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보석-
dc.contributor.author김다희-
dc.creator김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31-
dc.description.abstract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critically evaluate dual-process theory of higher cognition. According to dual-process theory, a mind consists of two distinctive cognitive processes: deliberate process and intuitive process. The theory has been developed in many fields by scholars drawn much attention. However there are also lots of criticisms. J. Evans and K. Stanovich[E&S], the representative dual-process theorists in this area, try to respond to these criticisms. This thesis scrutinizes how successfully they defend themselves. In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I would explain that this work is totally philosophical and it is related to the main issues on philosophy of mind. And then I describe the theory’s main motivation and the five central claims that are common to different versions of the theory. In the next part, the main criticisms against those claims are introduces, followed by E&S’s direct responses to them. E&S’s responses are “Default-interventionist[DI]” which confronts the criticisms and attempts to explain how two cognitively distinctive processes can interact each other to solve the hardest riddle of dualism: The Unity Problem. More importantly, however, I assert that DI has more fundamental problems than the unity problem. Thus, if the theorists cannot solve these problems, dual-process theory would be untenable. In the last part of the thesis, therefore, I will critically evaluate whether E&S’s responses are acceptable and examine the DI’s fundamental problems to be solved first. Finally, the thesis conclude that the time is not yet ripe for accepting dual-process theory as a new mind theory.;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새로운 마음이론으로 주목받고 있는 듀얼 프로세스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는 데에 있다. 듀얼 프로세스 이론은 1960년대 인지주의 혁명이 일어난 이후 등장했으며, 우리 마음이 질적으로 구분된 두 프로세스로 이루어져 있고 이 프로세스들은 우리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우리 자신이 하나의 의식적 마음을 가지고 스스로를 전적으로 통제하고 있다는 오래된 통념, 소위 ‘최고 관리자 모델’을 겨냥한 것이었다. 듀얼 프로세스 이론가들은 기존에 우리 마음이라 간주되었던 의식적이고 분석적인 사고 이외에 무의식적이고 직관적인 사고가 존재함을 강조하며, 이 이론이 기존의 싱글 프로세스 모델보다 더 경쟁력 있으며 이를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듀얼 프로세스 이론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기 전에 본 논문에서 하는 작업이 어떤 측면에서 철학적인 작업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주제가 어떻게 철학의 주요 문제들과 연결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난 후, 듀얼 프로세스 이론이 처음 등장하게 된 맥락과 구체적인 동기를 살펴보는 것으로 이 이론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것이다. 그 다음 필자는 세밀한 논의를 위해 논의의 영역을 제한시키는 작업을 하고, 이 이론의 주요 주장들을 차례로 검토해볼 것이다. 이 주장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개의 질적으로 구분된 인지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둘째, 이와 같은 인지 시스템은 속성다발을 가지며, 그 다발은 공변한다. 셋째, 이 시스템들은 서로 인지 주체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경쟁한다. 넷째, 다양한 버전들을 포괄하는 이 이론의 일반적 버전이 존재한다. 다섯째, 이 이론을 지지해주는 강력한 경험과학적 증거가 존재한다. 그러나 비판가들은 최근 이러한 주장들에 대해 많은 반론을 제기해왔다. 이에 따라, 필자는 다음 장에서 비판가들이 제시한 듀얼 프로세스 이론의 주요 비판들을 소개하고, 이어서 이 이론의 대표 이론가인 에반스와 스타노비치[E&S]의 대응과 이들의 새로 합의된 모델인 디폴트 간섭주의[DI]를 살펴볼 것이다. DI모델은 이론적 정교화와 개념적 명료화를 통해 기존 비판들에 잘 대응하면서도 이 이론이 반드시 해결해야 할 ‘통합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 DI를 통한 E&S의 대응이 과연 성공적인지 비판적으로 평가해볼 것이다. 그리고 결론부에서 필자는 듀얼 프로세스 이론이 DI모델을 통해 많은 비판들에 잘 대응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모델이 근원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우리의 새로운 마음이론으로 받아들이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임을 밝힐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듀얼 프로세스 이론이란? 4 A. 심리학 이론에 대한 철학적 작업 4 B. 듀얼 프로세스 이론의 등장 9 1. 심리학의 역사적 동기 9 2. 심리현상에 대한 설명적 동기 11 C. 논의 영역: 고등인지 - 사고, 추론, 의사결정, 문제해결 16 D. 듀얼 프로세스의 주장 17 1. 두 개의 질적으로 구분된 인지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17 2. 각 인지 시스템은 속성다발을 가지며, 그 다발은 공변한다 19 3. 각 인지 시스템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 21 4. 듀얼 프로세스 이론의 일반적 버전이 존재한다 22 5. 이 이론을 지지하는 확실한 경험적 증거가 있다 24 가. 실험조작(Experimental manipulation) 24 나. 심리측정(Psychometric approach) 31 다. 신경해부학적 증거(Neuroscientific evidence) 32 Ⅲ. 듀얼 프로세스 이론의 비판과 대응 34 A. 듀얼 프로세스 이론에 대한 비판들 34 1. 싱글 프로세스 관점으로 듀얼 프로세스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34 2. 속성의 정렬과 다발화는 가능하지 않다 38 3. 통합문제: 이원론의 전형적인 문제 44 4. 경험적 증거의 설명력과 유효성 문제 45 가. 실험조작 45 나. 심리측정 46 다. 신경해부학적 증거 47 B. E&S(2013)의 대응 48 1. 싱글 프로세스 관점의 비판은 유효하지 않다 49 2. 개념적 모호성과 속성교차 문제에 대한 해명 50 3. 여전히 유효한 경험적 증거 55 가. 실험조작 55 나. 심리측정 56 다. 신경해부학적 증거 56 C. 통합 문제에 대한 E&S의 새로운 제안: 디폴트 간섭주의 [DI] 58 1. DI개념과 두 프로세스의 작동방식 58 2. 사고모드와 사고타입의 구분 59 3. 에반스와 스타노비치 이론의 양립가능성 61 D. 디폴트 간섭주의 버전 vs. 평행 경쟁 버전 64 Ⅳ. E&S의 DI모델에 대한 비판적 평가 67 A. 대응들에 대한 평가 67 1. 싱글 프로세스 논의 67 2. 개념적 모호성과 속성교차 69 3. 경험적 증거의 유효성 70 B. DI모델의 근원적인 한계 75 1. 개념들 사이의 분류문제 75 가. 사고모드와 사고타입의 구분 75 나. TASS: 무분별한 Type1 프로세스 77 2. Type1 개념의 불완전성과 프로세스 개수에 관한 논란 79 Ⅴ.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037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듀얼 프로세스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ritical Study of Dual-Process Theory of Higher Cognition-
dc.creator.othernameKim, Da Hee-
dc.format.pageviii, 95 p.-
dc.contributor.examiner김혜숙-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규-
dc.contributor.examiner윤보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