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문종-
dc.contributor.author이윤정-
dc.creator이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0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04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CSR 활동에 투자하려는 기업의 유인과 그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제품 품질에 대한 정보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CSR 활동이 그 정보비대칭성을 완화시키는 신호 도구로써 이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Siegel and Vitaliano(2007)의 선행연구를 따라, 제품 품질에 대한 기업과 소비자 간의 정보비대칭성 정도에 근거하여 제품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그 유형에 따라 기업의 CSR 활동 수준이 다른가를 확인하였다.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한 후에야 제품 품질을 파악할 수 있는 제품은 “경험재(Experience goods or services)”로, 구매 전에 제품 품질을 파악할 수 있는 제품은 “탐색재(Search goods)”로 정의하였다. 이익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기업에서 CSR 활동을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는 신호수단으로써 제품 유형에 따라 차별적으로 선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실증결과에 의하면, 탐색재를 생산하는 기업들은 정보비대칭이 낮기 때문에 다른 기업들에 비해 CSR 활동을 하지 않을 확률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험재를 3가지(비내구경험재(Nondurable Experience Goods), 내구경험재(Durable Experience Goods), 경험서비스(Experience Services))로 분류한 분석에서도 비내구경험재와 내구경험재를 생산하는 기업들이 CSR활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품품질에 대한 정보비대칭 수준이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일수록 소비자에게 제품 품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다 높은 CSR 활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유형에 따라 차별적으로 선택된 CSR 활동수준이 기업 가치와 관련성을 가지는지 검증해 보았다. 실증 결과에 의하면, 탐색재와 KEJI 지수 포함여부 변수(CSRD)의 상호효과는 양(+)의 값으로, 내구경험재, 경험서비스와 CSRD의 상호효과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 품질 수준에 대한 정보비대칭이 높은 경험재를 생산하는 기업일수록, CSR 활동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을 것이라는 예상 결과와는 반대의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가 초래된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들 수 있다. 첫째, 기업들이 생산제품 유형에 따라 합리적으로 CSR 활동 수준을 선택하였을지라도, 기업의 CSR 활동 수준을 소비자들이 효과적으로 인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업들이 정보비대칭 해소에 따른 효과를 얻지 못하였을 수 있다. 둘째, CSR 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 KEJI 지수가 기업의 CSR 활동수준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한계를 가지는 측정치일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다 일관적이고 유용한 CSR 활동 측정치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examines the contributory cause and value for firms that aim to invest in CSR activities. The study primarily seeks to examine whether CSR activities are used as a signal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when there is asymmetric information on product quality. Following Siegel and Vitaliano(2007), the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products based on the level of information asymmetry on product quality between firms and consumers. The study further examines whether the firms’ level of CSR activi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classified. The study defines “Experience goods or services” as goods or services that the consumer needs to use before being able to identify its product quality. Likewise, “Search goods” is defined as a product which the quality can be identified by the consumers before purchase. Through this, the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with profit-maximizing strategy choose different levels of CSR activity based on the different types of products as a signal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firms producing search goods have lower information asymmetry so they are relatively less likely to engage in CSR activities compared to others. Also, when classifying experienced goods into nondurable experience goods, durable experience goods and experience services, it can be seen that firms producing nondurable experience goods and durable experience goods have a higher likelihood of conducting CSR activities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the product quality to consumers. Also,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different level of CSR activities that were chosen by the types of products have relation to corporate value.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re is positiv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search goods and CSR activity and negativ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durable experience goods, experienced services, and CSR activity. This contradicts the prediction that firms producing experienced goods with higher information asymmetry on product quality will be more greatly influenced by CSR activities on their corporate value. There are several reasons that can explain such a result. First, despite firms rationally selecting the level of CSR activity by the types of products, consumers are not able to effectively recognize firms’ level of CSR activity, so firms may not have had the desired effect from alleviating information asymmetry. Second, KEJI, which is the index for CSR activity levels, may be limited in being able to fully measure and show the level of CSR activity.. Thus the results show the need for developing a more consistent and reliable index for measuring CSR ac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4 A. CSR과 제품 품질 수준에 대한 정보비대칭에 대한 선행연구 4 B. CSR과 기업가치에 대한 선행연구 5 Ⅲ. 연구의 설계 8 A. 표본의 선정과 자료수집 8 B. 연구모형 및 변수설정 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4 A. 기술 통계량 14 B. 상관관계분석 결과 16 C. 회귀분석 결과 18 Ⅴ. 결론 25 참고문헌 27 ABSTRACT 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12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제품의 유형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product type and CSR activities-
dc.creator.othernameLee, Yoon Jung-
dc.format.pageiv, 30 p.-
dc.contributor.examiner김정권-
dc.contributor.examiner김봉진-
dc.contributor.examiner정문종-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