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규연-
dc.contributor.author김재현-
dc.creator김재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9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902-
dc.description.abstract산업통상부(2014)에 의하면 국내 이러닝 시장 규모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9.5%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실제 어떻게 학습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닝 환경에서 적극적인 학습자 역할의 비중이 커지면서 학습자가 학습하는 동안 사용하는 학습전략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박종선, 2009). 시간관리는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해준다는 점에서 학습전략에서도 중요시되고 있다(Britton & Tesser, 1991). 학습에 있어서 시간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시간을 배분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신의 학습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학습계획을 수립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박종선, 2013). 이에 학습자들의 시간관리의 수준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학습자들이 작성하는 학습계획표라 할 수 있다(권성연,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환경에서 시간관리를 위한 중요한 학습 도구인 학습계획표를 중요한 변수로 상정하였고, 학습계획표를 활용하는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총 학습시간, 출석일수, 학업성취도, 행동조절능력에 있어 실제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1.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표를 활용하는 수준에 따라 총 학습시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표를 활용하는 수준에 따라 출석일수에 차 이가 있는가? 3.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표를 활용하는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표를 활용하는 수준에 따라 행동조절능력 에 차이가 있는가? 제시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A 이러닝 사이트에서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동안 종합반을 수강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중학생 5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중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이 높은 학생들로 구성된 집단(29명)과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이 낮은 학생들로 구성된 집단(28명)으로 나누어 총 학습시간, 출석일수, 학업성취도, 행동조절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총 학습시간, 출석일수, 학업성취도에 대한 자료는 학습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별 변수의 값을 산출하였고, 행동조절능력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결과 값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두 독립표본 t 검정,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여 얻었다. 이러한 절차를 바탕으로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에 따라 두 집단의 총 학습시간, 출석일수, 학업성취도, 행동조절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에 따라 총 학습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생들이 더 많은 시간을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에 따라 출석일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생들이 더 많이 출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에 따라 행동조절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이 높은 집단 학생들의 행동조절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는 행동조절능력은 학업 시간관리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 시간관리가 종속변인 중 학습계획표의 활용 수준에 따른 행동조절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표의 활용은 학습자의 총 학습시간, 출석일수, 학업성취도, 행동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의 중학생 57명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대상을 선정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계획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출석하여 학습하는 준수율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그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계획한 시간보다 지각해 늦게 학습한 부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이에 학습계획표의 준수율에 대한 정확한 산정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생들이 시간관리 학습도구로 학습계획표를 통해 시간과 학습할 분량을 설정하여 학습한 것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단순한 시간 계획하기 이외의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여 시간관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According to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2014), it was reported the size of local e-learning marke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maintains average annual 9.5% growth rate for the last 5 years.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learners actually study in e-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tream of times. In particular, the weight of learner's role who studies with self-directed learning becomes bi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strategy to more efficiently execute the learning are also emphasized(Jong-Sun Park, 2009). Especially the time management becomes important in that it forecasts the study achievement of learners(Britton & Tesser, 1991). In order to manage the time in learning, it is necessary for the learner himself to allocate and manage the time and to efficiently use the study hours, he should start to establish the study plans first (Jong-Sun Park, 2013). Accordingly, a method to directly identify the level of learner's time management can be regarded as a study plan table which is made by learner(Seong-yeon Kwon, 2009). Therefore, in this study, study plan table which is an important study tool for time manag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was assumed as an important variable and the differences in total studying time, attendance days, study achievement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This study was executed focusing on the following study subject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otal studying hour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2. Is there a difference in attendance day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3. Is there a difference in study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4. Is there a difference in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In order to clarify suggested study subjects, 57 middle school students in regional child center who took general class in A e-learning site for 4 months from 2014 March to June. Differences in total study hours, attendance days, study achievement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group which is composed of high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29 students) and the group which is composed of low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28 students). Regarding the data of total study hours, attendance days, study achievement, study log data were analyzed and the values of individual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data of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s. Results of collected data were acquir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by using SPSS18.0. Based on these procedures, the differences in total study hours, attendance days, study achievement,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in two groups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in e-learning environment. Summariz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tudy hour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In other words, students in the group who have higher utilization study plan table studied longer hour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endance day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In other words, students in the group who have higher utilization study plan table attended more often.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y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In other words, students in the group who have higher utilization study plan table had higher study achievement improvement scores. Fou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In other words, students in the group who have higher utilization study plan table had higher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Additionally,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which is most explained by independent variables was shown as studying management time. This showed management of studying time mostly affected the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in e-learning environment significantly was verified to affect the learner total study hours, attendance days, study achievement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study subjects were 57 middle school students in regional child center located in Seoul city. Therefore, there could be a limitation to generalize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In this point, future studies need to be executed by selecting more various subjects. Second, this study was executed by establishing the study plan table and classifyi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observance rate which is to attend and subsequently,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but, late study cases were not considered as the students were late for the class than planned class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correct calculation method for the observance rate of study plan table. Third, this study was executed focusing on students' learning by establishing study time and amount through study plan table as their time management study tool in e-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ly in future studies, time management is expected to be actively conducted including various factors as well as simple time plan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학습계획표 5 2. 학습계획표의 활용 5 3. 총 학습시간 6 4. 출석일수 6 5. 학업성취도 6 6. 행동조절능력 7 Ⅱ. 이론적 배경 8 A. 이러닝 환경 8 1. 이러닝의 개념과 특성 8 2. 이러닝 학습전략 10 B. 학습계획표 13 1. 학습계획표의 개념 13 2. 학습계획표와 자기조절학습 15 가.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15 나.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16 다. 행동조절능력 19 3. 시간관리 21 가. 시간관리의 개념 21 나. 학습에서의 시간관리 22 C. 총 학습시간 25 D. 관련 선행연구 27 E. 연구가설 30 Ⅲ.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연구도구 34 1. 학습계획표 34 2. 총 학습시간 37 3. 출석일수 37 4. 학업성취도 37 5. 행동조절능력 38 C. 연구절차 39 1. 선행연구 분석 39 2. 자료 수집 39 3. 설문 조사 40 4. 결과 분석 40 D. 자료 분석 방법 41 Ⅳ. 연구결과 43 A. 기술통계 43 B. 가설검증 46 Ⅴ. 결론 및 제언 52 A. 결론 및 논의 52 B. 제한점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부록1. 설문지 65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61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표의 활용이 학습자의 총 학습시간, 출석일수, 학업성취도, 행동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Utilization of Study Plan Table to Learner's Total Study Hours, Attendance Days, Study Achievement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in e-Learning Environment-
dc.creator.othernameKim, Jae Hyun-
dc.format.pageviii, 72 p.-
dc.contributor.examiner조일현-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contributor.examiner임규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