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음악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정서발달서비스의 운영실태 및 만족도 연구

Title
음악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정서발달서비스의 운영실태 및 만족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peration condition and satisfaction on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 through music education program
Authors
전보람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중 아동정서발달서비스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수강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서비스의 보다 질적인 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 중 아동정서발달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지역별, 전국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정서발달서비스 프로그램의 수강생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성별, 학년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 중 아동정서발달서비스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초등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설문지에 참여한 학생의 수는 총 250명이며, 이 중에서 200명의 응답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였고 본 검사는 약 5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설문지는 연령, 성별, 수강 기간, 수강 횟수, 수업 시간, 수업명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과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 프로그램의 장점, 음악에 대한 가치관, 발전여부를 묻는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에 대한 문항, 그리고 프로그램 구성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추천도, 기타 의견을 묻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만족도는 2012년 9월 학교예술교육관련 전문가 3인(교육과학기술부 학교예술교육센터 소속교수 2인과 사업담당자 1인)에 의해 1차 개발된 문항을 바탕으로 연구된 선행연구(정현주 외,2013)를 적용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이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서비스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다.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 문항은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본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를 검증한 Cronbach's α 계수는 0.86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정서발달서비스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 결과 전국의 아동정서발달서비스는 17개의 자치구 중 울산광역시를 제외한 16개의 시·도·광역시에서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수강생은 총 17654명이었고, 지역별로 아동정서발달서비스의 수강생 비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서울특별시가 19.4%로 가장 높은 수강생 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정서발달서비스를 수강하는 아동들의 수강 실태와 만족도 조사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정서발달서비스 수강 아동들은 대체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수강 아동들의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프로그램의 구성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추천도 네 가지 영역 중 모든 영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재, 학년에 따른 수강 아동들의 만족도에 있어서 프로그램 구성 만족도, 흥미도, 추천도 영역에서는 1학년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참여도 영역에서의 학년별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아동정서발달서비스 수강 아동의 만족도가 높음을 입증하는 것이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정서발달서비스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 내에서 더욱 활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공헌될 것이며, 사회복지적으로 음악교육 영역의 발전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더욱 더 양질의 아동정서발달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밑거름이 생성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peration condition on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program of Social Service E-Voucher and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program attendees to find out the improvement point to qualitatively enhance the service. In order to carry out this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how th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of the domestic Social Service E-Voucher system is being carried out and analyzed by regional groups and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program attendees,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grade level were also investigated.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consisted of the elementary children attending th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program of Social Service E-Voucher.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as 250 and the conclusion was drawn from the response of 200 children and the inspection went on for about 5 weeks. The questionnaire used as research tool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period of attendance, number of attendance, class time, and class title, and other questions such as opinion on the program, strength of the program, values on music,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interest, participa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overall composition of program. The satisfaction on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precedent study (Joo Jeong Hyeon et al, 2013) which was researched based on the question primarily developed in September 2012 by three experts (two affiliated professor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School Art Education center, and one person in charge) related in School Art Education. Thus using this inspecting tool the service satisfaction can be determined. The questions consisted of 25 entries and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nalysis of frequency, credibility, t-test, one-way ANOVA, test by post-hoc comparison were carried out for data analysis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ronbach’s a factor verifying the credibility turned out to be 0.865. To sum up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operational condition of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the service was executed in 16 metropolitan cities out of 17 autonomous regions, excluding Ulsan. The attendees utilizing the service was a total of 17654 children and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ttendees’ ratio of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by regions showed that Seoul had the highest rate of 19.4% within the attendees’ ratio.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vestigated on the operation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children attending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was as follows: First, children attending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Second, from the result of children’s satisfaction following their gender showed that out of the four components of the program, satisfaction, interest, participation, and recommendation, boys had higher satisfaction for all the areas. Third, from the result of children’s satisfaction following their grade level showed that out of the same four components of the program, first grade children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within the area of ‘participation’ there were not much difference in the grade level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verifies that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attending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is high and tha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ir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s. Through this result, th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will actively take place within the Social Service E-Voucher system.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ult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education realm in social welfare and will hopefully be the beginning foundation of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more qualitative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erv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