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무용전공자에서 예비체육교사로 성장하기

Title
무용전공자에서 예비체육교사로 성장하기
Other Titles
Growth of Dance Majors into Preservice P.E.Teachers
Authors
송효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도연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진학한 무용전공자들의 교과 및 교직 선택 동기, 교직과목 지식, 교과교육학 지식, 내적비전을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중등 예비교사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Clandinin&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 절차를 따랐으며, 연구목적에 부합하여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체육교육전공 대학원생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들의 전공 선택 동기는 무용영역에서 체육영역으로의 저변 확대와 체육활동에 대한 소질과 흥미, 체육의 측정 및 평가의 명확성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고, 교직 선택 동기는 체육교수법에 대한 학습 필요성 인식과 안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망이었다. 또한, 교육대학원 교직과목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학습자에 대한 이해로 확대하며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성장시켰다. 체육교과내용 영역에 대한 지식은 첫째,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의 체육, 둘째, 체육을 중심으로 철학, 역학, 심리학, 생리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으로 연결되어있는 통합적인 학문, 셋째, 일상적인 생활문화 및 놀이로서의 체육으로 이해하며 지식을 형성하였다. 체육교과교수 영역의 지식은 첫째, 교육학을 통해 형성한 지식과 시사점의 활용 둘째, 교수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체육현장관찰 수업 및 담당교수의 교수방법을 통해 형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의 지식을 통합적인 차원으로 형성해 나갔고, 내적비전 형성이 구체적으로 완성되어가는 듯 보였으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하여 전공 선택 동기가 저하되고 정체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직에 대한 이해와 전공과목을 알아가는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나 교육실습의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체육실기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목적에 따른 예비체육교사교육을 목표로 한다면, 체육교육은 과목의 특성이 이론과 더불어 실기능력에 대한 준비도 필수가 되어야 한다. 실기교육의 부재는 4주간의 교육실습현장을 경험하며 실기에 대한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무용전공자들이 예비체육교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의 장으로 교육실습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직동기가 저하되며 교사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유의미한 교육실습경험이 될 수 있도록 체육실기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여 무용전공자들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의 현직교사교육과 예비교사교육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교육하기 위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기에 양자 모두에게 질 높은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 진학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직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입학한 무용전공자들에게 교직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예비교사에게는 교사로서 준비되어야할 자질과 실제학습현장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을 세분화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의 교육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로 그 대상을 한정지었으나, 무용전공자와 같이 산업스포츠학과, 건강지도학과, 특수체육학과 등의 유사관련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이들의 교육경험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엘리트 운동선수로 은퇴를 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중도 탈락을 경험한 선수들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들에게 교육대학원의 예비체육교사교육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로의 전문성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dance majors taking P.E. course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he choice of their departments and the teaching profession, their knowledge of courses in teach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vision. It's basically meant to grasp the reali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Clandinin & Connelly(2000)'s five-stage narrative inquiry process was adopted to serve the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selected graduate students who were taking courses in physical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P.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motivation of their choice of major,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chose their major due to their own talent and interest in P.E. an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is subject.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P.E. teaching methods and hoped to get a stable occupation. The two motivations were evenly common. Taking courses in teach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look back on themselves, to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learners and to foster their own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as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content area of P.E. courses, they viewed P.E. a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discipline, as an integrative discipline link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hilosophy, epidemiology, psychology, physiology and pedagogy, and as part of living culture and amusement. Concerning knowledge of P.E. teaching, they acquired the knowledge by taking courses in education, from the teaching methods of their professors, and by observing P.E. instru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cquired knowledge in an integrated manner by taking both courses in teaching and major courses, and they seemed to have mapped out their vision in detail. But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mselves in association with their major choic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took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ot to understand the teaching profession and found it interesting to learn about major courses, but they becam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practical P.E. education because of their negative experience during student teaching. According to the objects of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ractical education but the preparation of actual P.E. skills are mandatory becausa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As the students received no practical education, they faced difficulties during four-week student teaching. Although student teaching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dance majors to confirm their own possibility as preservice P.E. teachers, it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 students and making them have fear for the teaching profession. Divers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ance majors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as P.E. teachers, which is actually required at school, so that they could gain significant experience in student teaching.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current curriculum is design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offer quality education for either of them, and the curriculum didn't comply with the intent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The dance majors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to have the teaching profession, but the curriculum ended up demotivating them. The kind of curriculum that can nurture full-fledged, qualifie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more diverse groups of subjects should be selected. In this study,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future, not only dance majors but those who majored in similar departments such as industrial sports, health guidance 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have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to look in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elite athletes who have been retired or who have dropped out due to injuries are likely to decide to go on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at the experience of receiving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eans for athletes who receive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hould carefully be stud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