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How Teacher Education Aff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Verbal Interaction
Authors
김아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자 개념 관련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교사교육과 자기발전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 및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 향상 필요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은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은 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별 사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사립유치원 두 곳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림자 개념에 대한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을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그림자 개념에 대한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를 통해 연구대상 유아교사 20명의 그림자 개념 관련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와 실험 처치 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림자 개념에 대한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가 보이는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 측정을 위해서는 Tu(2001)의 ‘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Preschool Teacher Verbal Interaction Coding System)’과 Bloom과 KrathWohl(Blosser, 1975에서 재인용)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발문의 6가지 수준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한 ‘과학과 관련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관찰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연구로서 사전 검사 시 오전 자유선택활동 1시간씩 2일, 총 2시간 씩 준비된 영역에서 그림자 개념 관련 과학 활동이 일어날 때의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교사 각 10명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사건 표집법으로 관찰하였다. 사전 검사 후 실험 처치로서 연구자가 실험집단 교사 10명에게 그림자 개념에 대한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교사교육을 진행하였으며 비교집단 교사 10명에게는 실험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험 처치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별 평균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자 개념 관련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은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실험집단에 대한 교사교육이 진행되기 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행한 결과 두 집단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동질하다고 밝혀졌다(t=-.748, p>.05). 실험 처치로서 실험집단에 교사교육이 진행된 후에 교사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비교집단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은 19.90점에서 21.10점으로 6.03% 증가함으로써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비슷했다(t=-1.227, p>.05). 교사교육이 이루어진 실험집단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수준은 사전 검사 점수인 20.70점에서 사후 검사 점수 45.00점으로 117.39% 증가함으로써 평균 점수가 두 배 이상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t=15.469, p<.05). 둘째, 유아교사가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을 들었을 때 그림자 개념 관련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은 확장됐다. 교사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의 범위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전체 8 수준 중 가장 낮은 수준인 1 수준 무반응부터 5 수준 동일 수준 활동 확장까지 분포해 있다. 즉 유아에게 더 나아간 단계의 비계를 설정해주고, 교과 개념을 정확히 전달하며, 유아 스스로 상황을 분석하고 원인과 결과에 대해 사고할 수 있게끔 돕는 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교사교육을 받았을 때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의 범위는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의 가장 높은 수준인 8 수준 분석 및 종합 단계까지 확장되었다. 또한 교사교육을 받은 교사는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 중 가장 높은 수준인 8 수준 분석 및 종합 수준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이어서 유아의 행위나 말에 대한 재확인(4 수준)과 인정(3 수준)을 하는 수준의 상호작용을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교사교육을 받은 교사는 유아가 활동과 관련하여 보이는 행위나 말을 보거나 들었을 경우 이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1 수준)가 없었으며 교과내용을 포함하지 않은 단순 반응(2 수준)을 보이는 경우도 거의 없었다. 셋째, 교사교육 수강 여부에 따른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별 사용 빈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 중 1 수준 무반응부터 5 수준 동일 수준 활동 확장까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교사교육을 받은 실험집단 교사는 높은 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인 6 수준 ‘비계 수준 활동 확장’, 7 수준 ‘개념 명료화 및 개념 확장’, 그리고 8 수준 ‘분석 및 종합’을 교사교육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 교사보다 통계상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eacher education abou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ff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science PCK, and to figure out how teacher's level of science PCK affects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his study implicate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need to improve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eacher education and self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teacher education abou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ve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2. Does teacher education abou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ve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verbal interaction? 2-1. How does teacher education abou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 frequ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verbal interaction as a whole? 2-2. How does teacher education abou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 frequ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each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wo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GyungGiDo. For analyzing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shadow concept, the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used. By this instrument, the preliminary inspection to prove homogene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shadow concept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eacher's level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activity regarding shadow concept, the scale develop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Tu(2001)'s ‘Preschool Teacher Verbal Interaction Coding System' and Bloom et al.(1984)'s scale of question. This study is experimental research. For pretest, verbal interactions of each 10 teacher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ere observed by event sampling method when science activity regarding shadow concept occurred in morning self selection time. After pretest, the researcher deliver teacher education abou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shadow concept to 10 teachers of experimental group as experimental treatment. None was done for control group as experimental treatment.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was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pretest'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education abou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shadow concept significantly enhances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fore the teacher education was done for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 of verbal interaction pretest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control group and that of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teacher education, control group's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creases in 6.03%, from 19.90 points to 21.10 point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t=-1.227, p>.05). Experimental group's level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creases in 117.39%, from 20.70 points to 45.00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increases twice as much than that of the pretest(t=15.469, p<.05). Second, after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given the lesson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range of verbal interaction used by teachers was expanded. When teachers didn't hav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range of verbal interaction level distributes from the lowest level which is Level 1 Neglect to Level 5 Expansion for Same Level Activity among whole 8 levels of verbal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y didn't use the level of verbal interaction which can set the scaffolding level for children, deliver the accurate science concept as a word, and help children to analyze the cause and result by themselves. However, when teachers come to hav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range of verbal interaction level reaches Level 8 Analysis and Synthesis, the highest level of verbal interaction. Third, comparing the frequency of two groups' verbal interaction levels,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from Level 1 ‘Neglect' to Level 5 ‘Expansion of Same Level Activity' However, when teachers come to kno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use of high 3 levels of verbal interaction, which contain Level 6 ‘Expansion for Scaffolding Level Activity', Level 7 ’Concept Clarification and Concept Expansion', and Level 8 ‘Analysis and Synthe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