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2 Download: 0

장수왕대 고구려의 對宋關係와 그 성격

Title
장수왕대 고구려의 對宋關係와 그 성격
Other Titles
Goguryeo(高句麗)'s relations with the Song(宋)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Jangsu(長壽王) : Focusing on trends in the Shandong(山東) area
Authors
백다해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英美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산동 지역의 정세 및 이 일대의 귀속 문제가 고구려와 宋의 관계 형성 및 변화에 중요한 요소였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장수왕대 고구려와 송의 관계 및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산동 지역은 일찍부터 중국과 한반도를 연결하는 교두보이자 문화 교류의 장으로 이용되었으며, 중국 세력이 한반도로 진군할 때에는 군사 기지로 활용되었다. 고구려는 4세기 西安平과 京畿灣 일대를 장악하게 되면서 해양 활동이 활발해졌다. 동시에 5세기 초 요동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지리적으로 가깝고 해로로 연결된 산동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은 산동 지역을 차지한 세력과의 외교 관계로 나타났다. 광개토대왕대 南燕 사행이나 413년 東晋 사행은 산동을 차지하고 있던 세력과 우호 관계를 형성하고자 했던 고구려의 대외정책에서 비롯되었다. 송과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였다. 장수왕 초기(413~424년), 고구려와 송의 관계는 420년 성립되었으며, 양국은 5년 동안 5회 접촉하였다. 당시 송은 고구려를 통해 건국 초기 불안정한 내부 정세를 안정시키고, 대외적으로 천자의 위엄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북위를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고구려는 산동 지역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송과의 관계를 추진하였다. 422~423년 송과 북위의 전쟁으로 산동 일대가 혼란하였으며, 고구려가 평양 천도를 준비하고 있었던 것도 양국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424년 이후 12년간 고구려는 송에 대한 사신 파견을 중단하였는데, 평양 천도에 따른 내부적 혼란이 대외정책 중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중반(436~461년) 고구려와 송의 관계는 436년부터 확인된다. 이 기간 동안 고구려는 송에 총 11회의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는 전체 대송 사행의 약 60%에 해당하는 것으로, 5세기 중반 고구려가 송을 중요한 외교 대상으로 삼았음을 보여준다. 고구려가 송과의 관계를 집중한 이유는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요동 지역의 방어 문제이다. 고구려는 5세기 중반까지 요동 지역에 대한 자체적인 방어 체계를 확립하지 못한 상태였다. 이런 상황에 438년 북연왕 馮弘의 거취 문제로, 송의 7천여 군사가 요동 지역에 들어와 고구려군과 충돌을 일으키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고구려는 이 사건을 계기로 요동 지역의 방어라는 측면에서 송과 산동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깨닫게 되었다. 둘째 나·제 동맹이 강화된 것이다. 450년 이후 신라는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벗어나 백제와의 동맹을 강화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와 나·제 동맹 세력 간의 충돌이 본격화되었다. 고구려는 남쪽 전선에 군사력을 집중시켜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요동 등 서북 지역의 방어가 상대적으로 소홀해졌을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는 서북 지역과 근접한 산동 지역의 동향을 탐색하고 동시에 외교적인 방법을 이용해 서북 지역의 방어를 보완할 목적을 가지고 송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셋째 산동 지방의 혼란이다. 한반도 남쪽에서 고구려와 나·제 세력의 충돌이 본격화되는 시기, 중국에서는 산동·하남 일대를 두고 송과 북위의 전쟁이 일어났다. 이 전쟁은 고구려로 하여금 이 지역을 주시하게 하였다. 고구려의 대송 사행이 450년대 집중된 것은 산동 지역의 변화를 탐색하고, 대응하기 위한 고구려 대외정책의 일환이었다. 5세기 후반(462~479년) 고구려 대외정책은 송에서 북위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고구려가 북위에 24회 사신을 파견하는 반면 송에는 6회에 머무른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대외정책 전환의 이유로는 북위의 요서·산동 지역에 대한 지배 강화를 들 수 있다. 460년 이후 북위는 요서 지역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황제가 순행을 하고, 종친을 파견하는 등 이 지역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467~469년 송과 북위의 전쟁의 결과, 북위는 산동 일대까지 세력을 확장하고 지배를 공고히 하였다. 이러한 북중국의 정세 변화로 고구려는 북위와의 관계를 돈독히 해 나갈 필요가 있었다. 같은 시기 고구려와 송의 관계에도 일련의 변화가 생겼다. 그동안 고구려와 송의 관계는 산동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송이 산동 지역을 상실한 470년대에도 고구려와 송의 관계는 유지될 뿐만 아니라 460년대보다 활발해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백제 개로왕의 대고구려 정책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백제가 469년 고구려를 선제공격 하고, 신라·왜·북위와의 연합을 통해 고구려를 외교적으로 압박하고자 한 것에 대한 대응의 차원으로 고구려는 북위·송과의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장수왕대 고구려는 산동 지역의 동향 및 이 지역의 귀속 문제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대외관계를 전개해나갔다. 남연·동진에 이어 송대까지 그 관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던 것은 산동 지역을 차지한 세력과 우호 관계를 다지고자 했던 고구려의 대외정책에서 비롯되었다.;This paper, based on the point of view that the trends of the Shandong area and its problem of reversion were very important issues to Goguryeo in its relations with Song, investigates and reveals the truth of how developments between Goguryeo and Song were addressed. Shandong was used as a place of cultural exchange and as a bridgehead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with China. On the other hand, this area was also used as a front-line military base when Chinese forces advanced on Korea. Goguryeo performed active marine activities after securing Seoanpyeong(西安平), located at the mouth of the Yalu(鴨綠) River and Gyeonggi(京畿) Bay in the 4th century. Goguryeo also territorialized Liadong(遼東) in the early 5th century. Goguryeo became interested in Shandong, which is accessible by sea and geographically close to Goguryeo. Goguryeo's increased interest in Shandong was shown to develop the external foreign relations with the forces occupying the area. The dispatching of envoys to Southern Yan(南燕) in the reign of Gwanggaeto the Great(廣開土大王) and sending envoys to Eastern Jin(東晋) during Jangsu's rule came from Goguryeo's foreign policy which aimed to form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forces occupying the Shandong reg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ng Dynasty during the early reign of Jangsu (413-424) is also understood on the relevance to Shandong. The relations between Goguryeo and Song were established as Song was founded and then it installed rules of neighboring countries. Then Goguryeo and Song came and went a total of 5 times from 420 to 424. Song stabilized the unstable internal situation and was out to expand the relationship with Goguryeo with the intention of externally enhancing the dignity of the Emperor. This was also aimed at restraining the Northern Wei(北魏) Dynasty. Goguryeo pushed forward relations with Song, aiming to establish ties with the forces occupying the Shangdong area. From 422 to 423, the Shandong region was confused and unstable by the war between Song and Northern Wei, and Goguryeo was preparing to transfer its capital. These were important direct causes for 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ong. However, Goguryeo had stopped dispatching envoys to Song for 12 years after 424. It seemed that Goguryeo's preparation for transferring its capital to Pyongyang(平壤) triggered confusion in its foreign relationship with Song. In the mid-fifth century (436-461), Goguryeo dispatched envoys to Song a total of 11 times and this corresponded to 60% of the total number of dispatched envoys to Song. This showed that Goguryeo regarded Song as a very important partner in terms of foreign relations. There were three reasons for Goguryeo to strengthen the ties at that time. First, it was for defending the Liadong area. Goguryeo took up Liadong during the rule of Gwanggaeto the Great, but it had not established self-defense systems over the area by the mid-fifth century. In 438, Goguryeo had a conflict with Song over the positioning Feng Hong(馮弘) of Northern Yan(北燕) and, in this process, Song sent 7000 troops to Liadong from Shandong. This event caused a conflict between Song and Goguryeo. Because of this, Goguryeo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ong and the Shandong region in terms of the defense of Liodong.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ecessity for Goguryeo to understand the trends of the Shandong region in accordance with strengthening ties with the allied Silla(新羅) and Baekje(百濟). In the 450s, Silla had strengthened the alliance with Baekje away from Goguryeo's influence. As a result, the collision of Goguryeo and the allies Silla and Baekje(羅濟同盟) was in earnest, so Goguryeo had to concentrate its forces in the South. The military defense in the Northwestern region became relatively neglected in the process. Goguryeo had to grasp the trend of Shandong that might affect the northwestern area. Finally there was the lasting chaotic situation of the Sandong region. During the time of the strengthening of the allies Silla and Baekje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he war between Song and Northern Wei broke out over the ownership of the Shandong and Henan(河南) areas. It contributed to Goguryeo in paying attention to the state of affairs of this area because this was related to the vested issue of Shandong. Goguryeo's intensive dispatch of envoys to Song in 450 was to explore and respond to these changes. In the late fifth century (462-479), Goguryeo converted its center of foreign policy to Northern Wei from Song after resuming relations with Northern Wei in 462. From 462 to the collapse of Song in 479, Goguryeo dispatched envoys a total of 24 times to Northern Wei while only 6 times to Song. The reason was that Northern Wei had reinforced control over Liaoxi(遼西) and the Shandong region through the war lasting from 467 to 469. In addition, Northern Wei obtained ownership over Shandong and its surrounding area. Because of these circumstances in Northern China, Goguryeo had to deepen its relationship with Northern Wei. In the same period, there was a series of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Goguryeo and Song. At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ong developed based on Shandong, but it was maintained even after Song's loss of Shandong. This was because Goguryeo needed to hold back Baekje as Baekje had taken an aggressive stance toward Goguryeo. As mentioned above, Goguryeo developed foreign policies based on the trends and issues of jurisdiction over the area of Shandong, with special interest during the reign of King Jangsu. The relationships with Southern Yan and Eastern Jin, or with Song, were part of Goguryeo's foreign policies which aimed to have friendly relations with the forces occupying the Shandong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