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현대음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 연구

Title
현대음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on Contemporary Music
Authors
정연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예비교사의 경험과 지식수준은 학교현장에서 실제수업에 직결되기 때문에, 미래에 교사가 될 예비음악교사의 현대음악 교수에 대한 전문성과 자신감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교육의 질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현대음악의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 결과 현대음악과 관련한 예비음악교사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현대음악을 교육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살펴보고, 교원양성과정에서 현대음악 교육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 수준을 파악하고 두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음악 교원양성과정에서의 현대음악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예비교사들의 인식의 변화를 통해 음악 수업시간에서 현대음악에 대한 교육이 더 나은 방향으로 성장해 나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대학교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65명으로 설문지 구성은 크게 일반적 특성, 교수내용지식(PCK), 교수효능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박성혜(2003)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검사 도구를 현대음악 문항으로 예비음악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방은영, 박찬옥(2005)의 음악교수효능감 검사 도구를 바탕으로 이를 현대음악 문항으로 예비음악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문항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음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은 하위영역별로 현대음악 교수-학습에 영향을 주는 내적 환경상황에 관한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대음악 교육과정의 구성과 실행에 대한 지식과 현대음악을 가르칠 때 합당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현대음악에 대한 교수효능감 수준은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보다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현대음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 수준은 예비교사들의 전공과 현대음악 관련 강의 수강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작곡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대음악 관련 강의 수강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 보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나머지 일반적 특성(학부/대학원 소속, 성별, 현대음악 강의 미수강 이유)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현대음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나 교수내용지식(PCK) 수준이 높은 예비교사일수록 교수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대음악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은 교수효능감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등과정 음악교사 양성과정에서 현대음악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수법에 대한 학습을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뒷받침해 주며, 예비음악교사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교수능력을 향상시켜준다면 자신감 증진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현대음악 교수 활동을 실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현대음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수준에 관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등음악 교원양성과정에서 현대음악에 대한 교육이 보다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스스로가 자신들의 현대음악 교육에 대한 역량과 전문성을 파악하고, 현대음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in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and teaching-learning quality of music teachers.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 in teacher training process are important, since the experience and level of knowledge of prospective teachers affect actual classes in school site. Despite the educational value of contemporary music, no research regarding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in relation to contemporary music was found after literature review; especially, there was no article found that studied prospective music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on contemporary music and look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We further aim to let prospective music teachers realize confidence level on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activity regarding contemporary music, and t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in process of teacher training for secondary education. Subjects for this research are 265 prospective teachers who attend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The questionnaire largely consists of three sections: general characteris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To measur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on contemporary music, I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inspection tool of science department’s pedagogic knowledge by Seong-hye Park(2003) based on Tuan(2000)’s SPOTK to suit prospective teachers with contemporary music questions. Additionally, science teaching efficacy inspection tool STEBI created by Riggs and Enochs(1990) was adapted and modified by Hyeong-sook Jo(1998), which is later reconstituted by Eun-yeong Bang and Chan-ok Park(2005) based on music teaching efficacy inspection tool MTEBI, and I furt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this to better suit prospective music teachers with contemporary music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edi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to analyze the outcom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descriptive statistic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showed numerical value of 3.16, which was average level. For each sub factor, environmental situational knowledge had the highest numerical value of 3.86, and curriculum knowledge and pedagogics knowledge each displayed 2.74 and 2.95,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factor of teaching efficacy, general teaching efficacy showed numerical value of 3.19, and sub factors showed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2.82, expectancy for the result as 3.56, respectively. Secondl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on contemporary music demonstrat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ajor field and experience of course enrollment regarding contemporary music for prospective teachers (p<.001), and each sub s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ose who majored in composition showed the highes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and prospective teachers who have an experience of taking contemporary music courses showed high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than those who don’t.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affiliation of undergraduate/graduate schools, gender, reasons of not taking contemporary music courses), however, did not induce any difference. Thirdly, it was shown through static correlation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for secondary education on contemporary music (p<.001) that prospective teachers who have high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demonstrate higher teaching efficacy. This outcome led us to find tha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ffects teaching efficacy in significant level. While demonstr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prospectiv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depending on their major and whether they have taken contemporary music courses, prospective teachers who majored in western music, especially composition major who frequently faced contemporary music, and those who have an experience of taking contemporary music courses displayed higher level. The research result can be used as an index regarding the current level of professionalism of prospective teachers regarding contemporary music. This outcome brings forward the necessity to actively execute education on contemporary music in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for secondary education. Moreover, we expect this will give the opportunity for prospective teachers to recognize their own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for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and to acknowledge the significance for constant interest and learning regarding contemporary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