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조선 후기 산수화의 연거(燕居) 이미지

Title
조선 후기 산수화의 연거(燕居) 이미지
Other Titles
Leisurely Life Images in Late Joseon Period Landscape Paintings
Authors
오혜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조선(朝鮮, 1392-1910) 후기 산수화에는 정형화된 이미지들이 반복적으로 여러 작품에서 주제나 내용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그러한 이미지들 중 연거(燕居)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양식적·도상적 연원과 전개를 살펴보고, 그 편재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미체계를 구성해 보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연거 이미지란 산수를 배경으로 주거 공간 내부에서 여가 생활을 하고 있는 문인의 일상적인 모습을 가리킨다. 이때 인물의 연거 행위로는 관경(觀景), 복안(伏案), 독서(讀書), 완상(玩賞), 객담(客談), 작서(화)(作書(畫)), 음주(다)(飮酒(茶)), 한면(閑眠), 호동(呼童), 탄금(彈琴), 대기(對棋) 등 11가지의 유형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도상요소들이 남종문인화풍(南宗文人畫風)의 간일한 필체로 이루어진 양식요소와 결합되어 이미지를 이룬다. 이미지들이 정형화되어있음에도 다양한 작품 속에서 여러 가지 의미작용을 하는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여기에 관여되는 이미지의 연원, 화보(畫譜)를 통한 이미지의 전래 과정, 이미지의 유형과 그것이 나타난 작품의 유형을 분석한 후 각 요소들의 관계를 의미체계의 일부로 이해하려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기호학·의미론·언어학이 확립시킨 의미체계나 구조에 대한 연구 성과를 일부 활용하여 논지를 진행시켰다.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도상요소와 양식요소는 중국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연거 행위 유형, 즉 도상요소는 남송(南宋, 1127-1279)대에 대부분 출현하지만, 양식요소의 경우 원(元, 1271-1368)대의 문인화풍과 명(明, 1368-1644)대 초·중기 오문화풍(吳文畫風)을 거쳐 명 말의 남종문인화풍의 영향 하에 간일한 필체가 정착하게 된다. 특히 남종문인화의 사회전반에서의 유행과 방고주의(倣古主義) 전통 의 영향으로 명(明, 1368-1644)대 후기에는 조선 후기와 매우 비슷하게 정형화된 연거 이미지가 다양한 작품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이렇게 정착된 연거 이미지는 명 말에서 청(淸, 1636-1912) 초기에 발전하였던 화보에 수록되었는데, 주로 세 가지 유형의 화보에서 발견된다. 첫 번째로 『고씨화보(顧氏畫譜)』와 같이 유명화가의 작풍을 모은 명화선집류(名畫選集類) 화보에서 연거 이미지는 수록된 작품 속의 구성요소로 등장한다. 두 번째로 『시여화보(詩餘畫譜)』나 『당시화보(唐詩畫譜)』와 같이 시를 도해한 삽화를 엮은 시화집류(詩畫集類) 화보는 다양한 연거 이미지와 관련된 도상요소들을 수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개자원화전(芥子園畫傳)』과 같이 이미지를 특정 단위로 분절해서 분류한 이미지어휘 사전인 도안사전류(圖案事典類) 화보는 연거 이미지에 활용될 수 있는 여러 인물상들이 한데 모여 제시되고, 이어서 실제 적용된 예를 보여준다. 조선에서는 18세기부터 정선(鄭敾, 1676-1759),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심사정(沈師正, 1707-1769), 이인문(李寅文, 1745-1821) 등 남종문인화의 영향을 받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연거 이미지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때 나타나는 이미지는 화보의 것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방작(倣作)의 창작관습에 따라 차용 후 재창조된 요소라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들 작품에 나타나는 연거 이미지는 앞에서 언급한 11 가지의 연거 행위를 기본으로 하며, 자세나 시점에 따른 하위갈래까지 고려하면 26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그리고 이 이미지 유형들이 작품의 맥락에서 외시하고 있는 의미내용 또한 크게 방작(倣作), 시의(詩意), 고사(故事), 기록(記錄)으로 유형화 시킬 수 있다. 연거 이미지는 해당 이미지의 유형(의미표현)과 의미내용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작품 속에서 의미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의미표현-의미내용 간의 관계는 이미지의 의미체계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며, 더 나아가 각 요소에는 모두 상호대체가 가능한 선택들의 목록이 존재한다고 가정을 세워볼 수 있다. 이미지 유형의 목록에는 관경, 독서, 음주 등이 있어 그중 원하는 것을 고를 수 있고, 의미내용도 마찬가지로 방작, 시의, 고사, 기록의 범주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이때 흥미로운 것은 어떤 경우에는 이 선택의 동기가 매우 분명하며 표현과 내용이 서로 연관성이 높은 반면, 선택된 이유나 관련성을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즉 조형적으로는 동일한 연거 이미지더라도 이미지의 유형이 의미내용을 재현하는데 필수적인 작품도 있지만 반대로 완전히 무관해서 우연적 선택에 의존하는 작품들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의 성향이 강한 연거 이미지일수록 의미내용을 회화로 설명하는 서술적 의미작용을 한다고 보았으며, 후자의 성향이 강한 이미지는 선택과 차용이 이루어졌다는 증표를 남기는 지표적 의미작용을 보인다고 분석하였다. 작품 내에서 이 두 가지 작용은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공존하는데, 특히 지표적 의미작용은 선택이라는 행위의 근거가 되는 방작의 전통, 남종문인화론의 규약, 규칙, 가치관 등 조선 후기 문인화가들이 공유하였던 문화적인 코드(Code)를 증명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 독특한 코드가 조선 후기 연거 이미지의 의미체계를 작동시킨 원동력으로서 기능하였다는 하나의 해석 방식을 제기한다.; In the late Joseon(朝鮮, 1392-1910) period, several standardized pattern-like images appeared repeatedly in various landscape paintings(山水畫, san-su-hwa) regardless of their different themes or cont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at omnipresence, instead of an overall approach, this study focuses on a specific range of images called Leisurely Life Images(燕居 이미지, Yeon-geo image). This term refers to an image of a literati(文人, Mun-in) conducting indoor leisure activities in his residential space, painted in front of a landscape background. There are 11 types of activities observed from leisurely life images: Appreciating Scenery(觀景, Gwan-gyoung), Bending Over a Desk(伏案, Bok-ahn), Reading(讀書, Dok-seo), Appreciating Objects(玩賞, Wan-sang), Chatting with Guests(客談, Gaek-dam), Writing Calligraphy or Painting(作書(畫), Jak-seo(-hwa)), drinking alcohol or tea(飮酒(茶), Em-ju(da)), Sleeping Idly(閑眠, Han-myeon), calling a pageboy(呼童, Ho-dong), playing an Asian zither(彈琴, Tan-Geum), Playing Board Games(對棋, Dae-gi). These actions function as the icon-element of the leisurely life image, while rough and simplified stroke of literary painting(文人畫, Mun-in-hwa) becomes the style-element of it. Since each type of these images is thoroughly standardized, even if it is depicted in separate paintings, the figurative features are almost identical. Yet, the image acquires distinctive meanings in each case. This study sets up a hypothesis that leisurely life images have a specific semantic — or meaning — system which enables this phenomenon, and aims to materialize the founding principle of it. During the process, theories, developed in fields of Semiotics, Semantics or Structural Linguistics, were partially applied. The icon-element and style-element of leisurely life images were originated from Chinese paintings. While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also defined as icon-elements, had emerged during the South Song period(南宋, 1127-1279), the simple ink wash painting(水墨畫, Su-muk-hwa) style brushstroke was settled as the style-element by the Southern School literati painters(南宗文人畫家, Nam-jong-mun-in-hwa-ga) of Ming dynasty(明, 1368-1644). More importantly, similar to the facets of the late Joseon paintings, the standardized pattern-like leisurely life images were portrayed quite universally in the late Ming and Qing(淸, 1636-1912)'s paintings. Around the late Ming to early Qing period, these images began to be included in Illustrated Albums(畫譜, Hwa-bo) — a wood-block printed publication composed mainly of illustrations that generally functioned as a manual of painting — that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first type is a Collection of Masterpieces(名畫選集類, Myeong-hwa-seon-jip-ryu). This type could be represented by "Go's Album of Paintings(顧氏畫譜, Go-ssi-hwa-bo)", which contains several leisurely life images as a component of landscape painting illustrations. Secondly, a Collection of Illustrated Poetry(詩畫集類, Si-hwa-jip-ryu), such as “The Illustrated Album of Tang Dynasty's Poetry(唐詩畫譜, Dang-si-hwa-bo)” or “the Illustrated Album of Song Dynasty's Poetry(詩餘畫譜, Si-yeo-hwa-bo)”, which provide many examples of leisurely life images' icon-elements, sets another type of it. The last type of illustrated album is a Dictionary of Images(圖案事典類, Do-ahn-sa-jeon-ryu), which treats images of paintings as vocabularies of languages, and lists them in a certain order.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芥子園畫傳, Gae-ja-won-hwa-jeon)", the most well-known representative of this type, shows various human figure images which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leisurely life images. From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to 19th century, leisurely life images frequently appeared in landscape artworks painted of Joseon artists such as Jeong Seon(鄭敾, 1676-1759), Gang Se-hwang(姜世晃, 1713-1791), Sim Sa-jeong(沈師正, 1707-1769), and Yi In-mun(李寅文, 1745-1821), the artists who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 literati painting style of Southern School. Since these images are extremely similar to those in the illustrated albums, it could be conjectured that the images were first imitated from them, and then recreated(倣古參今, Bang-go-cham-geum).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primarily 11 types of activities founded in leisurely life images, and by subdividing them additionally based on their poses and the viewpoint, it could be classified into 26 types of standardized pattern-like images. Meanwhile, the contextual Contents that these types of images are denoting in paintings could also b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Antiquity-Imitating(倣作, Bang-jak), Poetic Depiction(詩意, Si-ui), Storytelling(故事, Go-sa), and Documenting(記錄, Gi-rok). Through the combination of a specific type of image, which functions as the Expression part of the system, and a specific type of content, leisurely life images are able to represent certain meaning in the painting. This Expression-Content relationship forms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mantic system, and it could be assumed that each part, or type, has a list of inter-alternative choices. For example, the list of expressions contains several image types such as Reading-image, Drinking-image, or Writing-image, and the painter could freely choose — or imitate — one of them. Same rule applies to the list of contexts. The intriguing problem is that in some cases the motivation behind these choice decisions is quite obvious, whereas in other cases the relevance is no clear. Even if the visible aspects of images are identical, while the choice of expression in one painting could be strongly based on the chosen content, in other paintings, it could be completely irrelevant, and depend rather on random selections. When the former quality is more prevalent, it could be said that the leisurely life image conducts a Predicative Semantic Function in the painting. In the latter case, the image performs an Indexical Semantic Function, not denoting any contextual content of a painting, but merely indicating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 random choice — or imitation — made. Both functions usually coexist in an image, while showing different proportion in each individual painting. Although the indexical semantic function is prone to be considered as a trivial and superficial factor, by pointing out the act of imitation, it reveals the antiquity-imitating tradition and theories, rules, or values of the Southern school literati painting, which were the cultural Code shared between the literati painters of late Joseon period. Consequently, this study defines this unique code as the ultimate motivation that enables the semantic system of the leisurely life images to fun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