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차영남-
dc.creator차영남-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5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598-
dc.description.abstract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과 삶의 질 향상이고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기술은 지역사회 적응과 삶의 질뿐만 아니라 좁게는 학교생활을 잘 유지하는데도 필수적인 기술이다. 장애학생의 경우 자연스럽게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구조화된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을 분리된 환경에서 개별적으로 지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은 습득한 사회적 기술의 일반화에 어려움을 보이므로 통합된 환경에서 중재를 제공하여 일반화와 유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 통합학급 또래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면 장애학생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되고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통합된 환경에서 장애학생과 통합학급 또래학생이 함께 사회적 기술을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초등학교의 여러 교과 중 도덕과 교육과정은 사회적 기술의 주요 내용을 가르치고, 학교급별 목표와 내용영역별 목표가 사회적 기술과 긴밀히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 환경에서 사회적 기술 지도에 적합한 교과로 도덕과를 선정하여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과 통합학급 또래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교우관계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고양시 A초등학교 시간제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초등학생 2명(실험집단 1명, 통제집단 1명)과 이들이 통합된 두 학급의 학생들 42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2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또래학생은 통합학급에서 도덕교과 시간에 주1회씩 총 10회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지적장애 초등학생은 사회적 기술 연습을 위한 별도의 교수가 필요함을 고려하여 통합학급에서의 수업과 함께 특수학급에서의 추가적인 사회적 기술 교수에 참여하였다. 즉, 지적장애 초등학생은 주2회씩 총 20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는데 주 1회는 통합학급 도덕교과 시간에, 나머지 주 1회는 특수학급 수업 시간에 참여하였다.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또래학생과 지적장애 초등학생은 통합학급 교사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지도안에 따라 실시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과 통합학급 또래학생의 사회적 기술, 교우관계,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기술평정척도(SSRS) 교사용과 학생용, 교우관계검사, 대인문제해결능력검사를 사용하였다. 지적장애 초등학생은 통합학급 교사가 평정한 SSRS(교사용)과 교우관계검사의 원점수와 백분위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와 특수교사가 평정한 대인문제해결능력검사 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통합학급 또래학생은 SSRS(학생용)과 교우관계검사, 대인문제해결능력검사 점수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교우관계, 대인문제해결능력의 사전-사후 간 향상정도에서 실험집단의 지적장애 초등학생이 3가지 종속변인 모두에서 향상의 폭이 통제집단의 지적장애 초등학생보다 컸다. 둘째,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또래학생의 사회적 기술의 사전․사후 변화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기술의 4가지 하위영역인 주장성, 협동성, 공감, 자기조절 중 주장성을 제외한 협동성, 공감, 자기조절의 3가지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합학급학생의 교우관계의 사전․사후 변화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통합학급 또래학생의 대인문제해결능력의 사전․사후 변화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통합 환경에서 학급차원으로 도덕교과와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교우관계 및 대인문제해결능력과 통합학급 또래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대인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community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acquire social skills. Social skills are essential not only for their adaptation to the community and higher life quality but also for their harmonious life at school in a narrow perspective. But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cquire social skills naturally, so they tend to taught individually in a structuralized social skills program in a separated environment. Howe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ress difficulty in generalizing social skills they have acquired. Therefore, it is needed to enhance their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kills by providing an intervention in an inclusive environment. And if peers at inclusive class have better social skills, they accept students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and helps them to react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interaction more properly.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eded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cial skills along with peer students in an inclusive environment. We can see that among the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the moral subject is particularly more appropriate for teaching major contents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in each of the school levels and objectives in each of the content areas. This study selects the moral subject as the one legitimate for teaching social skills in an inclusiv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connected with the moral curriculum on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nclusive class peers’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wo elementary students withintellectual disabilities (on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for the control group) attending part-time special class at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o-yang City and 42 students (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at two inclusive classes where the two students are included. Targeting the subject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is applied. The inclusive class pe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total 10 times, once a week, during their moral subject hours, at inclusive class. Considering the fact that elementary students withintellectual disabilities require additional instruction for practicing social skills, the researcher has them participate in additional social skills instruction at special class along with inclusive class. In other words, elementary students with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 in the program total 20 times, twice a week. One is provided during inclusive class moral subject hours, and another is provided during special class hours. The inclusive class peers and elementary students withintellectual disabilities of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 in the class conducted by the inclusive teacher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n for teachers’ guide.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connected with the moral curriculum on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clusive class peers’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for teachers and students, test for peer relationships, and test for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are employed. About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er examines the arithmetical transition of the raw score and the percentile rank of SSRS (for teachers) and peer relationships test rated by the inclusive class teacher. and also arithmetical transition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test score rated by the special teacher. And about inclusive class peers, the SSRS (for students), the peer relationships test,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test score are analyzed to perform the two independent t-test to see if the two group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egree of chan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bout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dicated a higher improvement with regard to all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than control group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ir social skills’ change. Among the four subareas of social skills, assertiveness, cooperativity, empathy, and self-regulation, three subareas, cooperativity, empathy, and self-regulation, except for assertive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change after the program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dica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ir peer relationships’ change.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ir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chang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s aspects: First,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class-wide social skills intervention is effective not only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for inclusive class students in terms of their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it has verified that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connected with the moral subject are effective not only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inclusive class students in terms of their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Third, this study provided the intervention in two different places so as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intervention provision in a single place. Four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class was provid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clusive class teacher and special class teacher and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applied the advantages of co-teach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과 사회적 기술 교수 7 1.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사회적 기술 교수 7 2.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사회적 기술 교수 8 3. 도덕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과 사회적 기술 교수 10 4. 도덕과 교육과정과 사회정서학습 12 B.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중재 13 1.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중재 동향 13 2.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중재 선행연구 15 C.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사회성 중재 19 1. 학급차원의 사회성 중재 19 2.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사회성 중재 선행연구 20 Ⅲ. 연구방법 23 A. 연구 참여자 23 1. 지적장애 초등학생과 통합학급 학생 23 2. 통합학급 교사 24 B. 실험 기간 25 C. 실험 장소 26 D. 독립변인 :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26 1.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제작 26 2. 상황카드와 활동지 제작 35 E. 연구절차 35 F. 종속변인 측정도구 37 1. 사회적 기술 38 2. 교우관계 39 3. 대인문제해결능력 40 G. 자료 분석 41 H. 채점자간 신뢰도 42 I. 중재 충실도 42 J. 사회적 타당도 43 Ⅳ. 연구결과 46 A.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46 B.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또래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48 Ⅴ. 논의 및 제언 51 A. 논의 52 1.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의 변화 52 2.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대인문제해결능력의 변화 54 3. 통합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 변화 55 4. 통합학급 학생의 교우관계 변화 57 5. 통합학급 학생의 대인문제해결능력 변화 58 6. 연구의 의의 60 B. 제한점 61 C. 제언 62 참고문헌 63 부 록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913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과 통합학급 또래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교우관계 및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connected with the moral curriculum on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inclusive classes.-
dc.creator.othernameCha, Young Nam-
dc.format.pagevi, 87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