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효능감

Title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효능감
Other Titles
Maternal gatekeeping, father involvement and paternal competence
Authors
황윤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how maternal gatekeeping differs depending o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gatekeeing, father involvement and paternal competence. The follwing is the specific topics of the research. 1. How does maternal gatekeeping differ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2. How are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gatekeeing, father involvement and paternal competence? 2-1. How are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gatekeeing and father involvement? 2-2. How are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gatekeeing and paternal competence? The total of 141 parents with 3 to 5 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veys for the parents about maternal gatekeeping were used as the main tool for the research. 'Parental Regultaion Inventory (PRI)' created by Van Egeren (2000) was adapted in the survey about maternal gatekeeping. In order to measure father involvement, father involvement scale was used, which was designed by Choi Kyung Soon (1992) for fathers with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 succession revised by Cho Sook In (2010) for fathers with young children. For measuring paternal competence, 'Parenting Efficacy Scale (PES)' created by Allen (1993) and translated in Korean by Cho In Kyung (2004) was used. The Scale was originally designed for mothers, but adapted for fathers in this research.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all husbands and wives perceived that maternal gate opening and closing occurred in slightly low frequency and maternal gate opening tends to occur more frequently than gate closing does. Also, there was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husbands' cognition about maternal gatekeeping and wives'. Father involvement and paternal competence tended to occur in a few high level. Fathers participated most in leisure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and least in school-related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Fathers had the highest level of paternal competence in love, and the lowest level in control. Secondly,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wives' gate opening perceived by husbands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but not in gate closing. Similarly,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ir own gate opening perceived by wives according to their own employment status, but not in gate closing. Thirdly, father involv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paternal competence. Concretely, all the sub factors of father involvement except housekeep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ll the sub factors of paternal competence. Finally,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wives' gate opening perceived by husbands and father involvement,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wives' gate closing perceived by husbands and father involvement. Similarly,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ir own gate opening perceived by wives and father involvement, but no relation between wives' gate closing perceived by husbands and father involvement. Wives' perceptions of their own gate opening predicted more accurately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gate opening and father involvement than husbands' perceptions of wives' gate opening, but similar tendency was appeared. Also,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wives' gate opening perceived by husbands and paternal competence, and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wives' gate closing perceived by husbands and paternal competence. These results were similarly appeared in their own gatekeeping perceived by wives.;본 연구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Maternal gatekeeping)을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알아보고,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효능감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를 자녀로 둔 부모 141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가 인식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Van Egeren(2000)이 Parental Regulation Inventory(PRI)에서 남편이 아내의 문지기 행동에 대해 보고하고 아내가 자신의 문지기 행동에 대해 보고하도록 고안한 설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측정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제작한 최경순(1992)의 아버지 양육참여도 척도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응답하도록 수정한 조숙인(201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Allen(1993)이 개발한 양육 효능감 척도(Parenting Efficacy Scale: PES)를 조인경(200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를 아버지로 수정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정과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에 앞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효능감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본 결과, 부부 모두 어머니의 문 열기 및 문 닫기가 약간 낮은 빈도로 일어나고, 어머니의 문 열기가 문 닫기보다 더 많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두 하위 요인 모두 부부의 인식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효능감은 조금 높은 수준으로, 양육 참여의 하위 요인 중 여가 활동이 가장 높고 학습지도가 가장 낮았으며 양육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사랑이 가장 높고 통제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알아본 결과, 남편이 인식한 아내의 문 열기에서는 아내의 취업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문 닫기에서는 아내의 취업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내가 인식한 자신의 문 열기에서도 자신의 취업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문 닫기에서는 자신의 취업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양육 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있었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 중 가사활동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 요인들이 양육 효능감의 하위 요인 모두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남편이 인식한 아내의 문 열기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 전체 및 모든 하위 요인 간에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었던 반면, 문 닫기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 전체 및 하위 요인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아내가 인식한 자신의 문 열기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 전체 및 모든 하위 요인 간에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었으나, 문 닫기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 중 학습지도와의 관계에서만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 열기에 대한 아내의 인식이 남편의 인식보다 어머니의 문 열기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 간의 관계를 약간 더 잘 예측하였으나, 거의 유사한 경향을 띠었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남편이 인식한 아내의 문 열기는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 전체 및 통제, 의사소통, 교육, 전반적인 효능감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문 닫기는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 전체 및 사랑, 통제, 의사소통, 전반적인 효능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아내가 인식한 자신의 문 열기는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 중 사랑, 교육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문 닫기는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 중 사랑과 낮은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