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기대와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기대와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Verification of Mediator Effect of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areer Expectation Perceived by a Middle School Student and Academic and Career Stress
Authors
곽민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현대인의 삶에서 스트레스는 일상생활 곳곳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겠지만 특히 한국의 중․고등학생이 처한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한국사회 학교교육이 주로 입시위주의 과도한 경쟁을 조장함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학업과 진로 문제로 과중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학업 스트레스와 진로 스트레스에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부모진로기대를 독립변인으로,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주관적 안녕감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진로기대가 학업 스트레스와 진로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진로기대와 학업 스트레스 및 진로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이 매개변인으로써의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진로기대와 학업 스트레스 및 진로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이 매개변인으로써의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 지역에 소재한 3개의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총 3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부모진로기대가 학업 스트레스 및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가 제안한 4단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진로기대의 일반진로기대와 학업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진로기대의 일반진로기대와 경제진로기대는 진로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적성진로기대는 진로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모자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일반진로기대와 학업 스트레스 사이에서, 그리고 일반진로기대 및 적성진로기대와 진로 스트레스 사이에서 각각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역시 일반진로기대와 학업 스트레스 사이에서, 그리고 일반진로기대 및 적성진로기대와 진로 스트레스 사이에서 각각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기대는 학업 스트레스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부모가 자녀의 적성을 진로 선택의 중요 고려 사항으로 강조하는 경우에는 진로 스트레스가 오히려 감소하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부모진로기대와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주관적 안녕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는 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써 자녀와 부모 간에 보다 기능적인 의사소통과 원만한 관계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진로기대를 스트레스로 지각함에 있어 주관적 안녕감이 어느 정도 기여하는 만큼 평소 자신의 삶을 좀 더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정서를 함양하는 것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좀 더 벗어날 수 있는 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과 그 부모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상담적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contemporary life, stress is a phenomenon that the majority of people universally experience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the situation th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is in is even more severe. The reality is that school education in the Korean society is encouraging excessive competition that focuses on the college entrance exams, and that adolescents are suffering from heavy stress due to academic and career issues. This study set the parents’ career expect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related to academic and career str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et as mediator variables. Firs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 career expectation on academic and career stress b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b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s a medi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nd career stress, and perceived parents’ career expectation. Third,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effect of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medi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career expectation and academic and career stress b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targeting a total of 360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region, and utilized such data as the analysis materials. In order to grasp the effect of parents’ career expectation on academic and career stres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the 4-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or effect of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exist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areer expectation of parents’ career expectation and academic stress. Also, general career expectation and economic career expectation of parents’ career expectation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stres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aptitude career expectation and career stress. Parent-children communication's mediator effect was examined, and partial mediator effects were displayed between general career expectation and academic stress, and between general and economic career expectations and career stress.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s mediator effects were looked into, and partial mediator effects were also displayed between general career expectation and academic stress, and general and aptitude career expectations and career str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rents’ career expect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s a factor that affects academic stress and career stress, and it is worth noting that career stress actually decreases when parents emphasize their child's aptitude 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making a career choice. In addition, as evident from the existence of partial mediator effect of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areer expectation and academic and career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parents is a factor that influences a student's perception of stress, and that more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amic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nd parents is required. Also,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contributes to perceiving parents’ career expectation as stress to a certain ext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cultivating a sentiment of usually looking at one's own life more positively can be the way of escaping from stressful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providing the baseline data for prepar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measures necessar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