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

Title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
Other Titles
Case Analysis of Sexually Violated Femal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uthors
문현주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I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s of femal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what happened before and after the sexual violence. Women, who have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who have the capacity to understand the interview questions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and to answer them,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cause the interview questions about their sexual violence experiences may cause some emotional distress or discomfort, investigators gave much explanation about the process. Three women (Hae, Byeol, & Dal) who agreed to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to the tape-recorded interview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s of case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introduced by Stake(1994). Through case analysis,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s of each interviewee wer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themes of experience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by common issues derived by each case. Through the ca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explained as follows: (1) Hae did not told anyone about her sexual violence experience, not even to her family members. Hae had been dealing with her inner suffering, that caused by sexual violence experience, only by praying in church. (2) Byeol came to realize that she should not rely on others’ help and should manage to live her own life by herself after her sexual violence experience. Byeol was grown up in the 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o that she had wished to meet a man who could protect her and to have a family. Byeol wished to lean on her boyfriend and wanted her boyfriend to play for her side. However, Byeol was sexually assaulted by her first boyfriend. After her sexual assault experience, she realized that she had to live independently. (3) Dal thought that she lost her life after her sexual violence experience. She was the eldest daughter in her family and her mother and younger sister also had intellectual disabilities. Dal had wanted to get away from family burden by marrying her boyfriend, but she instead got raped and became pregnant. The baby died during birth. These experiences made her determined to become more independent financially.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of the common issues of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s of the three, nine themes were derived. Themes are as follows: (1) "identity confusion" represents the context that the interviewees have not been protected even though they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were not even aware that they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thers of two interviewees also ha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wo interviewees were thus raised by her grandmother or father; another interviewee was abandoned by her parents and grown up in a 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did not receive the proper help or support from their family members because their family system was weak. (2) "exploited disability" reflects the fact that the sex offenders used the intellectual disability as a tool of sexual violence. In the unprotected environment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asily opened their hearts to the people who approached them and who treated them kindly at first. (3) "unexpected situations" reflects the fact that three interviewees in this study never expected that they would be sexually violated; they never expected that sex offenders would touch them with the intention of sexual violence. (4) "lost own lives" expresses the feelings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when they thought about their sexual violence experiences: they felt irritated, scared, and dirty. After they realized that they were sexually violated in reality, they were afraid that their life would be vanished. (5) "do not talk to others" reflects the ways that interviewees built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after sexual violence. They thought that nobody would help them even if they told others about the sexual violences based on their previous family experiences. Thus, they tried not to let anybody know that they were sexually violated, and nobody reported the incidents to the police. (6) "no support" reflects the fact that the interviewees did not receive proper counseling, protection, or intervention after their sexual violence. Even after family members or the staff of the facility knew about the incidents, the interviewees did not receive any active or prompt help/intervention. (7) "aware the cause of incident" reflects that three interviewees believed that they did not cause the sexual violence, but sex offender did. (8) "confronting to other life tasks"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terviewees no longer recall their sexual violence because they are overwhelmed by their present difficulties. (9) "repetitive exposure to danger" represents that interviewees place themselves in situations where they could be sexually attacked again. Even though they were aware of what sexual violence was and how this incidents negatively affected their lives, they again experienced sexual violence either by strangers or by people they ha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yield several issues to discuss as follows: (1)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s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women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2)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more vulnerable to sexual violence by people who show kindness to them than women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3) an intervention plan based on the life cycle needs to be developed and th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4)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in building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after the incid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n social services for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sexually violated, their families, and institutions are made. (1) a educational protocol for preventing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sexual violence -tailored to their different intellectual levels- needs to be prepared. (2) when assessing the sexual violence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ossibility of physical abuse should be considered. (3) the family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ed to have strong support, so that the family can function as the protection system for their female ki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eventually prevent them from sexual violence. (4) the role of guardians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mportant. They should be available when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nt to talk about their sexual violence experiences without constraint. (5) the staff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has to intervene the sexual violence cases as soon as they know about the incident, because it is a crime as well as traumatic to the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has limitation in terms of generalizing the results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study subject. A future study needs to explore the secondary damage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prosecution a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system through the cases that were reported to the police.;본 연구는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을 탐색하여 성폭력 피해경험 전후 이들의 생활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지적장애여성 중 인터뷰가 가능한 경도 지적장애여성이다. 성폭력 피해경험에 대해 인터뷰를 하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거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 후 연구내용에 대해 설명을 하고 녹취와 자료수집에 관한 동의서를 작성한 3명의 지적장애여성에 대해 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take(1994)가 제시한 사례분석과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인 성폭력 피해경험에서 나타난 주제와 이슈를 제시하였다. 주제분석은 사례를 아우르는 공통적인 이슈들을 통합하여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을 나타낼 수 있는 주제의 형태로 서술하였다. 먼저 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각 사례의 성폭력 피해경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해님은 성폭력 피해경험 이후 가족을 포함한 누구와도 이에 대하여 직접적인 이야기를 나눈 적이 없었다. 오로지 홀로 기도하며 성폭력 피해경험으로 나타난 개인 내적인 반응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별님은 성폭력 피해경험을 통해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고 혼자서 생활할 수 있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별님은 생활시설에서 성장하여 자신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사람을 만나서 가정을 이루고 싶어 했다. 남자친구가 자신의 편이 되어주길 바라고 기대고 싶었으나 처음 사귄 남자친구로부터 성폭력 피해경험을 겪게 되었다. 별님은 성폭력 피해경험에 대해 남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보다 스스로 문제 해결을 하면서 자기 일을 찾고자 하였고 자신에게 순수한 사랑이 다가오기를 바라고 있었다. 달님은 성폭력 피해경험을 통해 자신의 인생을 잃어버렸다고 여겼다. 달님은 지적장애인 어머니와 여동생이 있어 집안에서 장녀로서 자신의 역할이 막중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남자친구와 결혼하여 자신이 이고 있는 짐에서 해방되고자 하였다. 하지만 남자친구에 의한 성폭력으로 임신이 된 후 버려졌다. 아기는 출산과정에서 사망하였고 달님은 이 경험으로 다른 사람과 결혼을 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인생을 잃어버렸다고 생각하였다. 이후 달님은 자신이 좀 더 경제적인 능력을 키워야겠다고 생각하고 일을 하고 있었다. 주제분석에서는 연구 참여자들 간 공통으로 나타난 성폭력 피해경험의 이슈를 분석하여 총 9개의 범주를 추출하였다. 첫 번째, ‘정체성 혼란’이라는 범주는 연구 참여자들이 지적장애이지만 지적장애에 대한 보호나 개입을 받지 못하고 성장한 맥락이라고 개념화할 수 있다. 이들은 스스로 지적장애인이라고 생각하며 성장하지 않았다. 중도 지적장애인인 어머니에 인해 아버지나 할머니가 주 양육자가 되기도 하였고 부모로부터 유기되어 시설에서 성장하기도 하였다. 취약한 가정환경에 인하여 본인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가족에게 이야기하거나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였다. 둘째, ‘장애를 이용당함’은 연구 참여자가 가진 장애를 가해자가 성폭력의 도구로 사용한 것을 반영하였다. 보호받지 못하는 환경 속에서 연구 참여자는 자신에게 접근하여 친절하게 대해주는 사람에게 쉽게 마음을 열어 성폭력을 당하게 되었다. 셋째, ‘상황을 예측하지 못함’은 연구 참여자들이 성폭력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일어날 일을 전혀 예측하지 못한 모습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성폭력 상황에 놓이게 되는 과정에서 성적인 접촉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하지 못하였다. 넷째, ‘내 인생이 사라짐’은 성폭력 피해경험을 스스로 인지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들의 느낌을 나타냈다. 성폭력 피해경험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짜증 남, 무서움, 더러움과 같은 감정들을 갖게 되고 자신의 경험이 성폭력 피해경험이라는 것을 인지한 후 인생이 사라지는 것에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다섯째,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지 않음’은 연구 참여자들이 성폭력 피해경험 이후 외부에 어떻게 반응하였는지를 보여준다. 이들은 이전의 가족경험에 인하여 성폭력 피해경험을 가족에게 알린다고 하더라도 도움을 줄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들은 성폭력 피해경험을 외부에 알리지 않으려고 하였고 공적인 신고체계에 들어가지 않았다. 여섯째, ‘지지받지 못함’은 연구 참여자들이 성폭력 트라우마에 대한 적절한 상담, 보호, 개입을 받은 적이 없음을 반영하였다. 성폭력 피해경험을 가족이나 이용하는 기관에서 알게 되었지만, 연구 참여자들의 성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곱째, ‘내 잘못이 아니라는 자각’은 연구 참여자들은 성폭력 피해경험의 원인이 자신이 아닌 가해자에게 있다고 생각한 것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자각으로 지적장애여성이 성폭력 피해경험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여덟째, ‘또 다른 삶의 과제를 만남’은 현재 가지고 있는 어려움에 묻혀 성폭력 피해경험을 떠올리지 않고 있는 모습을 나타냈다. 연구 참여자들은 눈앞에 닥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집중하였고 이 때문에 성폭력 피해경험의 영향이 현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아홉째, ‘반복적인 위험에 노출됨’은 성폭력 이후에도 또다시 성폭력 상황에 놓이게 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성폭력에 관한 인지가 분명하게 생겼음에도 반복하여 낯선 사람이나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성폭력 피해경험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은 비장애 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성폭력 피해경험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지 않고 가해자에게 있다고 생각을 하였다. 셋째, 지적장애여성은 친밀성에 의한 폭력에 비장애 여성보다 더욱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적장애여성에 대하여도 생애주기별 변화에 따른 개입과 성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지적장애여성은 성폭력 피해경험 이후 다른 사람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고 여기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지적장애여성 개인과 지적장애여성의 가족,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기관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먼저 지적장애여성에 대한 성폭력 피해경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들의 지적 수준에 맞는 성폭력 예방교육의 시스템을 만들어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을 사정할 때에는 이들이 경험한 신체적 폭력에 대하여도 스크리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적장애여성의 가족이 성폭력 피해경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안전한 보호체계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적장애여성이 자신의 이야기를 스스럼없이 나눌 수 있는 보호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지적장애여성에 대한 성폭력이 범법행위이고 트라우마 사건이므로 위기사건으로 분류하여 발견 즉시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가 소수여서 모든 지적장애여성에게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 사실에 대한 기소가 이루어진 사례까지 면접하여 이에 따른 이차적 피해, 환경체계의 문제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