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3 Download: 0

애착의 세대 간 전이에서 어머니 반영 기능의 매개효과

Title
애착의 세대 간 전이에서 어머니 반영 기능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i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Authors
최해훈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an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i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17 pairs of mothers and her 12-24 months infants living Seoul and Gyounggi province.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was classified by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a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was classified by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Also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was assessed by the Parent Development Interview. The distribution of attachment pattern in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were recognized by analysis of frequency. χ² analysis was administrated for examining the concordance of the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administrated to test the group differences of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ccording to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Finally, Sim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f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17 infants were classified by SSP, 65.8% as secure type(B), 20.5% as insecure-avoidant type(A), 7.7% as insecure-resistant type(C), 6.0% as disorganized/disoriented type(D). In addition, 117 mothers were classified by AAI, 64.1% as autonomous type(F), 17.9% as dismissing type(Ds), 13.7% as preoccupied type(E), 4.3% as unresolved type(Ud). Second, the two-way(secure-insecure / autonomous-non autonomous) concordance of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was 72.6% which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χ² analysis. Third, group differences of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in infant’s attachment types and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Forth,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was mediating partially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distribution of infant’s attachment which of results were inconsistent in previous Korean studies was considered deeply in large sample. In addition, the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was studied by AAI which was not used often in Korea but very meaningful method in research of adult’s attach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in relation between maternal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the infant’s attachment security was tested statistically for the first time. Third,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was proposed as the noteworthy variable in studying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Forth,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program for promoting attachment security between infants and mothers provided by t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아-어머니 쌍을 대상으로 낯선 상황 절차와 성인 애착 면접을 이용하여 애착의 세대 간 전이 현상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이 영아의 애착 유형으로 세대 간 전이 되는 과정에서 어머니 반영 기능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2-24개월 영아와 어머니 117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성인 애착 면접(Adult Attachment interview: AAI)을 이용하였고, 영아의 영아 애착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낯선 상황 절차(Strange Situation Procedure: SSP)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반영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모 발달 면접(Parent Development Interview: PDI)을 이용하였다.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과 영아의 애착 유형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과 영아의 애착 유형 간 일치도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반영 기능이 어머니 애착 표상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어머니의 반영 기능이 영아 애착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이 영아의 애착 유형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에서 어머니 반영 기능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낯선 상황 절차를 이용해 영아의 애착 유형을 분류했을 때, 안정형이 78명으로 65.8%, 불안정-회피형이 23명으로 20.5%, 불안정-저항형이 9명으로 7.7%, 비조직형이 7명으로 6.0%의 분포를 보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성인 애착 면접을 이용해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을 분류했을 때, 자율형이 75명으로 64.1%, 무시형이 21명으로 17.9%, 몰입형이 16명으로 13.7%, 미해결형이 5명으로 4.3%의 분포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과 영아의 애착 유형 간에 일치율은 4범주일 때 65.8%였으나 4범주 분석을 위한 교차표에 기대빈도 5이하의 셀이 있기 때문에 χ²검증을 실시할 수 없었다. 이에 2범주(영아의 경우 안정/비안정, 성인의 경우 자율/비자율) 분석을 실시하였고, 2범주 간 일치율은 72.6%로 χ²검증 결과 유의미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에 따라 어머니 반영 기능의 차이가 유의한 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사후분석 결과 자율형과 무시형 어머니들의 반영 기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 애착 표상 유형에 따른 평균은 자율형 어머니들의 반영 기능 5.60(SD 1.17), 무시형 어머니들의 반영 기능 4.23(SD 1.17), 몰입형 어머니들의 반영 기능 5.18(SD 1.81), 미해결형 어머니들의 반영기능 5.10(SD 1.14)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의 애착 유형에 따라 어머니 반영 기능의 차이가 유의한 지 알아보기 위해여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범주 간 반영 기능의 평균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후 분석 결과 안정 애착형 영아의 어머니들이 불안정-회피형, 불안정-저항형, 비조직형 영아의 어머니들에 비해 반영 기능이 유의하게 높았다. 어머니 애착 표상 유형에 따른 어머니 반영 기능의 평균치를 살펴보면 안정형 영아의 어머니들 반영 기능이 5.89(SD 0.97), 불안정-회피형 영아의 어머니들 반영 기능이 4.22(SD 1.25), 불안정-갈등형 영아의 어머니들 반영 기능이 4.38(SD 1.40), 비조직형 영아의 어머니들 반영 기능이 3.21(SD 0.80)이었다. 여섯째,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이 영아의 애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 반영 기능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의 세대 간 전이 과정에서 어머니 반영 기능은 부분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영아 애착의 중요한 측정 도구인 낯선 상황 절차가 국내에 소개된 이후 일관성 없이 보고되던 영아 애착 유형 분포를 다시 한 번 고찰하였다. 또한 분석의 복잡성 때문에 매우 인정받는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자주 사용되지 못했던 성인 애착 면접을 이용하여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 분포를 살펴 보았으며 애착의 세대 간 전이 현상을 대규모 피험자를 대상으로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둘째, 애착의 세대 간 전이 과정에서 어머니의 반영 기능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정을 통계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셋째, 최근 애착 연구자들 사이에 애착의 세대 간 전이에 관여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새롭게 떠오른 어머니의 반영 기능을 영아 애착과 관련하여 탐색함으로써 향후 국내 애착 연구가 어머니 반영 기능에 주목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공하였다. 다섯째 낯선 상황 절차나 성인 애착 면접과는 달리 양적 자료를 다루게 되는 어머니 반영 기능이라는 새로운 변인을 국내에 소개함으로써, 애착 연구가 좀 더 다양한 통계 절차를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확보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