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지역예술문화를 활용한 통합 수업 지도방안 연구

Title
지역예술문화를 활용한 통합 수업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a Teaching Guide Utilizing Regional Art Culture: Centered on Pyeongtaek-Nongak
Authors
최새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혜승
Abstract
변화의 추세 속에서 다양한 교과의 영역들을 통합하여 재구성하는 통합 교육이 교육과정에서 큰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더불어 교육과정에도 교육의 자율성과 다양성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지역화의 흐름이 생기게 되었다. 경기도 평택지역은 지역예술문화재인 ‘평택농악’이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로 지정되어 보전과 발전에 힘쓰고 있으며 2014년 11월 ‘농악’이 UNESCO 등재를 앞두고 있기에 이를 우리 교육 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와 실천이 매우 절실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평택지역예술문화재인 ‘평택농악’을 활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추세에 따라 통합과 지역화를 중심에 두고 수업지도안을 개발함으로써 ‘평택’과의 교감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본 지도안은 포가티(Fogarty)의 통합 유형 중 여러 교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학습내용들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전체를 관망할 수 있도록 하는 ‘거미줄 모형’의 통합을 선택하였다. 또한 평택지역은 대부분 초등학교 3학년 사회시간에 지역사회교과서로 ‘평택’을 배우게 되며, 음악교과서에도 ‘평택농악’과 연관이 되는 ‘풍물놀이’가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에 처음 등장하기에, 본 지도안은 ‘평택농악’을 공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최적의 시기인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각 과목별 교육과정을 살펴본 후,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6종의 ‘풍물놀이’ 부분과 3학년 사회교과서와 평택 지역교과서인 ‘우리 고장 평택시’를 선택하여 중점적으로 살핌과 동시에 다양한 교과의 영역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평택농악’을 활용한 통합수업을 총 8차시로 개발하였다. 1차시는 음악과 사회를 통합하여 학생들이 평택과 평택문화재의 이해를 통해 평택농악의 역할을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2⋅3차시에서는 예술영역(음악⋅미술⋅체육)을 통합하여 평택농악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차시는 현장체험학습을 가기 전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으로 음악과 사회,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통합하여 공연관람의 예절과 현장체험학습장소인 ‘평택농악전수관’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5⋅6⋅7차시에는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평택농악을 배우며 공연을 관람하고, 8차시는 평택농악을 활용한 편지쓰기 활동을 통해 평택을 소개하는 수업으로 연계⋅구성하였다. 수업의 효율성과 여건에 따라 차시를 묶어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고자 개별 활동과 더불어 모둠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활동지도 <개별 활동지>와 <모둠 활동지>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자유롭게 생각하고 창작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본 수업지도안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경력 5년 이상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 4명에게 설문조사 검증을 받았고, 28년 경력의 평택지역 수석교사 1명에게는 지도안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검증 내용을 종합 분석한 결과, 본 지도안은 초등학교 3학년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목표(공부할 문제)와 배움 활동, 활동지의 내용 및 구성이 적절하고, 시간배분도 적절하여 학생들에게 흥미유발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여 실제 수업현장에서 실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학년 아동의 특성과 발달수준에 비해 활동지의 용어 및 내용이 어렵다는 의견이 공통적으로 보여 이에 대한 수정⋅보완의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석교사의 지도안작성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초등학교 3학년과 경기도의 ‘배움 중심 교육’에 따른 적합한 교수용어 및 학습지도 용어를 쓸 것을 요구받았고, 각 학습단계와 학습내용에 따른 적정한 시간 배분의 수정 또한 요구받았다. 수석교사를 포함한 5명의 현직교사의 의견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한 내용을 다시 확인 받아 수업지도안을 최종 완성하였다. 이와 같이 평택지역예술문화재인 ‘평택농악’을 활용하여 지역화와 통합을 중심에 두고 수업지도안을 개발함으로써 ‘평택’과의 교감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자신의 지역을 이해하고 더 넓게는 가치 있는 지역의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삶을 통해 애향심의 마음을 갖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During the trend of transition, integrated education, the integration and reconstitution of various subject areas, has become very important. Also, a trend of localization aiming for the procurement of autonomy and d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fter being appointed as the 11th-No.2(N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85, the Gyeonggi-do Pyeongtaek area is striving for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its local art cultural asset ‘Pyeongtaek-nongak’, and with the forthcoming registration of ‘Nongak’ in UNESCO on November 2014, study and practice of utilizing this in our education has become very urgent. Therefore, this study utilizes ‘Pyeongtaek-nongak’, a Pyeongtaek local art cultural asset, to develop a teaching guide seeking to commune with ‘Pyeongtaek’ based on integration and localiza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his teaching guide is based on the ‘webbed model’ form of Fogarty’s integration types, which lets one observe the whole picture by reconstructing various learning contents centered on one subject through linking various subjects. Most of the Pyeongtaek area teaches ‘Pyeongtaek’ with the local society textbook in 3rd grade society classes. Also, ‘Pungmul-nori’, which is related to ‘Pyeongtaek nongak’, first appears in music textbooks for 3rd~4th grade students. Therefore, this teaching guide targets 3rd graders as the best timing to utilize ‘Pyeongtaek-nongak’ in public education. After looking into the curriculums of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 have selected the ‘Pungmul-nori’ section from six 3rd~4th grader level music textbooks, the 3rd level society class textbook, and ‘My home Pyeongtaek’, the Pyeongtaek area textbook. I mainly looked into these textbooks and also analyzed various subject areas at the same time. Under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I developed an 8 stage integrated teaching curriculum. The classes are connected and composed of 8 stages. In the 1st stage, I integrated music and society so that students can realize the role of Pyeongtaek-nongak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Pyeongtaek and Pyeongtaek’s cultural assets, and in the 2nd and 3rd stages, let students express Pyeongtaek-nongak by integrating areas of art (music, art, P.E.). The 4th stage is a class that can be utilized before going on a field trip. It integrates music, society, an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o that students can learn audience attitude, and the location of the ‘Pyeongtaek nongak training center’, which is the field trip site. Throughout the 5th to 7th stages, students learn and watch Pyeongtaek-nongak through field study, and the 8th stage lets them introduce Pyeongtaek by writing letters applying Pyeongtaek-nongak. I made it possible to tie and progress stages together according to the efficiency and conditions of the classes. Also,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not only personal activities but also group activities were included. Activity books were constituted of a ‘personal activity book’ and a ‘group activity book’ so that students can be the center of thought and think freely and be creative. To test the validity of this teaching guide, I received survey verification from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and also received a feedback about the teaching guide from the Pyeongtaek area head teacher who has 2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fter putting together and analyzing the verification materials, results showed that this study guide was made up of suitable materials for 3rd graders, has proper learning goals (questions to study)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hat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activity book and time distribution is appropriate. This meant that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s possible by inducing interest and is usable in real classroom situations. However, the feedbacks mentioning that the contents and words used in the activity books were too complicate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stage of 3rd grade students showed that modification and improvements were needed in this area. Also, from the feedback from the head teacher, I received demand to use teaching and learning terms appropriate for 3rd grade students and Gyeonggi-do’s ‘learning centered education’, and to modify the proper time distribution for each learning stage and content. I completed the final teaching guide after confirming with the 5 teachers, including the head teacher, about the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regarding the recommendations. By developing a teaching guide keeping localization and integration in the center through the utilization ‘Pyeongtaek nongak’, I tried to pursue commune with ‘Pyeongtaek’. My purpose was to let student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gions, and furthermore, to let them develop local patriotism through the enjoyment of local cultural a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