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유미-
dc.contributor.author노은영-
dc.creator노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5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5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584-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산업 사회는 빠르게 융 복합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서로 다른 분야를 유기적으로 접목하는 기술인 융합기술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맞물려 이미 IT산업의 핵심 키워드가 되었으며, 이러한 융합기술 중 하나인 의료분야와 IT기술의 결합은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 및 인구의 증가로 인해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삼성경제연구소(2013)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선진국 소비자들의 건강중시 성향과 급격한 노령화 현상은 의료 및 보건에 대한 지출 비중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급격하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 중임을 생각해 볼 때 앞으로 의료 및 보건분야의 발달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의료분야와 스마트 폰의 결합은 의료용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시장을 창출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접점인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GUI디자인은 정보를 시각화하는 것으로써 인간의 시지각과 관련이 깊으며, 시지각은 이미 다수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인간의 심리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고려한 의료용 어플리케이션 GUI디자인의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 녀 1,000명 중 전체 응답자의 75.8%가 일상적으로 불안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것으로 조사된 선행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연구의 심리상태 요건을 ‘불안’으로 선정하였다. 시지각과 심리상태 관련 선행연구들이 스트레스, 우울, ADHD, 학습장애 등의 정서적, 심리적 상태를 요건으로 하여 미술치료와 인지치료 분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치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연구의 범위가 주로 콘텐츠와 부분적 시각요소로 국한되어 있어 GUI디자인 전반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미흡한 것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GUI디자인 전반의 구성요소를 대상으로 하며, 각각의 요소들이 전체적으로 구성되었을 시에도 정보인지에 효과적일 수 있는 디자인전략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불안심리상태 사용자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심리상태의 사용자까지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GUI디자인의 기초를 잡는 것이 연구의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문헌연구를 통해 GUI디자인 및 시지각, 불안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실시하여 연구의 이해도를 높였으며, 조사대상자의 불안 측정을 위한 STAI-1검사와 GUI디자인 구성요소 별 선호도조사를 통해 불안심리상태의 사용자가 선호한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테스트용 GUI화면을 제작하였으며, 시각화 될 콘텐츠와 Use Flow는 이화여자대학교 global Top5 연구결과(2013년)인 ‘NCCP(비심인성 흉통)인지교육/치료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IA설계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STAI-1검사결과를 바탕으로 불안심리상태집단과 비 불안심리상태집단을 구분하여 두 집단에게 테스트용 GUI디자인 화면으로 사용경험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두 집단 모두 전체적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긍정적인 사용경험을 나타내어 본 연구의 GUI디자인 구성요소가 효과적으로 표현되고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눈에 띄는 결과로 GUI디자인 설계기준 중 ‘이해도’의 ‘적합한 정보제시’와‘사고자의 사고에 대응’, 그리고 GUI디자인 고려사항 중‘정보의 가시화’의 ‘간결성’, 마지막으로 아이콘의‘이해의 용이함’에서 불안심리집단이 비 불안심리상태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인 점은 본 연구의 GUI디자인의 표현과 설계가 불안심리상태집단에게 효율적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GUI의 구성요소들이 사용자가 이미 지니고 있던 사고와 지식, 경험과 최대한 부합되도록 쉽고 간결하게 표현되어, 사용자가 인지적 자원을 덜 투입하고도 쉽게 정보인지를 가능케 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어 유의미하다 하겠다. 사용경험평가의 마지막으로 추후 상용화 되었을 시, 사용의사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불안심리상태집단과 비 불안심리상태집단 대부분이 사용의사가 있다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로 GUI디자인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보아 GUI디자인의 구성요소가 사용의사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경험평가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의료용 GUI디자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구성요소에서 레이아웃은 안정감을 주는 상측형 레이아웃 활용을 제안하며, 시각적 아이콘은 시각적 유희를 통해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색상은 인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초록색, 파란색, 남색 계열을 사용하며, 텍스트는 정보전달 표현에는 고딕체, 감정 및 말하기 표현에는 손글씨체를 사용하고, 구어체의 편안한 문장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배경은 패턴과 자극적인 색상을 자제하며, 이미지는 신뢰감을 극대화 시키는 실제 사진 또는 실제와 흡사한 캐릭터를 활용하도록 한다. 둘째, 기능적 구성요소에서 아이콘은 단어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경우 직접적 아이콘을 사용하며, 직접적 표현이 어려우며 다중의 의미를 표현해야 할 경우 인지적 아이콘의 사용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메뉴는 아이콘과 텍스트를 결합한 복합형의 사용을 제안하는데, 이는 텍스트가 인지에 효과적이며 아이콘은 의미파악의 검출시간을 단축시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여 정보인지에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고려한 GUI디자인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후속 연구 또한 꾸준히 이어져 다양한 요인의 심리상태 사용자 모두를 고려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The current industrial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n age of convergence. The convergence technology to organically graft different fields is already the core keyword for the IT industry in concert with the demand of customers who have constantly longed for new things. The integration of medicine and IT technology, one of the convergence technology, is rapidly growing by the change into an aging society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consumers in advanced countries value their health because of the global aging and others factors, and it causes the great increase of medical and health expenditures. Though Korea is also rapidly entering into the aging society,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health care is predicted to be accelerated. According to this social changes, the combination of medicine and smart phone is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market in the medical application industry. However, the study on GUI(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is insignificant even though it is the first thing the users should meet. GUI design is a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nd closely related with human visual perception. The visual perception is known to be influenced by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based on many precedent studies. This is the reason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 design strategy for medical applications to consider the mental condition of users. The ‘anxiety’ is selected as the requisite for mental condition in this study based on a precedent study showed that 75.8% of 1,000 male and female respondents felt anxiety in their everyday life. The precedent studies about visual perception and mental condition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for art therapy and cognitive treatment wi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stress, depression, ADHD, and learning disability as the requirements. The studies on the application for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therapy are also increasing lately; however, they are limited to contents and visual details. In other words, the study on GUI design is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suggests a design strategy effective for information realization when each components of GUI design are generally organized. Also, it establishes the foundation of GUI design to be applied to users with various mental conditions as well as users with unstable mental condition. Before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of this study is improved by the overall consideration for visual perception, GUI design, and anxiety based on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favorite requirements of users with anxiety by STAI-1 for measuring the anx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preference survey for each components of GUI design. The test screen for GUI is created based on the result, and the visualized content and the Use Flow is the result of reconstructing the IA design from one of the Ewha Global Top 5 Projects,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for cognitive education/treatment of NCCP’ in 2013. Based on the result of STAI-1, the study separates the group with anxiety and the group without anxiety, and both groups perform the user experience assessment for the test screen of GUI design.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wo groups, but both groups show certain level of affirmative responses. In other words, the components of GUI design in this study are effectively expressed and designed. There is another noticeable result; the group with anxiety shows higher ‘response to the idea of thinker’, one of the details of understanding, one of the design standard of GUI design, and ‘brevity’, one of the detail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one of the considerations for GUI design than the group without anxiety. In other words, the expression and design in this study more affective to the group with anxiety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GUI. This result is relevant to suggest that the components of GUI are easily and simply expressed to accord with idea, knowledge, and experience of users and lead users to easily recognize information with less cognitive resources. The final part of user experience assessment is the intention to use of participants for future commercialization. Most of participants from both groups answer to use it and show affirmative response to GUI design; therefore, the components of GUI design are considered to positively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of participants. The medical GUI design strategies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assess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layout should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to provide stability for visual components, and the emotion should be expressed by visual amusement for visual icon. It is necessary to use green, blue, and navy for affective recognition. The gothic font is good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handwriting fonts are good for speaking contents. The colloquial style should be properly utilized for making comfortable sentences. The use of patterns and stimulating colors are better to be refrained. It is necessary to use actual images or characters similar to actual people for maximizing the confidence. Second, for icon of functional components, the direct icon should be utilized when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direct meaning of a word, and the cognitive icon should be utilized when the direct expression becomes useless for multiple meanings. Last, it is necessary to use a compound menu with both icons and texts to increase the information recognition; the text is affective to recognition and the icon plays a supportive role to decrease the time to understand mean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he systematic GUI design to consider the mental condition of users, the continuous future researches, and the consideration for users with various mental condi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목적 1 B. 연구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불안심리상태와 비심인성 흉통(NCCP) 4 B. 시지각 6 C. GUI디자인 9 D. 의료용 어플리케이션 15 Ⅲ. 실증연구 26 A. 연구기간 및 조사대상 26 B. 연구문제 정의 26 C. 조사범위 및 실험설계 26 D. 조사결과 36 Ⅳ. GUI디자인 모형화 48 A. 테스트용 GUI디자인 전략 및 설계 48 B. 테스트용 GUI디자인 모형화 49 C. 대조군 사용경험평가 55 D. 대조군 사용경험평가 결과 60 E. GUI디자인 전략제안 65 Ⅴ.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575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의료용 어플리케이션 GUI디자인 전략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불안심리상태 사용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Medical applications GUI design strategy research : Focused on user with anxiety-
dc.creator.othernameNoh, Eun Young-
dc.format.pageix, 81 p.-
dc.contributor.examiner최종훈-
dc.contributor.examiner전성진-
dc.contributor.examiner강민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