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참여 실태 및 만족도 조사연구

Title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참여 실태 및 만족도 조사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Students’ Attendance for After School Music Programs and their Satisfaction in Incheon City
Authors
장나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dThis thesis focuses on students’ attendance and their satisfaction regarding after school music programs in Incheon City. I will investigate the drawbacks of current programs, and will seek for ways to improve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s. For the corresponding research, 233 students from 9 middle schools in Incheon had participated. I have referenced research tools from numerous published papers. Educational aptitude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rom research held by Hwang Myung Won(2014), Kim Ji Hye(2012), Yoon Ae Ji(2012), Ma Sung Suk(2009), Park Eun Suk(2008), Moon Woo Ri(2011), and Lee Seung Mi(2010). Moreover, preparator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verify whether the referenced research tools, mentioned above, can be adequately adapted to this specific issue. The questionnaires are composed of 4 parts : biographical data, attendance rate, satisfac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SSP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program to compute frequency distributions and statistical analysis. After conducting research with regard to the procedures stated above, the outcome of our investigation is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from the program than male students. This can be deduced from attendance rates of after-school music programs among male students (61) and female students (142). Lesson hours of the music programs were 1.5 hours to 2 hours, while the number of attendees was above 24 students. The duration of the students’ attendance was below 3 months. Hence, it seemed difficult for students to successfully interact with the teachers, since music programs were short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was excessively high. Music programs in general require long hours for students to investigate their musical talents, and thus, they would need individual tutorials from music teachers. Therefore, switching music programs or replacing music teachers every quarter is not recommended, and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motivate by themselves through education in the long run. Second,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chose music programs because they liked music itself. Since their participation to music programs were linked with their internal interest in listening to music, they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music programs, and so they showed more progress in their music skills. Hence, it shows that students prefer programs with more interest, and thus we would need to develop music programs that would return positive feedback for their academic results as well. Third, students preferred music programs related to K-Pop to classical music or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most programs did not reflect students’ appetite in music, and what is worse, many students did not even know the existence of the after-school music programs. It shows that most programs were focused on classical music, which, in most cases, was operated in a very perfunctory purpose with not sufficient advertisements. In order to achieve efficient announcements to students, more method should be devoted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participants, and facilities should also be developed to attract more students and to draw more attention from students. I expect after-school music programs to ope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take a leading role in suggesting new efficient education methods.; 본 연구는 인천 소재 중학교 방과 후 학교 음악 프로그램의 참여 실태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인천 소재 중학교 9개교의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 수강자 20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황명원(2014), 김지혜(2012), 윤애지(2012), 마성숙(2009), 박은숙(2008), 문우리(2011), 이승미(2010)의 특기·적성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통합·재구성한 후, 전문가 집단과 예비 설문지를 통해서 타당도를 검증 받은 후에 사용하였다. 설문지 항목 구성은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인적사항,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 참여현황과 인식 및 만족도, 개선방향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 방법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프로그램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자 총 203명 중 남학생이 61명, 여학생이 142명으로 방과 후 학교 음악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성별 비율이 여학생이 월등히 높았으며, 수업 시간은 1시간반∼2시간, 수업 인원은 24명 이상, 참여기간은 3개월 이하로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설문들을 살펴본 결과 현재 음악프로그램의 참여도와 선호도는 여학생들이 더 높은 것이 나타났고, 많은 수업 인원과 적은 수업 시간으로 효율적이지 못한 운영과 프로그램이 장기간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기대하는 수업을 하기에는 부족한 결과가 나타난다. 음악프로그램 활동은 단기간에 이루어 질 수 없고 자신만의 음악적 특기가 어느 수준의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이루어져야하며 맞춤 레슨의 질 높은 수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분기별 프로그램 변경이나 전문 강사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여 장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음악프로그램의 인식 및 만족도를 살펴보면 학생들이 음악프로그램을 선택한 이유는 113명의 응답률로 음악을 좋아하기 때문에 선택한 이유가 과반수 이상이었다. 이들은 자신의 흥미와 관련해서 참여하므로 음악 자체를 좋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매우 만족하고 있었으며, 음악 활동을 통해서 실력 향상에 도움을 받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흥미 있는 프로그램을 선호하면서도 정규 음악 수업과 관련하여 학업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악 프로그램을 필요하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학생들은 클래식과 국악보다는 대중음악(가요)을 배우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음악프로그램들은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며, 음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도 모르는 학생들이 많았다. 그만큼 수요자들을 생각하지 않고 형식적으로 운영되며, 적극적으로 홍보가 되지 않은 것이 나타난다. 효과적이고 활성화된 음악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가정통신문, 방송시설 활용, 학교홈페이지, 학교신문 및 지역신문, 홍보용 소책자, 홍보용 판넬 게시 및 리플릿 제작 등을 통한 홍보와 수요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다양한 장르의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선택권을 넓혀야 할 것이며, 수업이 이루어지는 시설 및 환경, 악기 문제를 재정적 지원을 통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과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이 단순한 특기·적성 계발 교육에서 벗어나 올바른 인성과 창의적 신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의미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 연구 결과가 인천시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새로운 교육효과와 방법들을 제시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