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일화-
dc.contributor.author정희연-
dc.creator정희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1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17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which is the third wave of the Positive Psychology emphasizing human’s positive perspective and the Cognitive-Behavior Therapy, suggests a measure of enhancing satisfaction with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of regular adul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positive thoughts, satisfaction with life, acceptance, and cognitive defusion. This study specifically concentrates on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positive thoughts, satisfaction with life, acceptance, and cognitive defusion and on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and cognitive defusion in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A survey including self report type questions from the Korean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Positive, Korean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II, Experience Questionnair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questions was given to 310 regular adults of mixed gender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Using SPSS 21.0, the questionnaire implemen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rrelation of positive thoughts, satisfaction with life, acceptance, and cognitive defusion illu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factors including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accept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cognitive defus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Secondly, it was proved that acceptanc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is means if an individual possesses high positive thoughts that positively evaluate and interpret the life events with positive cognitive schema, positive thoughts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a mediator called acceptance. Moreover,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life and each of the four sub factors of positive thoughts, which are positive daily functioning, positive self-evaluation, others evaluations of self, and positive future expectations, showed that each of them has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with satisfaction with life.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defu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each sub factors of positive thoughts conditions, the relationships of satisfaction with life with positive daily functioning, others evaluations of self, and positive future expectations showed that cognitive defusion has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concluded that acceptance partially mediates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which shows that along with positive thoughts, an individual’s attitude of acceptance of private experience without judgment or evasion assists the enhancement of satisfaction with life. Such result implies that for a client who is hardly satisfied with life, not only intervention that changes the interpretation of an event positively but also intervention that develops an attitude of accepting private experience as it is can help the client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to manage happy life.;본 연구는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긍정심리학과 인지행동치료의 제 3동향인 수용전념치료의 이론을 바탕으로, 일반 성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고 심리적 건강을 얻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긍정사고, 삶의 만족, 수용과 인지적 탈융합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긍정사고, 삶의 만족, 수용과 인지적 탈융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긍정사고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수용, 인지적 탈융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남녀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한국판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Ⅱ, 탈중심화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사고, 삶의 만족, 수용과 인지적 탈융합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긍정사고와 삶의 만족, 수용과 삶의 만족, 인지적 탈융합과 삶의 만족의 관계를 비롯하여 모든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긍정사고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수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개인이 긍정적인 인지도식을 가지고 생활사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해석하는 긍정사고가 높은 경우, 긍정사고가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수용이라는 매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긍정사고의 각 하위요인인 긍정적 일상기능, 긍정적 자기평가, 자기에 대한 타인의 평가,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 등의 네 요인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사고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인지적 탈융합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긍정사고의 각 하위요인 조건에서는 긍정적 일상기능, 자기에 대한 타인의 평가,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 등의 세 요인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인지적 탈융합이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용이 긍정사고와 삶의 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긍정사고와 더불어, 사적 경험을 판단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온전히 있는 그대로 경험하는 개인의 수용적 태도가 삶의 만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삶의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어려움을 보이는 내담자에게 사건에 대한 해석을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개입과 동시에, 사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용의 태도를 키우는 개입 역시 내담자의 삶의 만족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삶의 만족 5 B. 긍정사고 6 1. 긍정사고의 개념 6 2. 긍정사고에 대한 선행연구 7 C. 수용 9 1. 수용의 개념 9 2. 수용에 대한 선행연구 11 D. 인지적 탈융합 12 1. 인지적 탈융합의 개념 12 2. 인지적 탈융합에 대한 선행연구 14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B. 연구절차 17 C. 측정도구 17 D. 자료분석 21 Ⅳ. 연구결과 22 A.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22 B. 성별, 연령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 24 C. 긍정사고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분석 26 1. 긍정사고 전체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26 2. 긍정사고의 각 하위요인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28 D. 긍정사고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인지적 탈융합의 매개효과 분석 33 1. 긍정사고 전체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인지적 탈융합의 매개효과 33 2. 긍정사고의 각 하위요인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인지적 탈융합의 매개효과 34 Ⅴ. 논의 및 제언 40 A. 요약 및 논의 4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3 참고문헌 45 부록 52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03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긍정사고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수용, 인지적 탈융합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and Cognitive Defusion in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oughts and Satisfaction with Life-
dc.creator.othernameChung, Hee yeon-
dc.format.pageix, 61 p.-
dc.contributor.examiner임현식-
dc.contributor.examiner서은경-
dc.contributor.examiner이일화-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