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이재희-
dc.creator이재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8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6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816-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기업은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제적 가치와 공동의 행복을 위한 사회적 가치의 균형 속에서 현대 사회문제 해결의 새로운 대안으로 관심 받고 있다. 또한 아직까지 성장 폭이 크지는 않으나 충분한 잠재성을 지닌 경제 주체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정부의 주도적 지원체계에서 벗어나 독립 주체로서 새롭게 자리매김 해야한다는 요구 속에 지속가능한 조직으로 성장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인바 사회적기업 운영의 시간들이 조금씩 더해져 가는 현재, 전략적 모색이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들어 생태계 조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조직간 네트워크 활성화에 대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고용노동부 역시 사회적기업 2차(2013~2017) 육성 기본 계획을 통해 민간과 사회적 경제 유사사업간 연계 강화, 지역・업종간의 교류 증진, 지역 파트너십 강화 등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삼겠다고 발표했다. 사회적기업에게 있어 네트워크는 본연적 운영 원칙일 뿐 아니라 지역 내 자원 및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다. 실제로 기업에게 있어 네트워크 활동은 치열하고 빠른 외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성장하며 지속가능성을 가능하게 해주어 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언급되어 왔다. 조직간 네트워크는 협력목표, 조직형태, 활동내용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구조화될 수 있음에 조직을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반면 현재까지의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네트워크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일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실제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고용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네트워크의 특성 가운데 하나인 중심성 수준이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으로서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먼저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이들의 관계 유형을 정보교환, 조직간 협의, 자원(인적・물적)교류, 시장판로 연계, 기업간 상호거래, 공동사업 운영으로 구분한 후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해 밀도, 응집성, 중심성 수준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중심성 상위 5개 조직에 대해 네트워크 활동별로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사회적기업 외 조직들과의 네트워크 관계 수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후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네트워크 중심성 수준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인 사회적기업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 업종에 따라 매개 중심성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조직 활동분야에 따라 사회적 성과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직원 규모를 통해 살펴본 조직 규모는 연결, 근접, 매개 중심성 및 사회적 성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조직 규모가 네트워크 활동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을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유형별로 연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정보교환, 기업간 상호거래, 조직간 협의 순으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자원교류 및 시장판로 연계는 매우 낮은 수준의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정보교환을 제외한 다른 네트워크 유형별 연계에 있어서는 균형적 네트워크가 아닌 특정 기업간에서 집중화된 연계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유형별 상위 중심 조직을 분석한 결과, 내용별・중심성 유형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핵심 사회적기업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위 중심성 조직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 특징은 조직 스스로 네트워크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조직 업종 및 지역과 상관없이 다양한 조직들과의 연계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지역 내 사회적기업 중심의 공식 네트워크 모임에 주도적 역할을 맡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고, 여러 기회를 통해 네트워크 관계를 확장시켜 나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역에 대한 높은 관심과 그로인해 지역 현황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사회적기업 외 유관기관들과도 높은 연계 수준을 나타냈다. 더불어 사회적기업 전체 네트워크 속에서 핵심조직에 어디인지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기업 외 유관조직과의 네트워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간네트워크보다 훨씬 긴밀한 집중도(48.9%)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기관에 집중화 현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 네트워크 협의체, 지역사회 유관기관을 중심으로 연계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 번째, 네트워크 중심성 수준이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단계적 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 연결・근접・매개 중심성 모두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속에서 연결된 사회적기업의 수가 많을수록, 네트워크 내 핵심 사회적기업과 가까이 위치할수록, 또 사회적기업들 사이에서 연결 또는 중재자의 역할로서 자리하고 있을수록 사회적기업이 목표로 하는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른바 성공한 사회적기업으로 언급되는 특정한 소수의 조직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활용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는 사례 중심적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학문적으로 아직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적・경제적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기초 자료를 축적함으로써 조직 수준에서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조직간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조직 특성상 상시적 네트워크 활동의 의무를 지니고 있는 사회적기업 스스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활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속성 중심의 변수 간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관계 중심의 네트워크 특성 변수를 활용,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성과 측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재 시기적절한 연구임과 함께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성과 영향요인 규명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사회적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통해 운영 환경이 조성되고 협력적 체계 속에서 활동을 펼쳐나가야 하는 만큼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계획 마련 및 지원 기관들로 하여금 정책적 의사결정을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Social enterprise has received a great attention as a novel solution for current social issues in balancing economic values where profit maximization is pursued and social values for welfare of the society. Moreover, it is being recognized as an economic system with sufficient potential to develop further. However, while demanding independence from dominant support system of government, strategic measures are needed at this point where the social enterprise is beginning to actively establishing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group. Recently, there has been a movement in promoting interorganizational networking around social enterprise with an interest in building an ecosyste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lso stated that the major policies will be developed in such a wa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s between private sectors and social economy enterprise, to promote regional exchanges, and to reinforce regional partnership through the 2nd Social Enterprise Basic Plan (2013~2017). Networking acts not only as an operating principle but also as a valuable tool to obtain regional resources effortlessly. It has been referred that network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terprise development as it continues to advance by adapting to a rapidly changing and competitive external environment and toward creating sustainability. Since an interorganizational network is built in various forms and structures depending on cooperative goals, organization structures, and the contents of network,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it with a various perspectives along with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current research trends relating to social enterprise, a number of studies on the need for and promotion of networking have been conducted. However, it is still questionable how the networks are structured between the social enterprises and what characteristics they hav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k for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ing between social enterprises in Seoul,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network centrality on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of the social enterprise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fficient plan to build a sustainable social enterprise networ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networks between social enterprises were assessed by subdividing their relationship types into information exchanges, interorganizational consultation, resource (human/material) exchanges, connection to market, intercompany transaction, and joint enterprise. Then, the levels of network density, cohesion, and centrality were measured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the networking activities were carefully observed in the five organizations with the highest centrality and their network relationship levels with other non-social enterprise organization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sessmen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ud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in betweenness centrality depending on the types of industry, and in social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Furthermore, based on the organization size measured by the number of employe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nection(link?),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d social performances. Therefore, it was predictable that the size of organization may have an effect on networking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Second, when the level of networking was analyzed by the types of network between social enterprises, information exchang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networking, followed by intercompany transaction and interorganizational consultation; whereas, resource (human/material) exchanges and connection to market showed low levels of networking. Particularly, in other types of networking besides information exchange, the network was observed intensively among specific enterprises. Third, the organizations with superior centrality based on the types of network between social enterprises showed differences in types of contents and centrality, but the core social enterprise with a pivotal role was present. Such organizations with high centrality were actively involved in official network group in their regions and also act as members of the network. Fourth, the network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related organizations, mainly government, regional network alliance, and community affiliations, showed a considerable concentration of networking (48.9%) than between social enterprises. Fifth,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network centrality on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s; and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statistically influence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s. Therefore, the more numbers of social enterprises connected to other enterprises through the network and the closer it is to the core social enterprise in the network, it appears to generate positive effects on 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there are no studies except the case studies on social enterprise-specific networking of only successful social enterprise. However, this study gathered the preliminary data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properties of networking an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u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organizational level of network system. Second, this study analyzed to find which properties are carried by the social enterprise that plays a core role in interorganizational network, thereby providing substantive information for social enterprises with an organization-specific network to establish an efficient network exploitation strategy. Third, in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perty-oriented variables, this study added network variables and analyzed their effects on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s. The results provid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in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at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is an increased interest in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Fourth, policy directions are suggested for a sustainable social enterprise, as its operating environment is shaped by various stakeholder and its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collaborative system; and also, a practical implication on establishing strategies and process of policy decision making are proposed to prepare for a healthier ecological system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7 C. 연구의 의의 8 Ⅱ. 이론적 배경 9 A. 사회적기업의 특성 9 1. 사회적기업의 개념 및 특징 9 2. 한국 사회적기업의 현황 11 B. 조직간 네트워크 15 1. 조직간 네트워크의 개념 및 필요성 15 2. 조직간 네트워크의 특성 18 1) 구조적 특성 20 2) 관계적 특성 25 C. 네트워크와 조직성과 29 1.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29 2.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 31 3. 조직간 네트워크와 조직성과 34 4.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와 조직성과 36 Ⅲ. 연구방법 40 A. 연구모형 40 B. 연구질문 및 가설 41 C. 변수정의 및 측정 42 D.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6 E. 분석방법 49 Ⅳ. 연구결과 50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50 1. 사회적기업의 일반적 특성 50 B. 주요 변수의 특성 54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54 2. 사회적기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 평균 비교 56 C. 연구모형 분석 : 네트워크 분석 61 1.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기술 분석: 인식 관련 61 2.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기술 분석: 관계 유형 64 3.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분석 67 4. 사회적기업 -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116 D. 연구모형 분석 : 다중 회귀분석 124 1. 측정지표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124 2. 상관관계 분석 125 3.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중심성이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126 4.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중심성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128 5. 연구모형의 가설 검증 130 Ⅴ. 결론 및 제언 131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31 1.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특성 결과 요약 및 논의 132 2. 연구모형 분석 결과 요약 및 논의 137 B. 연구의 함의 140 1. 실천적 함의 140 2. 정책적 함의 144 3. 이론적 함의 146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47 참고문헌 149 부록 <설문지> 163 ABSTRACT 1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191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특성과 조직성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Networking between Social Enterprises-
dc.creator.othernameLee, Jae Hee-
dc.format.pageix, 172 p.-
dc.contributor.examiner정익중-
dc.contributor.examinerErica Yoon Kyung Auh-
dc.contributor.examiner김현수-
dc.contributor.examiner조영복-
dc.contributor.examiner조상미-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