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미-
dc.contributor.author김해리-
dc.creator김해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6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6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1999년 복원되어 2014년까지 연행된 《입춘탈굿놀이》에서 제주 특유의 고유문화가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2013년 11월 20일부터 2014년 11월 30일까지 제주도에 기거하며 제주 문화를 학습하였고, 《입춘탈굿놀이》를 연행하는 탈춤패인 두루나눔을 대상으로 현장연구 및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는 제주에 연고가 없는 본 연구자가 외부자적 시각으로 접근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라국 입춘굿》은 1999년부터 2014년까지 3단계의 변화과정을 거쳐 현재의 축제 형태를 갖게 되었으며, ‘전야굿’, ‘놀이굿’, ‘본굿’ 등과 함께 부대행사가 주를 이룬다. 축하공연으로 이루어져 있는 ‘놀이굿’과 주요 연행으로 이루어진 ‘본굿’이 다른 날 연행됨으로써 ‘본굿’의 《입춘굿》과 《입춘탈굿놀이》가 부각되는 효과를 낳았다. 둘째, 《입춘탈굿놀이》는 여러 차례의 수정과정을 거쳐 현재의 오방각시마당, 농부마당, 영감마당의 세 마당으로 확립되었다. 1999년 복원 후 계속해서 이루어진 수정 및 보완작업은 마당의 틀을 변경하거나 춤의 위치를 옮기거나 삭제 하는 등의 대대적인 수정작업이 주를 이루었으나 《입춘탈굿놀이》의 틀이 안정화 된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움직임이나 재담에 제주 문화를 담고자하는 세분화된 작업이 주를 이루어 《입춘탈굿놀이》에 제주의 문화가 잘 녹아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입춘탈굿놀이》의 세 마당에서 <사농바치 춤>의 무속성, 자청비 신화의 노동성과 생산성, <농부와 소의 춤>·<사농바치 춤>·<백장동티 춤>의 골계성, 제주 여성의 강인성과 포용성, 노동 공동체성 등의 특별한 제주의 문화를 찾을 수 있었다. 넷째, 《입춘탈굿놀이》의 원형에 대한 의문과 복원된 《입춘탈굿놀이》와 원형의 일치여부에 대한 끊임없는 문제제기가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자료를 바탕으로 《입춘탈굿놀이》의 뼈대를 세운 점과 제주 문화를 충분히 녹여낸 점에서 제주 문화의 정통성과 가치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입춘탈굿놀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상황에서 제주도민이 염원하는 문화재 지정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제주 특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알리는 데에도 이바지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unique culture of Jeju is revealed in 《Ipchoon Talgoot Nol-i》 which was restored in 1999 and performed until 2014.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learned the Jeju culture by residing in Jeju from November 20th in 2013 to November 30th in 2014 and conducted the field study and semi-structural interviews targeting Dooroonanoom, the Talchoom group performing 《Ipchoon Talgoot Nol-i》. This is the external approaching perspective by a researcher who did not have any connective points with Jeju at al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festival format of 《Tamaragook Ipchoongoot》 was established by the three-level transformation process from 1999 to 2014, which is primarily comprised of the unit events as well as the Goot eve, Nol-i Goot, the main Goot. As Nol-i Goot formed by celebrating performances and the main Goot formed by main performances is arranged on different days each other, 《Ipchoon Goot》 and 《Ipchoon Talgoot Nol-i》 can be consequentially emphasized. Secondly, the current three Madang events of 《Ipchoon Talgoot nol-i》 were constructed by several correction process, which is primarily comprised of O-bang Gaksi Madang, Nong-boo Madang, Young-gam Madang. The macroscopic correction including changing the frames of Madang or moving/removing the location of dance had occupied the majority of the process of correction and supplement which had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fter the restoration in 1999. However, the microscopic work to embrace the Jeju culture in moves or lines occupied the majority of the process after the late 2000s in which the frames of 《Ipchoon Talgoot Nol-i》 became stable.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Jeju culture is well-represented in 《Ipchoon Talgoot Nol-i》. Thirdly, the special features in Jeju culture, such as the unique shamanism in Jeju, the myths of Jeju, the witty characteristics of the moves, the images of Jeju women, the community of Jeju can be exposed in <Sanongbachi dance>, <The dance of farmer and cow>, <The Baekjangdongti dance of Young-gam and his concub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almang and Gaksi in three Madangs of 《Ipchoon Talgoot Nol-i》. Fourthly, while the questions on the originality of 《Ipchoon Talgoot Nol-i》 and the coherency between the original and restored 《Ipchoon Talgoot Nol-i》 are constantly suggested, it can be found that the restored 《Ipchoon Talgoot Nol-i》 has the legitimacy and value of the Jeju culture in the way that it sets up the frames of 《Ipchoon Talgoot Nol-i》 even with the limited materials and it reflects the Jeju culture sufficiently enough.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ve,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of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that the Jeju people as well as the future researchers long for. In addition,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unique cultural identity of Jeju.-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4 Ⅱ. 《입춘탈굿놀이》의 문화사적 배경 7 A. 제주의 역사 7 B.《입춘굿》의 역사와 문화 19 Ⅲ. 《탐라국 입춘굿》의 연행구조 분석 30 A.《탐라국 입춘굿》의 연행형태 30 B.《입춘탈굿놀이》의 과장연구 39 Ⅳ. 《입춘탈굿놀이》의 문화적 특성 65 A. <사농바치 춤>의 무속성 66 B. 자청비 신화의 노동성과 생산성 68 C. <농부와 소의 춤>·<사농바치 춤>·<백장동티 춤>의 골계성 69 D. 제주 여성의 강인성과 포용성 70 E. 노동 공동체성 72 Ⅴ.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9 부록1. 용어정리 86 부록2.《탐라국 입춘굿》의 발달 단계 88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343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입춘탈굿놀이〉의 연행구조 분석을 통한 문화적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Ipchoon Talgoot Nol-i> based on Performance Structure-
dc.creator.othernameKim, Hae Ree-
dc.format.pageviii, 93 p.-
dc.contributor.examiner조기숙-
dc.contributor.examiner유미희-
dc.contributor.examiner신상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