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학급문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직무만족의 실제

Title
학급문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직무만족의 실제
Other Titles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about Classroom Culture and Actual Job Satisfaction
Authors
이승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교육현상에 있어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며, 조직문화 이론을 기반으로 한 학교문화 관련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와 학생들이 많은 시간 실제 생활하는 공간은 학교 안의 작은 교실이다. 물론, 학교라는 울타리는 학급운영에 있어 여러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며, 제한을 두기도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의 실제 생활공간인 학급의 단위에 초점을 맞춰 교사들이 학급문화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급문화에 대한 인식을 교사의 배경요인인 성별, 교직경력, 학교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점을 비교 · 분석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가장 주도적으로 학급문화를 형성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학급문화와 관련된 직무만족의 실제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급문화의 상호관계성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자신의 학급문화를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을 것이고, 직무 만족도가 낮을수록 학급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란 가설에 따라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성별, 교직경력, 학교 설립유형에 따라 교사들이 자신의 학급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을 통해 교사 직무만족의 실제적이고 내면적인 부분을 다루어 직무만족의 어떤 부분이 교사의 학급문화 인식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급문화에 대한 인식이 교사의 배경요인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을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의 실제를 살펴보고, 학급문화와 관련하여 교사가 만족스러워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학급문화는 어떠한가? 1-1. 교사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의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학급문화와 관련한 교사 직무만족의 실제는 어떠한가? 2-1. 수업에 대한 교사 직무만족의 실제는 어떠한가? 2-2. 보상에 대한 교사 직무만족의 실제는 어떠한가? 2-3. 인간관계에 대한 교사 직무만족의 실제는 어떠한가? 2-4. 근무환경에 대한 교사 직무만족의 실제는 어떠한가?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연구를 통해 학급문화와 교사 직무만족의 하위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때 교사 직무만족의 하위요소는 학급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급문화의 하위영역을 교사 전문성, 조직 행위, 학습 환경의 질, 학생 중심 교육으로 구체화하고 총 28문항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예비조사는 교사 130명을 대상을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는 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연구대상을 현재 학급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로 제한하였고, 설문지의 문항내적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ɑ 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학교의 설립유형에 따라 학급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해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직경력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후비교검증(Scheffe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급문화와 관련된 교사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제작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10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학교를 방문해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추가적인 부분은 전화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을 통하여 교사의 성별, 근무하는 학교의 설립유형에 따라서 학급문화에 대한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학급문화 인식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0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집단이 저경력 교사집단에 비해 학급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2를 통하여 교사들은 학급문화와 관련이 있는 교사 직무만족의 수업, 인간관계, 근무환경 네 가지 요인에서 모두에서 대체로 만족감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상 요인에서는 내적보상, 학교의 지원에는 만족하였으나 보수체제에서는 국공립학교 교사와 사립학교 교사의 만족감에 차이가 있었다. 사립학교 교사에 비해 국공립학교 교사의 만족도가 낮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배경요인에 관계없이 대부분 자신의 학급문화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통계결과를 통해 확인된 것은 교사 성별과 근무하는 학교의 설립유형에 따른 학급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교사가 어떤 조건과 환경 속에 근무하더라도 학급문화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급문화 인식에 대한 평균점수가 모든 집단에서 4점 이상의 결과가 나온 것을 보면, 대부분의 교사가 학급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급문화를 인식함에 있어 교사의 성별이나 학교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선입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학급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단 한 가지 변인은 교직경력이었다. 통계결과 고경력의 교사가 저경력의 교사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냈으며 그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경력의 교사가 오랜 시간의 교직생활을 통해 바람직한 학급문화 형성에 자신감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경력 교사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은 보수를 제외한 학급문화 관련 모든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교사들은 학생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준비하며 전문성을 키우고, 학생들로 인해 내적보상을 얻으며, 학교의 지원에 만족스러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학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정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근무환경에도 대체적으로 만족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호봉제를 기반으로 한 보수체제에는 어느 정도 불만을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의 직무만족을 위해서는 보수체계의 개선을 통한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학교문화 설문지를 바탕으로 학급문화 설문지를 제작한 점, 교직경력에 따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급문화가 어떻게 다른지 밝히지 못한 점, 국공립학교의 교사와 사립학교의 교사 수를 동일한 비율로 맞추지 못한 점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학급문화의 하위영역을 더욱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급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검사하는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급문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르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국공립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사립학교 교사의 직무만족을 비교하기 위해 더 많은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직무만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The study investigates a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culture of their own classroom, which is the main space of daily lif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 Moreover, related to classroom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ho take a main role in forming their class's culture. It is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classroom culture. This study explores how teachers approach their own classroom culture depending on their own gender, job experience, and the type of the school foundation in which they are employed. Furthermore, it aims to identify areas of job satisfaction which are actually related to a teacher's classroom culture awaren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deal with reality and internal aspects. The concret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 1. How differently do teachers perceive classroom culture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1-1. Is there a difference in approach based on the gender of the teacher? 1-2. Is there a difference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teacher? 1-3. Is there a difference based on the type of the school foundation where the teacher is employed? 2. What is the teacher's actual job satisfaction about classroom culture? 2-1. What is the teacher's actual job satisfaction about class? 2-2. What is the teacher's actual job satisfaction about reward? 2-3. What is the teacher's actual job satisfaction about human relationships? 2-4. What is the teacher's actual job satisfaction about work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search the first subject, a questionnaire of twenty-eight questions was prepared. The questionnaire covered the sub-factors of class culture including Teacher Professionalism, Organizational Behavior, Qua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Centered Educatio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one hundred and thirty teachers, and the actual survey was done with three hundred and eighty teachers. Also, the value of Cronbach' ɑ was calculated for the valida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Furthermore, the T-Test, the One-Way ANOVA, and the Scheffe Te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lassroom cultural awareness. For studying the second subject, another questionnaire was made to withdraw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s it relates to classroom culture,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performed. The survey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The first study reveal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classroom cultural awareness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teachers and the type of the school foundation. However,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class cultural awareness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The second study shows that most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eaching, human rela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which are related to class culture. Also, regarding of rewards, teachers are mostly satisfied with intrinsic rewards and the school's support. However, in the compensation system, the satisfaction level of public school teachers tends to be lower than that of private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are positively aware of their class culture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the type of the school foundation. Considering the average score in class cultural awareness is over 4 points in every group, the study shows that most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classroom culture. Second, the only factor tha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in class cultural awareness is the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 of the statistics reveals that more experienced teachers have higher average scores in every field than less experienced teachers. The differences are relatively meaningful. This implies that more experienced teachers are more confident and have more know-how to build desirable class culture. Third, teachers are satisfied with all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related to class culture with the exception of monetary compensation. Teachers are content with three main factors while they are practicing Student-Centered Lessons: building their professional career, receiving intrinsic rewards, and receiving school support. Moreover, they tend to positively interact with not only students but also parents, and like their working environment. However, teachers are so unsatisfied with the compensation system based on the salary class that further discussion of the improvements in this area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