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제영-
dc.contributor.author남부영-
dc.creator남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9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901-
dc.description.abstract교육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학교장 등 교육 리더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효과적인 리더십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학교조직은 일반적인 조직과는 달리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 예전에 비해 복잡다단한 개방체제로 변화하고 있는 학교조직은 확대된 자율성만큼 이나 단위학교 책임경영의 실천 등 책무성 요구에도 부응해야 하는 정책 환경의 변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 흐름으로 인해 최근 분산적 리더십이 주목을 받고 있다. 분산적 리더십은 리더 개인의 능력이나 특성보다는 조직 구성원과 함께 조직의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리더십에 주목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조직에서 리더십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 중에서 중요한 부분은 교사의 직무만족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직무만족은 학교교육의 질적 제고와 발전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는 말처럼 학교조직에서 교사는 매우 중요한 구성원이자 교육서비스 제공의 주체라 할 수 있다. 사회적 변화 요구에 부응하여 학교조직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행동의 주체가 바로 교사이고, 교육은 결국 교사들의 실천적 행동에 의해 발전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사가 직무활동을 통해 얻은 결과라고 볼 수 있지만 다음의 직무활동을 위한 중요한 동인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학교조직에서 학교장과 교사들이 공동의 문제와 현안 해결을 위해 의사결정의 과정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을 활발히 함으로써 조직의 역량 및 개인의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이 실증적인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 임파워먼트, 교직 헌신, 학교조직 효과성, 학교조직문화 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학교개선의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과 관련하여 다양한 배경변인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며, 더욱이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분산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통해 학교조직 운영의 질을 제고하고, 학교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해 분석하고, 궁극적으로는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중학교 교사들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의 수준은 어떠한지, 둘째, 중학교 교사들은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수준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학교의 교사들이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수준과 교사 직무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변인들이 교사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을 측정하는 도구를 선정하여 이를 수정·보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20개의 중학교를 임의표집하여 선정하고, 2014년 10월에 총 400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382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응답결과를 바탕으로 측정된 변수들이 동일한 하위요인의 구성개념을 잘 측정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의 하위영역과 문항을 재구성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분산적 리더십에 대해 보통 이상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교육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교사들이 분산적 리더십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는데, 5년 이상 학교에서 근무한 교사들은 신임교사에 비해 학교 업무에 대한 숙련도가 높으며, 학교운영활동 및 교육활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기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분산적 리더십의 다른 모든 요인들에 대한 교사들이 보통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사 리더십의 하위요인 가운데 권한의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만 보통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인식하기에 학교 운영이 학교장 또는 관리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교사들에게 부여된 권한의 수준은 낮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 리더십의 발휘를 위해 교사들의 권한의 수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학교 구성원간 보다 수평적인 관계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직무만족 수준은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서도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직무만족 인식에서 부장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업무부담과 관련된 직무만족에서 이러한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장교사의 업무의 종류와 양이 일반교사보다 많고, 그에 대한 부담감도 높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직무만족 하위변인 중에서 업무부담과 보상에 대한 만족도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어, 교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부담에 상응하는 보수 인상과 근무조건 개선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장 리더십 가운데 교사에 대한 책임 부여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학교장 중심의 리더십에서 탈피하여 학교의 구성원들에게 리더십이 분산되고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분산적 리더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학교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고 의사결정과정에의 실질적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주인의식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장은 교사들을 신뢰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며, 교사들도 이에 대한 책무성 및 스스로 리더라는 인식을 강화하는 등 지속적 자기계발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분산적 리더십의 실행을 통하여 학교 교육 및 운영에 책임감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학교장 중심이 리더십에서 벗어나서 학교 구성원과 상호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권한 위임이 이루어지고 리더십의 실질적인 분산이 이루어질 때 교사의 직무만족은 상승하고 이는 교사의 헌신을 유도하여 학교의 변화와 개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 결과를 탐색하는 데 있어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우선 데이터의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 인천, 경기, 강원도 소재 20개 중학교를 임의표집하여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연구대상 지역이 다소 제한적이어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향후 지역 및 학교급을 확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학교 조직의 구성원 가운데 가장 큰 역할을 차지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분산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교사뿐만 아니라, 학교장, 학부모, 학생 등 학교 구성원의 범위를 확대하여 이들의 분산적 리더십의 실행방안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고 분산적 리더십 실행방안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Due to rapid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 expectation on educational leader, such as principal, increased along with demand for effective leadership. Since school organization, unlike general organization, has its unique characteristics, adequate leadership is required. School has been turning into complicated open system and it's facing a situation where it must meet accountability requirement, for example unit school responsible management, as much as its expanded autonomy. Among such trend, distributed leadership theory attracted public attention. It's a theory that leadership is formed not by one individual's capacity but by interaction between members and inside-outside environment. Along with leadership, teacher job satisfaction is a significant factor to consider in regard of qualitative enhancement of school education. Like the say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an't exceed the quality of a teacher," teacher is a key member of school organization and at the same time, educational service provider. The agents of diverse practical action to enhanc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are teachers, and their action will eventually lead to developmental change in education. Empirical study has found that principals and teachers act as maximization factor of organization's capacity and individual's expertise by sharing decision making and actively interacting to solve common problems in school organization. Also,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distributed leadership can be a positive factor to school improvement by influencing teacher empowerment, commitment,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ch. However, regarding teacher's distributed leadership still lacks studies based on diverse background variables. Furthermore, there are almost no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recent study trend and necessity of research,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must be prec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organization operation and to improve performance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how distributed leadership influence job satisfac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ffect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eacher job satisfaction. To achieve such goal, following were set as subject of inquiry: first, middle school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distributed leadership, second, middle school teachers' level of job satisfaction, last,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o learn about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tion level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s factor on teacher job satisfaction, a tool to measure teacher distributed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was chosen based on precedent studies. After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of such tool, it was put into survey. 20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Incheon, Gangwon region were conveniently sampled. October, 2014,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400 middle school teachers and 382 participated. To analyze questions were reconstructed by factor analysis and were utilized. Following paragraphs summarize this study. First, teachers' recognition on distributed leadership turned out to be above average. Mostly, teachers with five to t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had positive awareness. This could be because if a teacher works more than 5 years at school, compared to less experienced teachers, he/she has higher task proficiency, and that point is when teachers participate in highest active manner. While all the other factors of distributed leadership were perceived positively, only the recognition level on authority was below average. This shows that teachers perceive school operation is principal-centered and that teachers' authority is low. Therefore, for teachers to demonstrate leadership, efforts to improve teachers' recognition on their authority and to foster more horizontal relationship are needed. Seco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positively about job satisfaction. Teachers with five to ten years of experience showed high level of awareness. What is worthy of notice is the fact that head teachers generally showed negative perception compared to general teachers. Especially,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regarding job satisfaction related to work pressure. This reflects that head teachers' work is more diverse and heavier than general teachers and that consequent pressure is higher as well. Since satisfaction on work pressure and compensation ranked the lowest among other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eacher job satisfaction, policy such as consistent raise in wage and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is needed. Third, distributed leader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Especially, higher teacher leadership and more active teacher interaction had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Such resul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we must break from existing principal-centered leadership and that leadership must be distributed and expanded to members of school. To activate distributed leadership, school's vision and objectives must be shared with teachers, and by expanding their actual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teachers' school belonging and psychological ownership must be enhanced. Also, principals must demonstrate leadership that trust teachers and authorize them. Teachers must pursue their studies and keep self-development by enhancing accountability and recognition that they're leaders themselves. Distributed leadership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to foster atmosphere where teachers can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and operation with responsibility by demonstrating distributed leadership. In other words, teacher job satisfaction increases when leadership is actually distributed by breaking from existing principal-centered leadership, interacting with members of school, and achieving authorization. This will lead to teachers' commitment which will result in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hange and improvement in schoo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분산적 리더십 5 B. 교사 직무만족 19 C. 분산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26 Ⅲ. 연구방법 29 A. 가설적 연구 모형 29 B. 연구 대상 32 C. 연구모형 재설정 35 D. 분석방법 45 Ⅳ. 연구결과 48 A.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48 B. 직무 만족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61 C.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9 D. 요약 83 Ⅴ. 결론 87 A. 결론 및 논의 87 B. 연구의 제한점 90 참고문헌 91 부록 95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52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mpact of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dc.creator.othernameNam, Bu Young-
dc.format.pagexii, 104 p.-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contributor.examiner김성기-
dc.contributor.examiner박주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