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9 Download: 0

2012 프랑스 대통령 선거 TV 토론 분석

Title
2012 프랑스 대통령 선거 TV 토론 분석
Other Titles
Analyse du discours du débat présidentiel français 2012 : le fonctionnement du verbe “vouloir"
Authors
송지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미
Abstract
본 논문은 대통령 후보로 2012년 프랑스 대선 토론(이하 대선TV토론)에 참여한 프랑소와 올랑드와 니콜라 사르코지의 양태동사 vouloir의 기능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는 대선TV토론에 vouloir가 빈번히 나타나기 때문이다. 화자가 왜 vouloir를 선택하는지, 즉 토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가치들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2012년 프랑스 대선 TV토론에 참여한 두 후보, 올랑드과 사르코지의 발화에 사용된 양태동사 vouloir의 행위적, 전제적 그리고 함축적인 성격이 대선TV토론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각 토론자가 자신의 발화에서 양태동사 vouloir를 입장 표명, 비난, 방어 등의 메시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메시지를 보다 설득력 있게 전달하기 위해 vouloir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양태 동사 vouloir의 행위적, 전제적 그리고 함축적인 성격이 대선TV토론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대선TV토론은 두 명의 토론자, 중재자 그리고 청중이라는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서도 토론의 참여자인 토론자들이 주요 화자가 된다. 토론자는 토론의 구성원들에게 어떤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구성원을 바라보는 자신의 관점을 드러낸다. 이때 토론자는 두 대상을 향해 vous로 지목한다. 상대 토론자와 청중이 바로 그들이다. 이로써 인칭 대명사 vous는 대선TV토론의 이중 의사소통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한편 토론자는 vous로 지시되는 각 수신자에게 다른 메시지 유형으로 의사소통한다. 상대 토론자과는 비난과 방어를 상호적으로 주고 받게 되며, 청중에게는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주된 메시지이다. 그러나 토론자의 궁극적인 목적은 청중을 설득하여 자신에게 투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대 토론자를 비난하거나 자신을 방어하는 것도 실제로는 우회적인 방식으로 청중을 설득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선TV토론의 이와 같은 담화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우회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전제와 함축, 그리고 양태표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자신의 시각을 전하는 양태동사 vouloir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vouloir가 양태동사로 현실의 객관적인 기술보다는 화자의 주관적인 입장을 드러낼 뿐 아니라, 그것이 지닌 전제와 함축 가치를 통해 그 입장을 더욱 더 우회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Vouloir는 화자의 입장을 전할 뿐 그 성격상 상대방의 반응을 필연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 샤로도Charaudeau에 의하면 vouloir는 결핍이라는 의미 가치를 지닌다. 한편 vouloir가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화자의 의지이므로, 결핍의 존재 외에 다른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제를 통해 어떤 결핍이 있다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남으로써 결핍의 원인 제공자가 자신의 상대방이 될 수도 있을 다른 누군가를 암시하게 된다. 이처럼 화자는 결핍의 원인 제공자를 넌지시 전할 뿐이고 그것을 알아차리고 판단하는 것은 청중의 몫이다. 명시적으로는 대통령으로서의 추상적이고 이념적인 입장이나 희망, 국가의 방향설정에 대한 의지, 이루고자 하는 구체적 행위 즉 공약 등이 표현되고 암시적으로는 지금까지의 결핍을 알림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비난이나 공격 등이 표현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정치담화에서 후보들은 vouloir를 통해 다양한 메시지를 전한다. 자신의 궁극적인 목적인 ‘나를 선택해주세요!’를 청중에게 드러내놓고 말할 수 없는 정치담화/토론의 특성 때문에 대선 후보들은 양태 동사 그중에서도 의지 또는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메시지를 명시적으로 전하는 vouloir 동사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에 존재하는 결핍을 알리고, 청중으로 하여금 그 결핍을 방관하거나 유발한 책임자를 찾아내도록 유도한다.;Cette étude a pour objet de voir les emplois du verbe ‘vouloir’ utilisés dans les discours du débat présidentiel français 2012. Pour cela nous avons examiné le verbe ‘vouloir’ énoncé par les deux candidats, François Hollande et Nicolas Sarkozy, dans le débat présidentiel 2012 et révisé ses fonctionnements introduits par le posé, la présupposition, et le sous-entendu dans cette situation de communication. Ainsi nous avons su qu’il existe trois types de message dans le discours du débat: la prise de position, l’insinuation de reproche et la défense. Et nous avons également examiné les emplois de ‘vouloir’ selon le type de message. Pour terminer, nous avons régardé le posé, la présupposition et les sous-entendus exprimés par le verbe ‘vouloir’, et les particularités des expressions de chaque candidat. Le débat télévisé présidentiel est composé de deux débatteurs, un modérateur et le public. Parmi eux, ce sont les débatteurs qui participent comme les locuteurs principaux. Les débatteurs montrent leur point de vue en indiquant les autres participants par les pronoms personnels. C’est alors le pronom personnel ‘vous’ qui désigne les deux cibles-destinataires: l’autre débatteur et le public. Néanmoins les débatteurs transmettent différents types de message à chaque cibles-destinataires: alors que apparement le débatteur échange vis-à-vis l’insinuation de reproche et la défense avec l’autre débatteur, il donne les messages principaux au public: le but du discours est de persuader le public et de le motiver à voter pour lui. Le débatteur non seulement participe à l’interaction avec son compétiteur mais il vise aussi à persuader son public, ce qui fonctionne comme une maniére oblique de la persuasion. Pour l’analyse du discours de débat, nous avons pris l’idée de la modalisation, la présupposition et le sous-entendu comme les moyens de la communication implicite. Mais il nous faudra surtout observer la particularité de la modalité du verbe 'vouloir' dans sa propre présupposition et ses sous-entendus pour comprendre la signification ultime de chacun de ses emplois. Le verbe ‘vouloir’ est caracterisé d’aprés Charaudeau, par son type de l’acte locutif, la présupposition et le sous-entendu, susceptible par le contexte. Le caractère du verbe 'vouloir' signifie qu’il ne demande pas la réaction de l'interlocuteur: Il focalise le rapport entre l’énonciation et le locuteur. Ce verbe de modalité révèle aussi qu’il existe un manque et que le locuteur voudrait bien le combler. Ce que le verbe 'vouloir' exprime explicitement est l'espérence et la volonté. Il ne montre pas le manque ou la cause de ce manque. Mais par la présupposition il montre indirectement qu‘il y a un manque. Le locuteur indique par l’effet d’un sous-entendu que la personne qui a causé ce manque pêut être l’autre débatteur. Le locuteur parle indirectement et c’est la part du public de le remarquer puis le juger. En conclusion les candidats dans le discours du débat utilisent la modalité ‘vouloir’ en diversifiant ses messages. À travers ‘vouloir’, ils ont exprimé non seulement leurs position et volonté sur la direction de l'État mais aussi implicitement l’insinuation de reproche vers le compétiteur par le présupposé du manque. À cause de la nature du débat où les débatteurs ne peuvent pas dire directement au public de voter pour lui, ils transmettent leurs messages indirectement, en utilisant le verbe 'vouloir' ayant une valeur mieux atténuée par rapport aux autres verbes de modalité. Plusieurs types de dispositifs linguistiques, comme la présupposition ou le sous-entendu, sont compris dans l’énonciation pour que le verbe 'vouloir' fonctionne avec efficacité.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