을 설정하였는데, 긍정적이고 주장적이며 주도적인 사회기술의 부족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양윤란, 2004). 또한 사회적 기술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사회적 기술은 Segrin(1996, 1999)의 연구에서 사회불안을 의미 있게 예측하였고, 불안이 낮은 학생이 불안이 높은 학생에 비해 이성관계 만족도에서 불만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박혜련, 손은정, 2012). 사회불안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주의조절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것은 주의조절이 뛰어날 경우 자발적으로 주의를 초점화하거나 이동하여(이영아, 2014) 불안 수준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주의조절이 대인관계 문제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김주연, 성태훈, 김지혜, 신민영, 2014)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주의조절은 사회불안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성별에 따라 검증하였다. 사회적 기술은 한국판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Korea Social Skills Rating System; K-SSRS: 대학생용), 이성관계 만족도는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orea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를 이성교제에 적합한 표현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불안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주의조절은 주의조절 척도(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 AC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서울과 대전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서 대학생 1-4학년 350명(남학생 184명 52.60%, 여학생 166명 47.40%)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집단을 구분하여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학생 집단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여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사회 불안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주의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학생 집단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학생 집단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남학생 집단에서 사회적 기술이 낮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에서 사회불안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 불만족을 더 경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학생 집단에서는 사회불안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주의조절이 보호요인으로서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어 사회불안이라는 동일한 취약성을 가졌음에도 이성관계에서 불만족을 덜 경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