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efficacy
Authors
신선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 진로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이론적 배경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 진로성숙 발달에 기여하기 위하여 애착(부모애착, 친구애착, 교사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성별의 특성에 맞춘 개입을 시도한다면 진로성숙을 높이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기에 성별에 따른 경로차이 또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4차년도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부모애착과 친구애착, 교사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과 친구애착의 경우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 그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 수준도 증가하였다. 반면 교사애착의 경우에는 진로성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교사애착 수준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진로성숙도는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애착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애착과 친구애착, 교사애착은 모두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영향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애착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애착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 간에서는 완전매개를, 친구애착과 진로성숙도, 교사애착과 진로성숙도 간에서는 부분매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변인들 간의 성별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의 경우에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친구애착과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진로성숙에 이르는 구조모형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모형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경로를 검증한 결과 부모애착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1개 경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부모애착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남학생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 및 진로 관련 실천 현장에의 적용방안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애착과 진로성숙도를 매개하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나 복지관, 일반 기업 등 다양한 세팅에서 진로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있어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에 중점을 두고 개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경로차이를 살펴본 결과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진로성숙에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성별에 따른 분리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통합적으로 진로성숙에 대한 개입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다만 여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애착이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가 남학생보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부분에 보다 신경을 써서 개입을 할 필요가 있으며 성별에 따른 기본 변수의 특성들도 고려해야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also considered. This study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fourth wave of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s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levels of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increase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However, teacher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pathway from attachment to career maturity. Fifth, several gender differences were discovered in the levels of variables.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However, peer attachment and self-efficacy of male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terms of the effect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efficacy. However, the path coefficient from parental attachment to self-efficacy showed a gender difference.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practic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This study revealed that self-efficacy was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career maturity. Therefore, self-efficacy should be emphasized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diverse settings. Moreover,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overall pathway from attachment to career matur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career maturity could be same for both female and male. But, there were several variables and one path which showed gender difference. Therefore, these partial differen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gender-integr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