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지연-
dc.contributor.author황현정-
dc.creator황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8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84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path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the students' self-identity (ego-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 of secretarial stud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self-identity affect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does social support affect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ird, doe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ffect the career decision level?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Fif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professors, lectures and teaching assistants of colleges in department of secretarial studie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nd 329 samples were used. First, self-ident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ut have a negative impact related to career decision level. Thir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Fourth, self-ident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with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decision level, thereby improving career decision level. Fifth,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decision level, thereby improving career decision level.;진로의 선택과 결정은 평생에 걸쳐 계속되지만, 대학생의 시기는 구체적인 미래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준비 및 그에 따른 실행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의 경우 대학입시위주의 중고등학교 교육으로 인한 진로지도의 부재, 다양한 직업의 출현 및 변화의 불확실성, 장기간의 경기침체로 인한 취업기회의 감소로 인해 대학생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더욱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비서학과의 경우 특정분야를 전공하기위한 결정이 된 상태에서 전공을 선택하였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과만족도가 낮아지고 진로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고 밝힌 연구결과와 같이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열망이 높다고 하더라도 그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직업을 갖는 것이 어려워 지고 있다. 또한 비서학과의 경우 대부분이 여학생이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여러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남학생보다 더 많은 진로 및 취업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비서학 분야의 연구는 비서직무, 비서교육의 방법 및 교육과정 그리고 비서의 행태 등에 대한 논의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비서교육을 받는 대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의 진로는 바람직한 진로교육을 통해 진로설계와 계획이 장시간에 걸쳐 진로발달이 이루어진 결과이기때문에 진로교육을 위하여 학생들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에서 비서교육을 받는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경로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각각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제작된 설문지를 통해 분석자료를 수집하였다.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지 329부를 SPSS 19.0 통계프로그램과 AMOS 7.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은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수의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주는 결과로 높은 자아정체감을 가질수록 진로결정에 있어 더 확신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결정력이 높음을 시사해준다. 둘째, 자아정체감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 있어 매개효과를 가짐으로써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키는 강력한 변인으로서 대학생들의 진로와 관련된 행동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과의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의 학생들보다 높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를 결정하는 행동을 보인다는 다수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이지만 비서학과의 특성상 진학할 당시, 이미 졸업 후의 진로가 어느 정도 결정된 상태에서 전공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추후 직업적 특성이 강한 간호학과, 항공승무원학과, 경호학과 등과 같은 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검사에 사용한 설문도구 역시 보편화된 검사도구로 직업적 특성이 강한 학과에 재학중인 비서학과 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직업적으로 특성화된 대학생을 위한 사회적 지지의 측정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된다면 유의미한 결과가 성립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하여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켰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에서도 진로결정수준은 중요한 역할을 했듯이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강력한 요인임을 시사해준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뿐만 아니라 학업성취와 수행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여러 연구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진로를 결정하는 수준을 높이는데에 있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얼마나 진로지도와 상담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는가를 설명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을 바탕으로 실제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비서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비전이나 꿈을 명확히하고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나아가 자신의 진로문제에 대해 원활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진로지도 및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자아정체감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것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체적인 데이터를 보면 교수의 지지가 친구의 지지보다 상당히 높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어느정도 결정한 상태에서 대학에 진학한다는 비서학과의 특성상, 진로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실질적인 지지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교수를 더욱 의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교수와 학생간의 진로에 대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면 진로를 결정하는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II. 이론적 배경 9 A. 자아정체감 9 1. 자아정체감의 개념 9 2. 자아정체감의 형성과 발달 12 B. 사회적 지지 15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15 2.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 따른 분류 16 C. 진로결정수준 17 1. 진로발달이론 18 2. 진로결정이론 22 3. 진로결정수준의 개념 26 D.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29 1.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 29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인지진로이론 31 E. 연구변인들간의 관계 33 1.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33 2.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37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 41 III. 연구방법 46 A. 연구대상 및 절차 46 B. 연구모형 및 가설 47 C. 설문지의 구성 49 D. 자료분석 방법 53 IV. 연구결과 54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54 B.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55 C. 상관관계분석 60 D. 확인적 요인분석 62 E. 경로분석 73 V. 결론 77 A. 연구결과 요약 77 B. 결론 및 시사점 79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83 참고문헌 84 <부록. 1> 측정도구의 변경내용 96 <부록. 2> 설문지 101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34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Identity and Social Support to Career Decision Level : Mediator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dc.creator.othernameHwang, Hyun Jung-
dc.format.pagevii, 110 p.-
dc.contributor.examiner전지현-
dc.contributor.examiner김효선-
dc.contributor.examiner백지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