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제영-
dc.contributor.author이말순-
dc.creator이말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6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694-
dc.description.abstractUp-to-d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easily and rapidly shar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Leaners are to study the contents which they want anytime anywhere on ubiquitous environment. As the learning environment changes, distance education is being spread out through man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considered positive for adult learners to have opportunities to study with economy through the education system. It is however requir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arning outcomes of distance education, which expends rapidly, 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previous researches on learning outcomes of adult learners, few researches show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learning outcomes in distant education and face-to-face education,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the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is to reveal adult learners’perception of learning outcomes in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education. It is aimed to find which method leaners perceive more effectiv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issues were selected.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s between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education?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change of adult learners' learning ability between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education?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change of adult learners' life satisfaction between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education? Fourth,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change of adult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learning between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education? Survey research method is applied to examine adult leaners’cognition.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among adult learners in the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 University, B University, and C University) for about two weeks, from March 17 to 29, 2014.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268 of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13 of them were excluded with missing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The 255 of the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159 people of them were participants in face-to-face education and the other 96 people were participants in distance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PSS 20.0 program. One-way ANOVA analysis and F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ross tabulation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of adult learn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fference of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s, it is perceived that learning outcomes in face-to-face education are higher than those in distance educa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in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of adult learners' learning ability, the face-to-face education participants perceive it more positively than the distance education participant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in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of adult learners' life satisfaction, face-to-face training participants recognize it more positively than distance learning participants. The survey result also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in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of adult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learning, face-to-face education participa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distance education participants. The survey resul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adult learners perceive that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distance education in the aspect of learning outcomes. Also, they understand face-to-face education is more efficient than distance education in the change of learning ability, lif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learning continuation.;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시간과 공간적 한계를 벗어나, 쉽고 빠르게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발전으로 학습자가 교육기관에서 면대면 수업을 받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학습하는 것이 가능한 세상이 가까워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평생교육기관에서 원격교육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성인학습자들이 시간과 비용을 적게 들이면서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원격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원격교육이 면대면 교육과 비교할 때 교육의 성과가 높은지에 대해서는 검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선행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교육방법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어떤 방법의 학습이 더 큰 성과를 보인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교육방법에 따른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의 차 이가 있는가? 둘째, 성인학습자의 교육방법에 따른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능력 변화 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인학습자의 교육방법에 따른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삶의 만족도 변 화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성인학습자의 교육방법에 따른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지속 의향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성인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A대학, B대학, C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수강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2014년 3월 17일부터 3월 29일까지 약 2주 동안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268부를 회수하였고, 설문에 대한 응답의 누락으로 자료화하기에 부적절한 13부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5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응답자는 교육방법에 따라 면대면 교육 참여자 159명, 원격교육 참여자 96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두 집단 간 학습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두 독립표본 t 검정 및 F 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교육방법에 따른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면대면 교육이 원격교육에 비해 학습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능력의 변화에서는 면대면 교육 참여자가 원격교육 참여자에 비해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 변화에서는 면대면 교육 참여자가 원격교육 참여자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과정 참여 후 학습지속 의향의 변화에서도 면대면 교육에 참여한 경우가 원격교육에 참여한 경우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관점에서 기존의 면대면 교육이 원격교육보다 학습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원격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도 학습자들이 함께 배우는 즐거움을 나눌 수 있는 다양한 학습동아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 참여자들이 다양한 수업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원격교육 참여자에게는 원격교육과정에서도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선택의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학습을 통한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육방법은 성인학습자가 교육과정을 끝까지 수료하는 학습지속 의향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원격교육은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환경에서 학습동기가 쉽게 저하되어 학습의지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을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원격교육에서는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촉진하기 위한 개별적인 관심 주제와 관련된 수업 및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편의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교육은 면대면 교육을 완전히 대체해주는 정도의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원격교육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원격교육과 면대면 교육의 장점을 혼합한 내용으로 활용하는 블랜디드 러닝의 형태로 활용하거나, 원격교육 과정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형태의 다양한 학습자 커뮤니티 형성과 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설문조사의 시점에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신학기를 시작할 무렵에 학습성과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집단간 교육방법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과목을 일정한 기간 동안에 수강한 후에 집단 간 학습성과의 차이를 비교 ․ 분석 한다면 보다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설문을 실시하는 비교집단의 설정에 한계를 갖고 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에서는 설문대상의 설정에 있어서 교육방법에 따라 면대면 교육, 원격교육, 블랜디드 러닝으로 선정하여 집단 간 학습성과의 차이를 비교한다면 좀 더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교육방법의 측면만을 고려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후속적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2 C.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7 A. 성인교육 환경의 변화 7 1. 성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7 2. 성인교육의 변화 12 B. 성인학습자의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 16 1. 면대면 교육 16 2. 원격교육 17 3.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비교 18 C.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23 1. 성인학습자의 특징 23 2. 학습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27 Ⅲ. 연구 방법 33 A. 연구 모형 33 B. 설문 조사 및 분석 34 1. 문항 구조 34 2. 조사 실시 및 자료 분석 37 C.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45 1. 연구 절차 45 2. 분석 방법 4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9 A.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성과 차이 49 1.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능력의 변화 49 2.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변화 51 3.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지속 의향의 변화 53 B.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 차이 56 1.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능력의 변화 차이 56 2.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삶의 만족도의 변화 차이 61 3.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지속 의향의 변화 차이 66 C.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 차이 비교 70 1.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 차이 비교 70 2.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능력 차이 비교 73 3.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삶의 만족도 차이 비교 76 4. 면대면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지속 의향 차이 비교 79 Ⅴ. 결론 83 A. 요약 83 B. 제언 85 C. 연구의 제한점 86 참고문헌 88 부록 93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94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성인학습자의 면대면 교육과 원격교육의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Adult Learner's Perception of Learning Outcomes between Distance Education and Face-to-face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Mal Sun-
dc.format.pageix, 125 p.-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contributor.examiner김성기-
dc.contributor.examiner박주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