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근주-
dc.contributor.author이윤경-
dc.creator이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4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6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4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관악합주 활동이 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여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해 냄으로써 관악합주 활동이 갖는 교육적 의의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악합주 활동을 하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과 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고등학교 학생 간의 스트레스와 사회성을 비교하였으며, 관악합주 활동 기간과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와 사회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수는 총 190명이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스트레스 설문지 총 36문항, 사회성 설문지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악합주 활동 학생집단의 스트레스 수준이 비활동 학생집단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부모, 학업, 친구, 교사 및 학교생활과 관련된 스트레스 영역에서 관악합주 활동 집단의 스트레스 감소 현상이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관악합주 활동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관악합주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 집단의 사회성 수준은 비활동 학생 집단에 비해 사회성 수준이 높았고, 각 하위 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관악합주 활동은 학생들의 사회성 수준을 제고하는데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스트레스 및 사회성 수준의 상대적 긍정 효과를 나타낸 관악합주 활동 집단 내에서도 활동기간에 따라 스트레스와 사회성의 강도가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관악합주 활동을 하는 학생들이라 할지라도 활동기간이 긴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기간이 짧은 학생들에 비해 낮았고, 사회성 수준은 높아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악합주 활동 집단의 스트레스와 사회성 수준은 학년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보다 관악합주 활동 경력이 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관악합주 활동을 하고 있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은 비활동 학생에 비해 낮았고, 사회성 수준은 보다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활동기간에 따른 스트레스와 사회성 수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하지만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트레스 영역 중 가정환경관련 스트레스의 경우 활동 집단과 비활동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는 점에서, 관련 이슈에 대한 후속적인 관찰은 더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음악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학교에서는 보다 많은 관악합주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ducational significance of wind ensemble activity by deducting positiv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survey on the influence of wind ensemble activity on stress and sociality of a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stress and sociality between a high school student who is doing wind ensemble activity a high school student who doesn't, and analyze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and sociality consequent on wind ensemble activity and a school year. A total of 19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research tools are composed of a stress questionnaire including 36 questions in all, and sociality questionnaire including 31 questions in all. The research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ess level of the wind ensemble activity student group was low on an average in comparison with the non-activity student group. Particularly, in the stress area related parents, schoolwork, friends, teacher and school life, the stress decrease phenomen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noticeable.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wind ensemble activ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duction in general stress level of the relevant students . Second, the sociality level of the student group involved in wind ensemble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sociality level than that of the non-activity student group, and even in individual subordinate are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learly confirmed. Accordingly, wind ensemble activity is thought to have an a significant(meaningful) influence on improvement in students' sociality level.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tensity of stress and sociality varied according to the activity period even in the wind ensemble activity group who showed a relative affirmation effect of the stress and sociality level.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students who did wind ensemble activity, the stress level of the students, whose activity period was long,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se activity period was short, and such a resul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stress & sociality level of the wind ensemble activity group was analyzed to have no differences in a school year.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wind ensemble activity career is a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a school year. Overall, the stress level of the high school student who was doing wind ensemble activity was proved lower in comparison with the non-activity student while the level of social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 involved in wind ensemble activity was proved higher than the non-activity student. In addition, the level of stress & sociality consequent on the activity period was also prov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sequent on a school year. Particularly, in case of stress related to family environment among the stress area, this study thinks that it might be more necessary to do follow-up observation of the related issue in that the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y group and non-activity group. On the basis of such results, this study hopes that school authorities should make effort to get students to perceiv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and to induce students to aggressively participate in wind ensemble ac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3 C. 선행 연구 4 Ⅱ. 이론적 배경 6 A. 관악합주 활동의 고찰 6 B. 스트레스 10 C. 사회성 15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연구설계 21 C. 연구절차 21 D. 연구도구 23 E. 자료처리 및 분석절차 25 Ⅳ. 연구결과 26 A. 기술통계 분석 26 B. 관악합주 활동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와 사회성의 차이 28 C. 관악합주 활동 기간에 따른 차이 32 D. 관악합주 활동 학년에 따른 차이 36 Ⅴ.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4 부록 51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49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관악합주 활동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fluence of Wind Ensemble Activity on Stress & Sociality of a Vocation Hight School Student-
dc.creator.othernameLee, Yun Kyung-
dc.format.pageviii, 60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조경선-
dc.contributor.examiner장근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