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채현경-
dc.contributor.author서승임-
dc.creator서승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4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Chinese school songs and nation building in the modern era. School songs are typical in the music culture of East Asia, having accepted Western music and its cultures into the region. In late Qing(淸) Dynasty, Chinese school songs, which are called xuetangyuege (學堂樂歌) in Chinese, were sung in the music classes(樂歌) of newly modernized schools(學堂). After the failure of the Hundred Days’Reform in 1898, many intelligentsias fled to Tokyo, Japan, studied Japanese school songs and started to write similar songs in a Chinese version. By virtue of experiencing school songs in Japan, they could make their own and teach them at schools in China as well as publish the music scores by the middle of the 1900s. In this paper, I examine Chinese school song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and process of accepting Japanese school songs after the China-Japan War in 1894. I regarded this as a reform movement by the intelligentsias against the old structure to save the Qing dynasty. Second, analyzing five different music scores published from 1905 to 1909, I examine how Japanese school songs became utilized in China. Lastly, as Chinese school songs are interconnected with a save-the-nation movement by the intelligentsia who tried to build a nation-state to overcome a semi-colonial situation, a text analysis of the songs based on “On the New Citizen”(新民說) by Liang Qi-chao(梁啓超), a powerful reformist in modern era, is conducted. He insisted that knowledge(知), morality(德), and a healthy body(體) is positively necessary to build a nation. I classified songs according to these three keywords to study particular features of Chinese school song. Notwithstanding that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in East Asia has begun to emerge,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Chinese music compared to Korea and Japan in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Therefore, this study fills an important gap in academic studies and brings China into a field of studying school songs in East Asia.;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서양음악 수용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창가(唱歌, school song) 문화 중 중국의 사례를 들여다보기 위한 시도이다. 학당악가는 창가의 중국식 표현으로, 학당은 청나라 말기에 설립되기 시작한 신식 교육 기관, 악가는 학당에서 가르쳤던 음악 교과목을 일컫는다. 학당악가 문화는 반식민지로 전락한 중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민 국가(nation state)라는 근대적 정치 공동체를 형성하려 노력한 지식인층의 운동과 맞물린다. 무술변법운동 실패 직후, 일본으로 유학 간 지식인들은 1900년대 초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일본 창가를 배우기 시작했고, 귀국 후 신식 학당이 밀집해 있는 상하이를 중심으로 학당에서 악가 과목의 교편을 맡으면서 교육용 악보집을 출판했다. 본 논문에서는 청일전쟁 패배 직후 지식인들이 구국(救國) 활동의 일환으로 일본 창가를 유입한 배경과 1905년에서 1909년 사이 출판되었던 다섯 권의 악보집을 통해 일본식 창가가 점차 중국식 근대 교육의 틀에 맞춰져 가는 양상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유신파 지식인 량치차오의 <신민설(新民說)>에 의거해 해당 악보집에 수록된 학당악가의 내용을 분석해볼 것이다. <신민설>은 국민 국가 건설의 핵심을 국가사상을 갖춘 국민의 양성이라고 상정한 량치차오가 신민의 요건에 대해 정리한 글이다. 그가 제시한 신민의 3요소 민지, 민덕, 민체는 당시 교육 개혁의 핵심 요소였기 때문에 학당악가의 주제와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서양음악 수용 연구가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라는 초국가적 단위로까지 확대되어 가는 양상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한국과 일본에 비해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 일본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기존 창가 연구에 중국이라는 나라의 투입은 동아시아 근대 창가 문화를 비롯한 서양음악 문화를 보다 다각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는 글 1 Ⅱ. 청일전쟁 직후 중국 지식인들의 구국(救國) 활동 7 A. 학당의 설립과 악가 과목의 시작 13 B. 중국 지식인의 일본 유학과 창가의 수용 22 Ⅲ. 1900년대 학당악가의 창작과 출판 29 A. 『음악학』(音樂學, 1905) 37 B. 『창가교과서』(唱歌敎科書, 1906) 42 C. 『여학창가』(女學唱謌, 1905) 47 D. 『소학창가』(小學唱歌, 1906) 52 E. 『신찬창가집』(新撰唱歌集, 1909) 57 F. 가사 전달을 위한 학당악가의 창작 60 Ⅳ. 근대 국가 만들기를 위한 학당악가 – 양계초 <신민설>에 의거한 학당악가 주제 분석 65 A. 민지(民智), 학문을 갈구하여 신지식 습득하기 69 B. 민력(民力), 건강한 신체단련과 자유로운 정신 함양하기 74 C. 민덕(民德), 국가에 대한 책임 다하기 81 Ⅴ. 나가는 글 87 참고문헌 92 부록 98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018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국 학당악가(學堂樂歌)와 국민 국가 만들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chool songs and nation building in modern china-
dc.creator.othernameSeo, Seung Im-
dc.format.pagev, 105 p.-
dc.contributor.examiner채현경-
dc.contributor.examiner김은하-
dc.contributor.examiner신혜승-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