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송수정-
dc.creator송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6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636-
dc.description.abstractBy way of ‘concept mapping’, the present thesis makes an exploratory analysis of both helpful and dissatisfied factors that are recognized by the users of a school counselling service, i.e. high school student, his or her parents, and their teacher. The thesis also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 the parents, and the teacher, respectively in their perspectives of the helpful and dissatisfied factors.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selects, as a sample, ten students of high school (3 males, 7 females), ten parents whose children are high school students (2 males, 8 females), and ten high school teachers (3 males, 7 females). The subjects all experienced the service of school counselling and are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participants are interviewed individually or in pairs to collect their responses to the aforementioned helpful and dissatisfied factors, asking focal questions. From the interview extracts, the key sentences are excerpted and in turn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have been processed to rate the degree of significance of each key sentence. As for the students, the result shows that the helpful factors in school counselling service are found in cluster 1 a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n cluster 2 as the use of good facilities; in cluster 3 as the utility through counselling service itself; in cluster 4 as the secure self-disclosure; in cluster 5 as the attitude of counsellor, viz. respect and integrity; in cluster 6 as the technic for counselling, e.g. close-listening, sympathy, sum-up; in cluster 7 as the variety of programs; and in cluster 8 as the association with external institutes. On the other hand, the dissatisfied factors in school counselling service are detailed in cluster 1 as the lack of counsellor’s expertise and quality; in cluster 2 as the insufficient protection of confidential information; in cluster 3 as the poor facilities and surroundings; in cluster 4 as the deficiency of creation of counselling-environment; in cluster 5 as the poverty of publicity; in cluster 6 as the lack of the number of counsellors; and in cluster 7 as the insufficient awareness with teachers. As for the parents, the helpful factors are shown in cluster 1 as the rise of awareness of self and others; in cluster 2 a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n cluster 3 as the free and easiness; in cluster 4 as the attitudes of counsellor, e.g. affirmation, acceptance, warmth; in cluster 5 as the existence of professional and reliable counselling service; in cluster 6 as the emotional support and understanding by a counsellor; and in cluster 7 as the association and intervention with external institutes. On the contrary, the dissatisfied factors are given in cluster 1 as the poor facilities and surroundings; in cluster 2 as the deficient sense of responsibility by counsellor; in cluster 3 as the lack of counsellor’s expertise; in cluster 4 as the poverty of sympathetic attitude by a counsellor; in cluster 5 as the poverty of both publicity and promotion of counselling service; and in cluster 6 as the school counselling service in fragments. Finally, as for the teachers: the helpful factors are summarized in cluster 1 as the consultation and advice from school counselling service; in cluster 2 as the emotional support by the service; in cluster 3 a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counselling; in cluster 4 as the association among teachers; in cluster 5 as the publicity and promotion of school counselling service; in cluster 6 as the association with external institutes; in cluster 7 as the preventive measures; in cluster 8 as the crisis intervention; in cluster 9 as the creation of the sympathetic relations between counsellor and student; in cluster 10 as the counsellor’s expertise; in cluster 11 as counselling with the parents of students; and in cluster 12 as the intervention or mediation by school counselling service. On the other side, the dissatisfied factors are expressed in cluster 1 as the counsellor’s excessively permissive attitude toward students; in cluster 2 as the difficulty of the protection of confidential information; in cluster 3 as the problem of counselling students in the middle of a class; in cluster 4 as the deficiency of the service for teacher themselves; in cluster 5 as the lack of the number of counsellors; in cluster 6 as being closed as a private service; and in cluster 7 as the poverty of the competence of counsellors. In connection with the participants—students, parents, teachers—who are directly linked with school counselling service, the present thesis sheds light not only on how helpful it is but on how dissatisfied it is as well, in term of conceptual mapping. In this regard, it can be that the present research serves to supply substantial materials for better school counselling service, by way of strengthening the helpful factors in the service and of removing the dissatisfied factors in it.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thesis can be found in the end of the thesis.;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교상담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과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론을 사용하여 학교상담 수요자의 입장에서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학생, 부모, 교사 각 대상별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상담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자들 중 고등학생 10명(남자 3명, 여자 7명),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10명(남자 2명, 여자 8명),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0명(남자 3명, 여자 7명)을 연구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는 자들이다. 학교상담 서비스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초점질문을 활용하여 개인 면접 또는 소그룹(2명) 면접을 실시하였다. 인터뷰의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 내담자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군집 1은 정보 획득, 군집 2는 편안한 상담실 환경, 군집 3은 상담을 통해 얻은 유익, 군집 4는 안전한 자기개방, 군집 5는 상담교사의 태도(존중과 진솔성), 군집 6은 상담의 기법(경청․공감․요약 등), 군집 7은 다양한 프로그램, 군집 8은 외부기관 연계로 도출되었으며, 학교상담의 불만족요소는 군집 1은 상담교사의 전문성 및 자질 부족, 군집 2는 비밀보장 미흡, 군집 3은 상담실 시설 및 환경 미흡, 군집 4는 상담 분위기 조성 미흡, 군집 5는 홍보 부족, 군집 6은 상담교사 부족, 군집 7은 교사들의 인식부족으로 나타났다.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군집 1은 나와 타인에 대한 인식향상, 군집 2는 정보 획득, 군집 3은 심리적 여유, 군집 4는 상담교사의 태도(긍정․수용․따뜻함), 군집 5는 전문적이고 믿을 수 있는 상담실의 존재, 군집 6은 상담교사의 학생이해 및 지지, 군집 7은 외부기관 연계 및 중재이며, 불만족요소는 군집 1은 상담실 시설 및 환경 미흡, 군집 2는 상담교사의 책무성 부족, 군집 3은 상담교사의 전문성 부족, 군집 4는 상담교사의 공감적 태도 부족, 군집 5는 홍보부족 및 상담실 비활성화, 군집 6은 학교상담의 상대적 단편성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군집 1은 자문 및 조언, 군집 2는 심리적 지지, 군집 3은 정보 획득, 군집 4는 교사 간 협력, 군집 5는 상담환경 조성 및 홍보, 군집 6은 외부기관 연계, 군집 7은 예방 활동, 군집 8은 위기 개입, 군집 9는 학생과 공감적 관계 형성, 군집 10은 상담교사의 전문성, 군집 11은 학부모 상담, 군집 12는 중재였으며, 불만족요소는 군집 1은 학생에 대한 지나친 허용적 태도, 군집 2는 비밀보장의 문제, 군집 3은 수업 중 상담의 문제, 군집 4는 교사 대상 서비스 부족, 군집 5는 상담교사 부족, 군집 6은 상담 업무의 비공개성, 군집 7은 상담교사의 역량 부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의 직접적인 수요자인 학생 내담자와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탐색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교상담 수요자들이 학교상담의 어떤 부분에 대해 도움을 받았다고 인식하며 어떤 부분에 대해 불만족스러웠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이 자료는 학교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도움요소는 더욱 강화시켜 학교상담의 효과를 높이고, 불만족요소는 개선과 보완을 통해 학교상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학교상담 7 1. 학교상담의 개념 및 특징 7 2. 한국 학교상담의 발전과정 8 3.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10 B. 학교상담 수요자의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19 1. 국외의 연구 20 2. 국내의 연구 22 Ⅲ. 연구방법 25 A. 개념도 방법 25 B. 연구 참여자 27 1. 초점질문 감수자 27 2.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 참여자 27 3. 아이디어 진술문 종합 및 편집 참여자 29 4. 아이디어 진술문 감수자 29 5. 아이디어 진술문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 참여자 29 C.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30 1. 초점질문 개발 및 감수 31 2. 학교상담의 도움 및 불만족요소에 대한 아이디어 진술문 수집 33 3. 학교상담의 도움 및 불만족요소에 대한 진술문 목록 제작 34 4. 학교상담의 도움 및 불만족요소에 대한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 39 5. 자료 분석 39 Ⅳ. 연구결과 43 A. 학생이 인식한 학교상담 도움요소의 개념도 43 B. 학생이 인식한 학교상담 불만족요소의 개념도 47 C. 학부모가 인식한 학교상담 도움요소의 개념도 51 D. 학부모가 인식한 학교상담 불만족요소의 개념도 55 E. 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 도움요소의 개념도 59 F. 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 불만족요소의 개념도 63 Ⅴ. 논 의 67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67 1. 학생, 학부모, 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 67 2. 각 집단이 인식한 학교상담 도움요소 및 불만족요소의 비교 71 B. 연구의 의의 77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9 참고문헌 81 부록 87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077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학생, 학부모, 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xploration into the Helpful and Dissatisfied Factors in the School Counselling Service that Are Recognized b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dc.creator.othernameSong, Su Jeong-
dc.format.pagevi, 104 p.-
dc.contributor.examiner김안나-
dc.contributor.examiner이일화-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