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정아-
dc.contributor.author맹지은-
dc.creator맹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5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5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557-
dc.description.abstract과거-현재를 비추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디자인 가치관에 대한 고민은 장소성의 이해와 에코뮤지엄 계획이라는 논제에서 그 실마리의 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장소성은 환경 계획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근본적인 개념으로서, 파괴적 개발 지향 논리로 인한 장소 상실의 실패를 인식한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장소는 정적인 공간 차원의 물리적 장치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 속에서 관계지어지는 인간의 활동과 정신적인 상징의 축적을 포함하여 이해된다. 그리고 장소의 각 요소들 간의 상호 관계성에 의해서 장소성이 형성된다. 장소성은 단순히 심리적인 느낌이 아니라 인간과 대상간의 밀접한 경험 현상이고 인간과 소환경의 내밀한 관계이므로 장소성에 대한 접근은 생활환경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장소성을 강화하는 디자인의 실현은 인간과 관계하는 유․무형적인 컨텍스트의 분석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장소성 강화를 위한 환경 계획⋅설계 과정에서는 거주자(주민)와 환경 사이에서 이루어진 생활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동반해야 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거주자 및 이용자의 행태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와 물리적 환경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에코뮤지엄은 장소의 보존과 지속적인 발전에 관한 현대 사회의 패러다임 속에서 등장한 뉴 뮤지엄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의 박물관은 공공성과 문화 교육적인 측면이 점차 강조되며 발전해왔고, 경험을 공유하고 의식하는 장소로서의 역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서 앞으로의 박물관은 박제화된 역사의 나열이 아니라, 체험과 공감을 통해 친근한 장소로 그 역할이 확대될 것이다. 현대화된 뮤지엄 개념으로서 에코뮤지엄은 일정 영역의 생활 장소를 기반으로 설립되고 인간의 생활과 관계 맺는 자연,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총체적인 환경계에 관심을 기울인다. 에코뮤지엄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지역사회의 거주민들이 주체적으로 정체성을 찾고 과거를 비추어 미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들 스스로 생활 터전의 가치를 깨닫고 장소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를 갖는 것이 곧 지속 가능한 삶으로 나아가는 길이기 때문일 것이다. 수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장소성 개념은 근본적인 모호성 때문에 그 연구가 이론적인 영역에서 머물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연구자는 보다 적극적인 장소성 연구의 제시로써, 장소성 이론에 의거하여 에코뮤지엄이 갖는 발전적인 정체성 강화 요구에 대한 디자인 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현대 사회의 가치 변화 양상에 따라 발전하고 있는 에코뮤지엄 계획 과정에서 장소성 강화의 목적을 중점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환경 계획․설계 분야에서 장소성에 관한 연구가 보다 적극적이고 가시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하여 진행한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첫째, 선행 연구의 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지리학 분야의 장소성 개념과 발전적 뮤지엄 형태로서 에코뮤지엄 개념 간의 연계성을 인식한다. 둘째, 기존 장소들의 사례 분석 과정을 통해서 쉽게 잃어서는 안 되는 소중한 장소의 지속적인 활성화 방안의 한 가지 논의로써 장소성 강화가 고려된 에코뮤지엄 계획의 적합성을 고찰한다. 셋째, 에코뮤지엄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지역 고유의 아우라, 즉 장소의 혼을 가시화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장소성 개념이 적극적으로 고려된 디자인 모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인식하여 지속적인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한다.;In the light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concerns of design value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s able to get resolved by finding a part of clue in issues of the Sense of place and Ecomuseum design. The Placeness is able to be contemplated as fundamental concept in environmental planing process. Its significance is more emphasized in modern society where it is recognized the failure of placelessness due to destructive development. Place indicates the physical device of static space dimension as well as the human activity to be made in the passage of time and the accumulation of psychological symbol. And the placeness form by interaction relationship among each element in the place. It is a phenomenon of experience that the placeness not only just presents a psychological feeling but also the closely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n object. Also, approaching to the placeness should be based on general understanding for a life environment because human is closely related to setting.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design to enhance the placeness would be possible through the analysis of intangible and tangible context in which is related to humans. In the other word, the planning process and environment plan for improvement on the placeness should be understand for history of life in which is made between residents and lo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should be holistically approached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ctive considered for residents and user behavior. Meanwhile, ecomuseum can means New-museum in paradigm of contemporary society regarding the placeness’s conservation and place’s sustainable development. Modern museum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nd developed in public service and cultural and educational side and has been changing into roles of place to consider and to share experience. Thus, the museum is not just shown standardized history with these flow, but the roles of museum would be expanded as the friendly place where museum has existence of the history through the experience and sympathy in the future. Ecomuseum as concept of modernized museum focuses on total ecology including nature, society, culture that those is related to human living place.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ecomuseum’s operation intends for the residents of the community to spontaneously find the identity and to contribute the development for future with the past. The reason is because residents know that they realize the value of site of living by themselves and have main to keep the place’s identity can proceed to way sustainable life. The study for the sense of place is in theoretical stages because of the sense of place’s fundamental ambiguity though numberous debate. Therefore researcher intensely make the study direction of design about identity strengthening requirement to seek ecomuseum based on the placeness’s theory in geography field. The improvement on placeness’s aim is intensively studied into developing ecomuseum project process according to value change aspect of contemporary society. The object of study is for the placeness’s study to progress toward the more active and visible direction in environment planing․designing field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mmarize the contents of the study with this backgroun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appreciated connectivity between concept of ecomuseum as expansive museum form and concept of the placeness in geography field by means of pervious study. Second, the researcher thought about the suitability of ecomuseum plan considered the placeness’s improvement with continuous activation plan of valuable place where it should not be easily lose by analyzing pervious place’s case. Third,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design model that is actively considered concept of the placeness in order that indigenous aura, that is to say “genius loci” could be shared and visualized in ecomuseum design process Finall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realize the study’s meaning and limitations and to keep th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C. 연구의 구성도 3 Ⅱ. 장소성과 에코뮤지엄의 이론적 고찰 4 A. 장소성 개념과 현대적 논의 4 1. 공간과 장소 4 2. 장소성의 개념 9 3. 장소성의 구성 요소 13 4. 장소성 개념의 현대적 의의 14 B. 에코뮤지엄 개념과 현대적 논의 16 1. 에코뮤지엄의 등장 배경과 개념 16 2. 에코뮤지엄의 전개 발전 19 3. 에코뮤지엄 구조의 특성 25 4. 에코뮤지엄 개념의 현대적 의의와 장소성 강화 논의 29 Ⅲ. 장소성을 강화하는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33 A. 푸르미 에코뮤지엄 34 B. 피에 몽드 에코뮤지엄 36 C. 부아 뒤 뤽 에코뮤지엄 39 D. 사례 분석의 종합 41 Ⅳ. 에코뮤지엄 디자인 모형 연구 43 A. 디자인 개요 43 B. 대상지 선정 및 분석 43 1. 대상지의 개요 43 2. 대상지 분석 45 3. 대상지 분석의 종합 54 C. 디자인 전개 56 1. 디자인 개념 56 2. 공간 프로그래밍 57 3. 디자인 개념의 적용 60 D. 디자인 최종안 76 1. 최종 도면 76 2. 평면도 78 3. 상설 전시 동선도 81 4. 천정 조명도 82 5. 입면도 84 6. 투시도 95 7. 최종 모형 104 8. 최종 보드 108 E. 디자인 종합 109 Ⅴ. 결론 및 제언 110 참고문헌 112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526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장소성 강화를 위한 에코뮤지엄 디자인 모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comuseum Design for the Improvement on Placeness-
dc.creator.othernameMaeng, Ji Eun-
dc.format.pageix, 116 p.-
dc.contributor.examiner김연경-
dc.contributor.examiner박홍준-
dc.contributor.examiner유연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